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칭(兪大偁)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720B300CE6DB1565X0 |
자(字) | 경선(景宣) |
생년 | 1565(명종 20) |
졸년 | 1634(인조 12)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기계(杞溪)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유함(兪涵) |
조부 | 유진(兪縝) |
증조부 | 유여림(兪汝霖) |
처부 | 한의(韓漪) |

[상세내용]
유대칭(兪大偁)
1565년(명종 20)∼1634년(인조 12). 본관은 기계(杞溪). 자는 경선(景宣).
증조부는 유여림(兪汝霖)이고, 조부는 유진(兪縝)이며, 부친은 진사(進士) 유함(兪涵)이다. 외조부는 평창이씨(平昌李氏) 이희현(李希賢)이고, 처부는 청주한씨(淸州韓氏) 한의(韓漪)이다.
1603년(선조 36) 계묘(癸卯) 식년시(式年試)에 생원(生員) 3등 37위로 합격하고 경기전참봉을 제수 받았다.
광해군 때 벼슬에서 물러났다가 인조 때 다시 관직에 나가 사옹원참봉, 상의원별좌, 내자시주부, 통례원인의, 평시서령을 역임하였다.
아들은 유득증(兪得曾)‧유욱증(兪勗曾)과 측실 소생으로 유만증(兪晩曾)‧유민증(兪敏曾)‧유순증(兪順曾)이 있다.
증조부는 유여림(兪汝霖)이고, 조부는 유진(兪縝)이며, 부친은 진사(進士) 유함(兪涵)이다. 외조부는 평창이씨(平昌李氏) 이희현(李希賢)이고, 처부는 청주한씨(淸州韓氏) 한의(韓漪)이다.
1603년(선조 36) 계묘(癸卯) 식년시(式年試)에 생원(生員) 3등 37위로 합격하고 경기전참봉을 제수 받았다.
광해군 때 벼슬에서 물러났다가 인조 때 다시 관직에 나가 사옹원참봉, 상의원별좌, 내자시주부, 통례원인의, 평시서령을 역임하였다.
아들은 유득증(兪得曾)‧유욱증(兪勗曾)과 측실 소생으로 유만증(兪晩曾)‧유민증(兪敏曾)‧유순증(兪順曾)이 있다.
[참고문헌]
CD-ROM 司馬榜目(韓國精神文化硏究院)
朝鮮人名辭書
『지수재집(知守齋集)』 卷9, 墓碣, [군자감첨정 증좌승지 유공묘갈명(軍資監僉正贈左承旨兪公墓碣銘)]
朝鮮人名辭書
『지수재집(知守齋集)』 卷9, 墓碣, [군자감첨정 증좌승지 유공묘갈명(軍資監僉正贈左承旨兪公墓碣銘)]
[집필자]
김은영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8-12-31 | 2008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