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주세붕(周世鵬)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8FCC138BD95B1495X0
자(字)경유(景游)
호(號)신재(愼齋)
호(號)남고(南皐)
호(號)무릉도인(武陵道人)
호(號)손옹(巽翁)
시호(諡號)문민(文敏)
생년1495(연산군 1)
졸년1554(명종 9)
시대조선전기
본관상주(尙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주문보(周文俌)
외조부황근중(黃謹中)
출신지순흥
출생지칠원
저서『죽계지(竹溪志)』
저서『해동명신언행록(海東名臣言行錄)』
저서『진헌심도(進獻心圖)』
저서『무릉잡고(武陵雜稿)』

[상세내용]

주세붕(周世鵬)
1495년(연산군 1)∼1554년(명종 9).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상주(尙州). 자는 경유(景游), 호는 신재(愼齋)남고(南皐)무릉도인(武陵道人)손옹(巽翁).
1. 가계 및 관력
고려말에 고조가 경상도 합천에 우거하였으나 아버지대에 칠원(漆原)으로 옮겨살아 칠원에서 출생하였다. 부친은 주문보(周文俌)이며, 모친은 황근중(黃謹中)의 딸이다.

선대에는 모두 관직에 나아가지 않았으며 주세붕의 현달로 증직되었다. 어릴 때부터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1522년(중종 17) 생원시에 합격하고, 같은해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승문원권지부정자로 관직을 시작하였다.

그뒤 승문원정자사가독서에 뽑히고, 홍문관정자수찬을 역임하였으며, 공조좌랑병조좌랑강원도도사를 거쳐 사간원헌납을 지냈다.

1537년 김안로(金安老)의 전권을 피하고 어머니의 봉양을 이유로 외직을 청하여 곤양군수(昆陽郡守)로 나갔고, 이듬해 검시관(檢屍官)으로 남형을 한 상관을 비호하였다는 죄목으로 파직되었다.

어머니의 사망으로 여묘 3년, 상제(喪祭)의 예는 모두 『가례(家禮)』에 따랐다. 승문원교리예빈시정(禮賓寺正)을 거쳐 1541년 풍기군수가 되었다. 풍기 지방의 교화를 위하여 향교를 이전하고, 사림 및 그들의 자제를 위한 교육기관으로 1543년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 紹修書院)을 건립하여 중국의 서원과 같이 사묘적 기능과 교육적 기능을 지닌 우리나라 서원의 시초를 이루었다.

1545년(명종 즉위) 내직으로 들어와 성균관사성에 임명되고, 홍문관응교전한직제학도승지를 역임하였으며, 1548년 호조참판이 되었다.

1549년 황해도관찰사가 되어 백운동서원의 예와 같이 해주수양서원(首陽書院)을 건립하였다.

이후 대사성동지중추부사를 역임하다 병으로 사직을 요청하여 동지성균관사에 체임되었다. 죽은 뒤 소원에 따라 고향인 칠원 선영에 안장되었다. 후사가 없어 형의 아들인 주박(周博)을 사자(嗣子)로 삼았다.
2. 교화사업과 백운동서원의 건립
관력에서 보듯이 내직은 대체로 홍문관성균관 등 학문기관에서 관직을 맡았고, 지방관으로 나가서는 교학진흥을 통한 교화에 힘썼다. 황해도관찰사에 임명되었을 때 대간에서 학문이 높고 성균관의 사표로 삼을만한 인물이라 하여 내직을 요청할 정도로 그의 학문은 당시 조정에서도 높이 평가되고 있었다.

도학에 힘쓸 것을 주장하고 불교의 폐단을 지적하였으며, 기묘사화 이후 폐지되었던 여씨향약(呂氏鄕約)을 다시 시행할 것을 건의하기도 하였다. 풍기에서 유교윤리에 입각한 교화에 힘쓰고 당시 피폐되어 향촌민의 교육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던 향교를 관아 근처로 이건, 복구하였다.

그리고 양반들에게 교육기관으로서는 외면당하던 향교 대신 풍기의 사림 및 그들의 자제들을 위한 교육기관으로 중국주자가 세운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을 모방하여 고려말 성리학을 도입하였던 순흥 출신의 안향(安珦)을 배향한 백운동서원을 건립하였다.

그리고 서원의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서적을 구입하고 서원전(書院田)을 마련하였다. 서원을 통하여 사림을 교육하고, 또한 사림의 중심기구로 삼아 향촌의 풍속을 교화하려는 목적이었다.
3. 서원의 기반 확충과 저서
그러나 일부 사림과 안향의 후손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풍기 사림의 호응을 받지 못하다가 1546년 경상도관찰사로 도임한 안향의 11대손인 안현(安玹)의 노력으로 백운동서원은 확고한 기반을 갖추게 되었고, 1550년에 풍기군수였던 이황(李滉)청원으로 소수(紹修)라는 사액을 받아 조선 최초의 사액서원이 되었다.

이에 따라 백운동서원은 점차 풍기 사림의 중심기구로 변모해나갔다. 이후 이를 모방한 서원들이 각지에서 건립되었다.

