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명종(明宗){2}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BA85C885FFFFB1534X0
이명(異名)이환(李峘)
자(字)대양(對陽)
시호(諡號)공헌(恭憲)
생년1534(중종 29)
졸년1567(명종 22)
시대조선전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왕실 > 왕
인순왕후(仁順王后)
장경왕후(章敬王后)
문정왕후(文定王后)
처부심강(沈鋼)

[상세내용]

명종(明宗)
1534년(중종 29)∼1567년(명종 22). 조선 제13대왕. 재위 1546년∼1567년. 본관은 전주(全州). 이름은 이환(李峘), 자는 대양(對陽).

비는 인순왕후(仁順王后)청릉부원군(靑陵府院君) 심강(沈鋼)의 딸이다. 중종의 둘째아들이며 인종의 아우이다. 중종은 제1계비 장경왕후(章敬王后) 윤씨에서 인종을 낳고, 제2계비인 문정왕후(文定王后) 윤씨에서 명종을 낳았는데, 중종이 죽고 인종이 즉위하였으나 재위 8개월 만에 죽자, 당시에 12세였던 명종이 즉위하였다.

어린 나이로 임금이 되었으므로 어머니인 문정왕후가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하게 되니, 문정왕후의 동생인 윤원형(尹元衡)이 득세하여 1545년(명종 즉위) 을사사화를 일으켰다. 인종이 세자로 있을 때 문정왕후명종을 낳자, 장경왕후의 동생인 윤임(尹任)김안로(金安老) 등과 함께 세자를 보호해야 한다고 주장하여 문정왕후와 알력이 생겼다.

1537년(중종 32) 김안로가 실각하고 윤원형 등이 등용되자 왕위계승권을 둘러싸고 암투가 더욱 치열해졌으니, 윤임 일파를 대윤(大尹), 윤원형 일파를 소윤(小尹)이라고 하였다.

인종이 즉위하자 한때 윤임이 득세하여 이언적(李彦迪) 등 사림(士林)의 명사를 많이 등용하여 기세를 떨쳤으나, 곧 명종이 즉위하고 문정왕후가 수렴청정을 하게 되자 사태는 크게 변하였다.

윤원형윤임이 그의 조카인 봉성군(鳳城君: 중종의 여덟째아들)에게 왕위를 옮기려 한다고 무고하는 한편, 윤임인종이 죽을 당시에 계성군(桂成君: 성종의 셋째아들)을 옹립하려 하였다는 소문을 퍼뜨리게 하여, 이를 구실삼아 왕과 문정왕후에게 이들의 숙청을 강청하여, 윤임유관(柳灌)유인숙(柳仁淑) 등을 사사(賜死)하게 하고, 이들의 일가와 그 당류(黨流)인 사림을 유배시켰다.

이어서 1547년에는 또다시 양재역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을 계기로 그들의 잔당을 모두 숙청하였다. 이로써 외척 전횡의 시대가 전개되자, 명종윤원형의 세력을 견제하고자 이량(李梁)을 등용하였으나 그 역시 작당하여 정치가 더욱 문란해지고 파쟁이 그칠 사이가 없었다.

이러한 때를 틈타 양주의 백정(白丁) 임꺽정(林巨正)이 1559년부터 1562년 사이에 황해도경기도일대를 횡행하였고, 밖으로는 삼포왜란(三浦倭亂) 이래 세견선(歲遣船)의 감소로 곤란을 받아온 왜인들이 1555년 배 60여척을 이끌고 전라도에 침입해왔다.

이들은 결국 이준경(李浚慶)김경석(金慶錫)남치훈(南致勳) 등에 의하여 영암(靈巖)에서 격퇴되었으며, 이를 계기로 비변사가 설치되었다. 비변사의 설치연대에 대하여는 여러가지 설이 있으나, 1510년(중종 5) 삼포왜란 때 일단 설치되어 임시기구로서 존속되어오다가 1555년 을묘왜변을 계기로 상설기구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명종 때는 문정왕후가 불교를 독실히 믿었기 때문에 불교의 교세가 일어났다. 문정왕후보우(普雨)를 신임하여 봉은사(奉恩寺) 주지로 삼고, 1550년에 선‧교(禪敎) 양종(兩宗)을 부활시키고 이듬해에는 승과(僧科)를 설치하였다.

