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식(成軾)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2C131C2DDFFFFB1542X0 |
자(字) | 경보(敬甫) |
생년 | 1542(중종 37) |
졸년 | 1600(선조 33)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창녕(昌寧)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성수국(成壽國) |
외조부 | 정지영(鄭之英) |

[관련정보]
[상세내용]
성식(成軾)
1542년(중종 37)∼1600년(선조 33).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경보(敬甫).
부친은 진주판관 성수국(成壽國)이며, 모친은 정지영(鄭之英)의 딸이다.
1564년(명종 19) 생원이 되고, 1577년(선조 10) 알성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승문원권지가 되었다. 이어 검열‧주서‧봉교‧감찰을 거쳐, 예조‧병조의 좌랑을 지냈고, 성절사(聖節使)의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삼도해운판관(三道海運判官)‧지평‧정언, 병조‧호조의 정랑을 거쳐 황해도암행어사로 나가 배천군(白川郡)에 오랫동안 쌓여 있던 원옥(寃獄)을 해결함으로써 가뭄에 비가 내렸다는 일화를 남겼다. 다시 예조정랑‧고산도찰방(高山道察訪)‧직강‧사예를 거쳐, 한성부서윤‧수원부사‧청주목사‧춘천부사‧덕원부사‧종부시정‧사섬시정 등을 지냈다.
1600년 전라도추고경차관(全羅道推考敬差官)으로 나가 일을 마치고 돌아오다가 은진에서 죽었다.
부친은 진주판관 성수국(成壽國)이며, 모친은 정지영(鄭之英)의 딸이다.
1564년(명종 19) 생원이 되고, 1577년(선조 10) 알성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승문원권지가 되었다. 이어 검열‧주서‧봉교‧감찰을 거쳐, 예조‧병조의 좌랑을 지냈고, 성절사(聖節使)의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삼도해운판관(三道海運判官)‧지평‧정언, 병조‧호조의 정랑을 거쳐 황해도암행어사로 나가 배천군(白川郡)에 오랫동안 쌓여 있던 원옥(寃獄)을 해결함으로써 가뭄에 비가 내렸다는 일화를 남겼다. 다시 예조정랑‧고산도찰방(高山道察訪)‧직강‧사예를 거쳐, 한성부서윤‧수원부사‧청주목사‧춘천부사‧덕원부사‧종부시정‧사섬시정 등을 지냈다.
1600년 전라도추고경차관(全羅道推考敬差官)으로 나가 일을 마치고 돌아오다가 은진에서 죽었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國朝人物考
國朝榜目
光海君日記
國朝人物考
國朝榜目
[집필자]
박정자(朴定子)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