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허균(許筠)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D5C8ADE0FFFFB1569X0
자(字)단보(端甫)
호(號)교산(蛟山)
호(號)학산(鶴山)
호(號)성소(惺所)
호(號)백월거사(白月居士)
생년1569(선조 2)
졸년1618(광해군 10)
시대조선중기
본관양천(陽川)
활동분야문신 > 문신
허엽(許曄)
강릉김씨(江陵金氏)
외조부김광철(金光轍)

[상세내용]

허균(許筠)
1569년(선조 2)∼1618년(광해군 10).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단보(端甫), 호는 교산(蛟山)학산(鶴山)성소(惺所)백월거사(白月居士).
1. 가계와 학통
부친은 서경덕(徐敬德)의 문인으로서 학자‧문장가로 이름이 높았던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허엽(許曄)이며, 모친은 후취인 강릉김씨(江陵金氏)로서 예조판서 김광철(金光轍)의 딸이다. 임진왜란 직전 일본통신사의 서장관으로 일본에 다녀온 허성(許筬)이 이복형이며, 허봉(許篈)허난설헌(許蘭雪軒)이 동복형제이다.

5세 때부터 글을 배우기 시작하여 9세 때 시를 지을 줄 알았다. 12세 때 아버지를 잃고 더욱 시 공부에 전념하였다. 학문은 유성룡(柳成龍)에게 나아가 배웠으며, 시는 삼당시인(三唐詩人)의 하나인 이달(李達)에게 배웠다. 이달은 둘째 형의 친구로서 당시 원주손곡리(蓀谷里)에 살고 있었는데, 그에게 시의 묘체를 깨닫게 해주었으며, 인생관과 문학관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2. 여러 관직을 거치다
그뒤 26세 때인 1594년(선조 27) 정시문과(庭試文科)에 을과로 급제하고 설서(說書)를 지냈고, 1597년에 문과 중시(重試)에 장원하였다.

이듬해 황해도 도사(都事)가 되었는데, 서울의 기생을 끌어들여 가까이하였다는 탄핵을 받고 여섯달 만에 파직되었다. 뒤에 춘추관기주관(春秋館記注官)형조정랑을 지내고, 1602년 사예(司藝)사복시정(司僕寺正)을 역임하였으며, 이해에 원접사 이정귀(李廷龜)종사관이 되어 활약하였다.

1604년 수안군수(遂安郡守)로 부임하였다가 불교를 믿는다는 탄핵을 받아 또다시 벼슬길에서 물러나왔다.

1606년 명나라 사신 주지번(朱之蕃)을 영접하는 종사관이 되어 글재주와 넓은 학식으로 이름을 떨치고, 누이 허난설헌의 시를 주지번에게 보여 이를 중국에서 출판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이 공로로 삼척부사가 되었으나 여기서도 석달이 못 되어 불상을 모시고 염불과 참선을 한다는 탄핵을 받아 쫓겨났다.

그뒤 공주목사로 다시 기용되어 서류(庶流)들과 가까이 지냈으며, 또다시 파직당한 뒤에는 부안으로 내려가 산천을 유람하며 기생 계생(桂生)을 만났고 천민출신의 시인 유희경(柳希慶)과도 교분을 두터이하였다.

1609년(광해군 1) 명나라 책봉사가 왔을 때 이상의(李尙毅)종사관이 되었다. 이해에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가 되고 이어 형조참의가 되었다. 1610년 전시(殿試)의 시관으로 있으면서 조카와 사위를 합격시켰다는 탄핵을 받아 전라도 함열(咸悅)로 유배되었다.

그뒤 몇 년간은 태인(泰仁)에 은거하였는데, 1613년 계축옥사에 평소 친교가 있던 서류출신의 서양갑(徐羊甲)심우영(沈友英)이 처형당하자 신변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이이첨(李爾瞻)에게 아부하여 대북(大北)에 참여하였다.
3. 역적모의 죄로 참수되다
1614년천추사(千秋使)가 되어 중국에 다녀왔으며, 그 이듬해에는 동지 겸 진주부사(冬至兼陳奏副使)중국에 다녀왔다. 이 두 차례의 사행에서 많은 명나라 학자들과 사귀었으며 귀국할 때 『태평광기(太平廣記)』를 비롯하여 많은 책을 가지고 왔는데, 그 가운데에는 천주교 기도문과 지도가 섞여 있었다고 한다.

1617년 좌참찬이 되었으며 폐모론을 주장하다가 폐모를 반대하던 영의정 기자헌(奇自獻)과 사이가 벌어지고 기자헌길주로 유배를 가게 되었다. 그 아들 기준격(奇俊格)이 아버지를 구하기 위하여 허균의 죄상을 폭로하는 상소를 올렸으며, 허균도 상소를 올려 변명하였다.

