민주면(閔周冕)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BBFCC8FCBA74B1629X0 |
자(字) | 장오(章五) |
호(號) | 수월당(水月堂) |
생년 | 1629(인조 7) |
졸년 | 1670(현종 11)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여흥(驪興)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민진량(閔晉亮) |
외조부 | 유대비(兪大備) |

[관련정보]
[상세내용]
민주면(閔周冕)
1629년(인조 7)∼1670년(현종 11).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장오(章五), 호는 수월당(水月堂).
목사 민진량(閔晉亮)의 아들이며 모친은 첨정(僉正) 유대칭(兪大偁)의 딸이다.
1648년(인조 26) 진사가 되고 1653년(효종 4) 알성시에 장원하고, 성균관전적, 공조‧예조‧병조의 좌랑, 춘추관기사‧황해도도사‧병조정랑‧성균관직강‧장흥현감‧충청도도사‧시강원사서‧사간원정언‧사헌부지평 등을 역임하였다.
1660년(현종 1) 인천부사로 임명되어서는 그곳에 있는 자연도(紫燕島)에 대한 국방시설을 엄중히 하여 후환이 없게 하였다.
그뒤 길주목사를 거쳐 광주부윤으로 초수(超授)되었으며, 내직에 들어와서는 승정원동부승지‧장례원판결사‧승정원승지를 역임하였다.
1669년 경주부윤으로 임명되어서는 특히 궁핍한 부민에 대한 시혜가 돈독하여 부민으로부터 칭송이 자자하였고, 『동경지(東京志)』 3권을 새로 증보하기도 하였다.
목사 민진량(閔晉亮)의 아들이며 모친은 첨정(僉正) 유대칭(兪大偁)의 딸이다.
1648년(인조 26) 진사가 되고 1653년(효종 4) 알성시에 장원하고, 성균관전적, 공조‧예조‧병조의 좌랑, 춘추관기사‧황해도도사‧병조정랑‧성균관직강‧장흥현감‧충청도도사‧시강원사서‧사간원정언‧사헌부지평 등을 역임하였다.
1660년(현종 1) 인천부사로 임명되어서는 그곳에 있는 자연도(紫燕島)에 대한 국방시설을 엄중히 하여 후환이 없게 하였다.
그뒤 길주목사를 거쳐 광주부윤으로 초수(超授)되었으며, 내직에 들어와서는 승정원동부승지‧장례원판결사‧승정원승지를 역임하였다.
1669년 경주부윤으로 임명되어서는 특히 궁핍한 부민에 대한 시혜가 돈독하여 부민으로부터 칭송이 자자하였고, 『동경지(東京志)』 3권을 새로 증보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顯宗實錄
國朝榜目
國朝人物考
堂號備考
明齋遺稿
國朝榜目
國朝人物考
堂號備考
明齋遺稿
[집필자]
김갑주(金甲周)
성명 : "민주면(閔周冕)"에 대한 용례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