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유몽인(柳夢寅)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20BABDC778B1559X0
자(字)응문(應文)
호(號)어우당(於于堂)
호(號)간재(艮齋)
호(號)묵호자(黙好子)
시호(諡號)의정(義貞)
생년1559(명종 14)
졸년1623(인조 1)
시대조선중기
본관고흥(高興)
활동분야문신 > 문신
사시문청(文淸)
유탱(柳樘)
조부유충관(柳忠寬)
출신지서울
출생지명례방(明禮坊)
저서『어우야담』
저서『어우집』

[상세내용]

유몽인(柳夢寅)
1559년(명종 14)∼1623년(인조 1). 조선 중기의 문신‧설화문학가. 본관은 고흥(高興). 자는 응문(應文), 호는 어우당(於于堂)간재(艮齋)묵호자(黙好子).

사간 유충관(柳忠寬)의 손자, 진사 유탱(柳樘)의 아들로, 서울 명례방(明禮坊)에서 태어났다.

성혼(成渾)신호(申濩)에게서 수학하였으나 경박하다는 책망을 받고 쫓겨났기에 성혼과는 사이가 좋지 못하였다.

1582년(선조 15) 진사가 되고, 1589년 증광문과에 장원급제하였으며, 1592년 수찬으로 명나라질정관(質正官)으로 다녀오다가 임진왜란이 일어나 선조평양까지 호종하였다.

왜란중 그는 문안사(問安使) 등 대명외교를 맡았으며 세자의 분조(分朝)에도 따라가 활약하였다.

그뒤 병조참의황해감사도승지 등을 지내고 1609년(광해군 1) 성절사 겸 사은사로 세번째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뒤 그는 벼슬에 뜻을 버리고 고향에 은거하였는데 왕은 그를 불러 남원부사로 삼았다.

그뒤 한성부좌윤대사간 등을 지냈으나 폐모론이 일어났을 때 여기에 가담하지 않고 도봉산 등에 은거하며 성중에 발을 들여놓지 않았다. 이리하여 1623년 인조반정 때 화를 면하였으나 관직에서 물러나 방랑생활을 하였다. 그해 7월 현령 유응형(柳應浻)이 “유몽인광해군의 복위음모를 꾸민다.”고 무고하여 국문을 받았다.

마침내 역률(逆律)로 다스려 아들 유약(柳瀹)과 함께 사형되었다. 서인들은 중북파(中北派)라 불렀으며 끝내 그를 반대세력으로 몰아 죽인 것이다. 그는 이때 관작의 추탈은 물론 임진왜란의 공으로 봉하여진 영양군(瀛陽君)의 봉호도 삭탈되었다.

정조 때 신원되고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그는 조선 중기의 문장가 또는 외교가로 이름을 떨쳤으며 전서(篆書)‧예서‧해서‧초서에 모두 뛰어났다.

그의 청명(淸名)을 기려 전라도 유생들이 문청(文淸)이라는 사시(私諡)를 올리고 운곡사(雲谷祠)에 봉향하였는데, 신원된 뒤에 나라에서도 다시 의정(義貞)이라는 시호를 내리고 운곡사를 공인하였다. 고산(高山)삼현영당(三賢影堂)에도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야담을 집대성한 『어우야담』과 시문집 『어우집』이 있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仁祖實錄
燃藜室記述
朝野輯要
槿域書畵徵

[집필자]

조계찬(趙啓纘)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