보우는 뒤에 도대선사(都大禪師)가 되었지만 1565년 문정왕후가 죽자 잇따른 배불상소(排佛上疏)와 유림들의 기세에 밀려 승직을 박탈당하고 제주도로 귀양갔다가 변협(邊協)에게 피살되었다. 윤원형문정왕후가 죽은 뒤에 관직을 삭탈당하고 강음(江陰)에 안치되어 죽었다. 이에 즈음하여 명종은 인재를 고르게 등용하여 선정을 펴보려고 노력하였으나 이루지 못하고 34세의 젊은 나이로 죽었다.

인순왕후 심씨와의 사이에 순회세자(順懷世子)를 낳았으나 1563년에 13세로 죽고, 왕위는 덕흥부원군(德興府院君: 중종의 아홉째아들)의 셋째아들이 계승하였으니, 이가 곧 선조이다. 능은 강릉(康陵)이며, 시호는 공헌(恭憲)이다.

[참고문헌]

明宗實錄
燃藜室記述
朝鮮備邊司考(李載浩, 歷史學報 50‧51 合輯, 1971)

[집필자]

윤희면(尹熙勉)

봉호 : "경원대군(慶原大君)"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4孝大王諱峘字對陽皇朝諡敬順事上曰恭行善可記曰憲甲午嘉靖十三年○我中宗二十九年五月二十二日戊子誕降初封慶原大君乙巳七月以仁宗遣遺命卽位丁卯大明穆宗隆慶元年六月二十八日辛亥昇遐在位二十二年春秋三十四有一男康陵在陽
國朝編年v07業懼不克負荷予今遘疾日漸羸憊殆將不起念予年踰三十迄無嗣子恐墜皇上付畀之重祖宗傳繼之序先父王嫡子唯我與慶原大君而已雖年幼聰睿夙成可付後事卿等其共輔立之氣稍蘇索紙筆欲書則手顫不能成字歎曰我平生所懷欲使群臣知之非文
國朝編年v08寸曲從尹任之言使殿下孤立無依嗣位之日與首相語曰當立何人欲自取稟中宗嫡子唯殿下一人而已大行王遺敎亦曰有慶原大君可付後事灌欲稟何等而欲更立何人也柳仁淑連姻任家締結已久殿下卽位招潛邸時師傅問殿下賢否設若不賢將欲何爲
紀年便攷v3明宗獻毅昭文光肅敬孝大王諱峘字對陽嘉靖十三年甲午中宗二十九年五月二十二日誕降封慶原大君乙巳七月卽位隆慶元年丁卯六月二十八日昇遐在位二十二年春秋三十四有一男 康陵楊州泰陵東岡亥坐妃宣烈懿聖
紀年便攷v12宫人遠之然後始許診諸臣以此益知 上平日不䙝於近習而所養正大也 上顧大臣曰予疾不可為旣旡嗣予其傳位于弟慶原大君諱峘及大臣䓁求對入侍 上索紙茟欲書旣而歎曰予平生所懐欲使羣臣知之非文字無以盡傳今不可為矣臨薨教曰 父
紀年便攷v12民除弊之意及薨遠近褁粮来哭者不絶於道雖深山竆谷愚夫愚婦莫不奔走號慟如丧私親哭聲相傳一日之內達于義州○慶原大君以 大行王遺命卽位時年十二○尊王大妃尹氏為大王大妃王妃朴氏為王大妃冊封沈氏綱女為王妃○大王大妃垂簾同
東國歷代總目v02書請復光祖爵至是上疾篤下遺敎曰趙光祖事予未嘗忘于心今予疾至此其復光祖爵上昇遐諡曰榮靖葬孝陵在高陽無嗣慶原大君以遺命卽位尹元衡等誣殺尹任柳灌柳仁淑等○元衡文定王妃之弟也爲人奸邪雖踐華要見棄淸議常憤嫉士林至是誣告
東國歷代總目v02諱峘字對陽中宗大王第二子初封慶原大君
國朝捷錄v01二日誕降正德辛巳冊封嘉靖甲辰卽位乙巳七月一日昇遐在位八朔壽三十一孝陵高陽三十里艮坐○乙巳命復趙光祖爵慶原大君以遺命卽位尹元衡等誣殺尹任柳灌仁淑等○仁廟在東宮時以良娣選入松江鄭澈妹仁壽宮有淑德栗谷作行狀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