1618년 8월 남대문에 격문을 붙인 사건이 일어났는데, 허균의 심복 현응민(玄應旻)이 붙였다는 것이 탄로났으며 허균기준격을 대질 심문시킨 끝에 역적모의를 하였다 하여 허균은 그의 동료들과 함께 저자거리에서 능지처참을 당하였다.
4. 불교 도교사상에 심취하다
당시의 허균에 대한 평가는 총명하고 영발(英發)하여 능히 시를 아는 사람이라 하여 문장과 식견에 대한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그러나 그 사람됨에 대하여서는 경박하다거나 인륜도덕을 어지럽히고 이단을 좋아하여 행실을 더럽혔다는 등 부정적 평가를 내리고 있다. 그의 생애를 통해볼 때 몇 차례에 걸친 파직의 이유가 대개 그러한 부정적 견해를 뒷받침해 준다.

허균은 국문학사에서는 우리나라 최초의 소설인 「홍길동전」을 지은 작가로 인정되고 있다. 한때 그가 지었다는 것에 대하여 이론이 제기되기도 하였으나 그보다 18년 아래인 이식(李植)이 지은 『택당집(澤堂集)』의 기록을 뒤엎을만한 근거가 없는 이상, 그를 「홍길동전」의 작가로 보아야 할 것이다. 특히, 그의 생애와 그의 논설 「호민론(豪民論)」에 나타난 이상적인 혁명가상을 연결시켜 볼 때 그 구체적인 형상화가 홍길동으로 나타났다고 보아도 좋을 것이다.

그의 문집에 실린 「관론(官論)」‧「정론(政論)」‧「병론(兵論)」‧「유재론(遺才論)」 등에서 그는 민본사상과 국방정책, 신분계급의 타파 및 인재등용과 붕당배척의 이론을 전개하고 있다. 내정개혁을 주장한 그의 이론은 원시유교사상에 바탕을 둔 것으로 백성들의 복리증진을 정치의 최종목표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허균은 유교집안에서 태어나 유학을 공부한 유가로서 학문의 기본을 유학에 두고 있으나 당시의 이단으로 지목되던 불교‧도교에 대하여 사상적으로 깊이 빠져들었다. 특히, 불교에 대해서는 한때 출가하여 중이 되려는 생각도 있었으며 불교의 오묘한 진리를 접하지 않았더라면 한평생을 헛되이 보낼 뻔하였다는 술회를 하기도 하였다.

불교를 믿는다는 사헌부의 탄핵을 받아 파직당하고서도 자기의 신념에는 아무런 흔들림이 없음을 시와 편지글에서 밝히고 있다. 도교사상에 대해서는 주로 그 양생술과 신선사상에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은둔사상에도 지극한 동경을 나타내었다.

은둔생활의 방법에 대하여 쓴 「한정록(閑情錄)」이 있어 그의 관심을 보여주고 있다. 허균 자신이 서학(西學)에 대하여 언급한 것은 없으나 몇몇 기록에 의하면, 허균중국에 가서 천주교의 기도문을 가지고 온 것을 계기로 하늘을 섬기는 학을 하였다고 하였으니, 이는 곧 그가 새로운 문물과 서학의 이론에 남다른 관심을 보였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이처럼 예교(禮敎)에만 얽매어 있던 당시 선비사회에서 보면 이단시할 만큼 허균은 다각문화에 대한 이해를 가졌던 인물이며, 편협한 자기만의 시각에서 벗어나 핍박받는 하층민의 입장에서 정치관과 학문관을 피력해나간 시대의 선각자였다.
5. 많은 저작을 남기다
그의 문집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는 자신이 편찬하여 죽기 전에 외손에게 전하였다고 하며, 그 부록에 「한정록」이 있다.

그가 스물다섯살 때 쓴 시평론집 『학산초담(鶴山樵談)』『성소부부고』 가운데 실려 있는 「성수시화(惺叟詩話)」와 함께 그의 시비평 안목을 보여주는 좋은 자료가 된다. 반대파에 의해서도 인정받은 그의 시에 대한 감식안은 시선집 『국조시산(國朝詩删)』을 통하여 오늘날까지도 평가받고 있다. 『국조시산』에 덧붙여 자신의 가문에서 여섯 사람의 시를 뽑아 모은 『허문세고(許門世藁)』가 전한다. 이 밖에 『고시선(古詩選)』『당시선(唐詩選)』『송오가시초(宋五家詩抄)』『명사가시선(明四家詩選)』『사체성당(四體盛唐)』 등의 시선집이 있었다고 하나 전하지 않는다. 또, 임진왜란의 모든 사실을 적은 「동정록(東征錄)」은 『선조실록』 편찬에 가장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고 하는데 역시 전하지 않는다. 전하지 않는 저작으로 「계축남유초(癸丑南遊草)」‧「을병조천록(乙丙朝天錄)」‧「서변비로고(西邊備虜考)」‧「한년참기(旱年讖記)」 등이 있다.

[참고문헌]

허균의 생각(이이화, 뿌리깊은 나무, 1980)
허균연구(김동욱편, 새문社, 1981)
許筠論(李能雨, 숙대논문집 5, 1965)
許筠硏究(金鎭世, 국문학연구 2, 서울대학교, 1965)
許筠論 再攷(車熔柱, 아세아연구 48, 1972)
許筠(鄭鉒東, 한국의 인간상 5, 新丘文化社, 1972)
蛟山許筠(金東旭, 한국의 사상가 12인, 현암사, 1975)
許筠(조동일, 한국문학사상사시론, 지식산업사, 1978)

[집필자]

김동욱(金東旭)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