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유희경(劉希慶)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20D76CACBDB1545X0
자(字)응길(應吉)
호(號)촌은(村隱)
생년1545(인종 1)
졸년1636(인조 14)
시대조선중기
본관강화(江華)
활동분야문학 > 시‧시조인

[상세내용]

유희경(劉希慶)
1545년(인종 1)∼1636년(인조 14). 조선 중기의 시인. 본관은 강화(江華). 자는 응길(應吉), 호는 촌은(村隱).

부친은 종7품인 계공랑(啓功郞)이었다는 것만 전할 뿐 자세한 가계는 알 수 없다.

허균(許筠)『성수시화(惺叟詩話)』에서 천인으로서 한시에 능통한 사람으로 꼽았다. 서경덕(徐敬德)의 문인이었던 남언경(南彦經)에게 문공가례(文公家禮)를 배워 상례에 특히 밝았으므로 국상이나 사대부가의 상(喪)에 집례하는 것으로 이름이 났다. 박순(朴淳)으로부터 당시(唐詩)를 배웠다. 어려서부터 효자로 이름이 났으며, 임진왜란 때에는 의병으로 나가 싸운 공으로 선조로부터 포상과 교지를 받았다. 사신들의 잦은 왕래로 호조의 비용이 고갈되자 그가 계책을 일러주었으므로 그 공로로 통정대부(通政大夫)를 하사받았다.

광해군 때에 이이첨(李爾瞻)이 모후를 폐하려고 그에게 소(疏)를 올리라고 협박하였으나 거절하고 따르지 않았다. 인조가 반정한 뒤에 그 절의를 칭송하여 가선대부(嘉善大夫)로 품계를 올려주었고, 80세 때 가의대부(嘉義大夫)를 제수받았다.

그는 한시를 잘 지어 당시의 사대부들과 교유하였는데, 자기 집 뒤 시냇가에 돌을 쌓아 대를 만들어 침류대(枕流臺)라 하고 그곳에서 이름있는 문인들과 시로써 화답하였다. 그 화답한 시를 모아 『침류대시첩』을 만들었다. 그는 당시 같은 천인신분으로 시에 능하였던 백대붕(白大鵬)과 함께 풍월향도(風月香徒)라는 모임을 만들어 주도하였는데, 이 모임에는 박계강(朴繼姜)정치(鄭致)최기남(崔奇男) 등 중인신분을 가진 시인들이 참여하였다. 그의 시는 한가롭고 담담하여 당시에 가깝다는 평을 듣는다.

뒤에 아들 유일민(劉逸民)의 원종훈(原從勳)으로 인하여 자헌대부 한성판윤(資憲大夫漢城判尹)에 추증되었다.

저서로 『촌은집』 3권과 『상례초(喪禮抄)』가 전한다.

[참고문헌]

村隱集
喪禮抄
澤堂集
於于野談
國朝人物考

[집필자]

강동엽(姜東燁)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