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정(申瀞)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2C2E0C815FFFFD1482X0 |
자(字) | 언유(彦游) |
생년 | ?(미상) |
졸년 | 1482(성종 13) |
시대 | 조선전기 |
본관 | 고령(高靈)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신숙주(申叔舟) |
처부 | 이간(李衦) |
외조부 | 윤경연(尹景淵) |
공신호 | 좌리공신(佐理功臣) |

[상세내용]
신정(申瀞)
미상∼1482년(성종 13).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언유(彦游).
부친은 영의정 신숙주(申叔舟)이며, 모친은 사재부정(司宰副正) 윤경연(尹景淵)의 딸이다. 태종의 아들 후령군(厚寧君) 이간(李衦)은 그의 장인이다.
1466년(세조 12) 종친부전첨(宗親府典籤)으로 있으면서 춘시문과(春試文科)에 3등으로 급제하여 이듬해 예문관직제학에 초천(超遷)되었다.
1468년(예종 즉위) 호군에서 병조참지‧병조참의를 거쳐 1469년 성종이 즉위한 직후에 동부승지가 되었다.
1471년(성종 2) 좌부승지가 되고 좌리공신(佐理功臣) 4등에 책록되었으며 이어 좌승지를 거쳐 1474년 도승지가 되었다.
1477년 이조참판이 되었으나, 대간으로부터 청간(淸簡)하지 못하다는 탄핵을 받고 공조참판으로 체직되었으며, 그간에 다른 사람의 재산을 탈취하였다는 혐의로 쟁송(爭訟)에 자주 거론되어 인품이 청렴하지 못하다는 세평을 들었다.
1479년 고천군(高川君)에 봉하여졌고, 1481년 평안도관찰사에 임명되었으나, 이듬해 4월 왕의 인신(印信)을 위조하여 남의 재산을 탈취하였다는 혐의로 사사(賜死)되었다.
부친은 영의정 신숙주(申叔舟)이며, 모친은 사재부정(司宰副正) 윤경연(尹景淵)의 딸이다. 태종의 아들 후령군(厚寧君) 이간(李衦)은 그의 장인이다.
1466년(세조 12) 종친부전첨(宗親府典籤)으로 있으면서 춘시문과(春試文科)에 3등으로 급제하여 이듬해 예문관직제학에 초천(超遷)되었다.
1468년(예종 즉위) 호군에서 병조참지‧병조참의를 거쳐 1469년 성종이 즉위한 직후에 동부승지가 되었다.
1471년(성종 2) 좌부승지가 되고 좌리공신(佐理功臣) 4등에 책록되었으며 이어 좌승지를 거쳐 1474년 도승지가 되었다.
1477년 이조참판이 되었으나, 대간으로부터 청간(淸簡)하지 못하다는 탄핵을 받고 공조참판으로 체직되었으며, 그간에 다른 사람의 재산을 탈취하였다는 혐의로 쟁송(爭訟)에 자주 거론되어 인품이 청렴하지 못하다는 세평을 들었다.
1479년 고천군(高川君)에 봉하여졌고, 1481년 평안도관찰사에 임명되었으나, 이듬해 4월 왕의 인신(印信)을 위조하여 남의 재산을 탈취하였다는 혐의로 사사(賜死)되었다.
[참고문헌]
成宗實錄
燃藜室記述
燃藜室記述
[집필자]
이근수(李根洙)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