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순신(李純信)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C21CC2E0B1554X0
자(字)입부(立夫)
시호(諡號)무의(武毅)
생년1554(명종 9)
졸년1611(광해군 3)
시대조선중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무신 > 무신
이진(李眞)
공신호선무공신(宣武功臣)

[관련정보]

[상세내용]

이순신(李純信)
1554년(명종 9)∼1611년(광해군 3).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입부(立夫). 종실 양녕대군(讓寧大君)의 후손이며, 이진(李眞)의 아들이다.

1578년(선조 11) 무과에 급제, 온성판단의주판관 등을 거쳐 일시 귀가하였다가 혜산진첨절제사(惠山鎭僉節制使)가 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 때 방답진첨절제사(防踏鎭僉節制使)로서 이순신(李舜臣) 막하에서 중위장(中衛將)으로 옥포해전에 참가하여 전공을 세운 뒤로는 전부장(前部將)으로서 항상 선봉이 되어 당항포(唐項浦)한산(閑山)부산포 등의 해전에서 적을 크게 무찔렀다.

그뒤 충청도수군절도사를 거쳐 고령진첨사(高嶺鎭僉使)로 좌천되어 1년간 있다가 유도방위대장(留都防衛大將)전주부윤전라도병마절도사 등을 지냈다.

1598년 경상우도수군절도사로서 노량해전(露梁海戰)에 참전하여 수군통제사 이순신이 총환에 맞아 전사하게 되자 조선수군을 지휘하여 개선하였다.

이듬해 포도대장으로서 무고한 사람을 장살하여 파직되었다가 1600년 충청도수군절도사에 이어 이듬해 황해도병마절도사로 있을 때 재물을 탐냈다 하여 파직, 다시 수원부사로 임용되었으나 또 파직되었다.

1602년 전라좌도수군절도사가 되었으나 또다시 파직을 당하는 등 여러 번에 걸쳐 대간의 탄핵을 받았다.

1604년 첨지중추부사가 되고, 이해에 임진왜란 때의 전공으로 선무공신(宣武功臣) 3등에 책록되고 완산군(完山君)으로 봉해졌다.

1606년 다시 수원부사를 거쳐 이듬해 완천군(完川君)으로 개봉(改封)되었다. 광해군전라도병마절도사를 지냈으며, 인조좌찬성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무의(武毅)이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國朝人物考
亂中日記
壬辰狀草

[집필자]

조성도(趙成都)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