청백리에 녹선(錄選)되었고, 「도동곡(道東曲)」‧「육현가(六賢歌)」‧「엄연곡(儼然曲)」‧「태평곡(太平曲)」 등 장가(長歌)와 「군자가(君子歌)」 등 단가(短歌) 8수가 전한다. 예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칠원덕연서원(德淵書院)에 주향되었고, 백운동서원에도 배향되었다.

저서로는 『죽계지(竹溪志)』『해동명신언행록(海東名臣言行錄)』『진헌심도(進獻心圖)』가 있고, 문집으로 아들 박이 편집하였다가 전란으로 없어져 1859년(철종 10) 후손들이 다시 편집한 『무릉잡고(武陵雜稿)』가 있다.

[참고문헌]

中宗實錄
明宗實錄
國朝榜目
國朝人物考
武陵雜稿
國朝人物志
海東雜錄
紹修書院謄錄(朝鮮史編修會, 1940)
朝鮮における書院の成立(柳洪烈, 靑丘學叢 29‧30, 1937‧1939)
白雲洞書院의 設立과 豊基士林(尹熙勉, 震檀學報 49, 1980)

[집필자]

윤희면(尹熙勉)

성명 : "주세붕(周世鵬)"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08回啓允從過數日更招大臣等諭世祖不可遷仁宗祔延恩殿之意尹仁鏡回啓以爲上敎至當大司憲安玹大司諫李蓂副提學周世鵬伏閤論仁廟不祔文昭殿之意太學生鄭琚等亦上疏論之意不從○是月仁廟喪畢上冕服出臨勤政殿上大王大妃尊號曰恭
國朝彙鑑v1三十六年五月以周世鵬爲豊基郡守豊基卽高麗大裕安裕之鄕也世鵬就其舊居建白雲洞書院以祀裕左右有序爲儒生棲息之所始開基掘地得銅
紀年便攷v10豊基即高麗大儒安裕之鄕也郡守周世鵬就其舊居建白雲洞書院以犯裕左右有序為儒生捿息之所始開基据地得銅器三百餘斤貿書而藏之勸課不怠士多興起東
紀年便攷v11周世鵬尙州人文俌子字景游號慎齋又巽翁又武陵道人又南臯七嵗母病久不梳乃親自沐膏梳髮見者奇之丁父憂廬墓每三日必
紀年便攷v11周世鵬
紀年便攷v12文繪地南平人號錐錁中宗朝賢良薦因以禁錮與周世鵬金安國講磨道義
紀年便攷v12光漢力請因其自新許以講和以繋蠻夷輕躁之心諸大臣議各不一尹仁鏡䓁請 上裁断遂寢其命至是始定約条○副提學周世鵬書進旅獒冏命二篇且舉 先朝禁買唐馬之事以陳戒時太僕寺郞於輪䑓請買唐馬故也上嘉納命停買馬○同副承旨丁應
紀年便攷v12設雅樂鍾磬校正廳以右叅䝺安玹掌其事召生員趙晟付職校正○合抄廉謹人安玹洪暹朴守良李浚慶趙士秀李蓂任乕臣周世鵬金秀文李夢弼李世璋李荣金珣全彭齡洪曇成世章尹釜尹鉉尹春年鄭宗荣朴永俊吳祥李重慶金闓任輔臣李滉安従琠宋
震史記略v2有附己者進之異己者黜之之語彦光艴然曰豈有此習乎執義任權曰今之大患正在於是不可謂無也彦光構陷權遠竄獻納周世鵬亦論啓安老彦光劾之反以書喭世鵬比於合尹三已無慍色世鵬答云讀書三十年反在吮舐之列是可慍也○閏六月放尹元
震乘總v3辛丑三十六年右參贊宋欽乞骸歸鄕上召見賜酒時年八十三全宋欽羅監司宋麟壽爲立耆英亭於其鄕以榮之○周世鵬爲豊基郡守世鵬就文成公安裕舊居建白雲書院以祀裕左右有序爲儒生棲息之所始開基掘地得銅器三百餘斤貿書以藏
記聞v1林百齡宋純閔濟仁宋獜壽朴洪鱗周世鵬許磁許沆崔演嚴昕洪春卿中宗大提學李荇
記聞v1啓始允之過數日後招大臣等諭以世祖不可遷仁宗祔延恩之意仁鏡等卽回啓以上敎切當大憲安玹大諫李蓂副學周世鵬等伏閤論仁宗不祔文昭未安之意大學生鄭琚等亦抗疏論之不允宣廟朝明宗祔文昭時因李浚慶等議啓竝移祔
小華龜鑑v4珍號浩齋監司閔齊仁字希仲號立巖贊成宋麟壽字眉叟號圭庵大憲贈吏判諡文忠洪叙疇字道源監司朴洪麟字子雲大憲周世鵬字景汝號愼齋戶參首刱書院許磁字南仲號東崖贊成初與百齡同事後悔穆曾祖許沆字淸仲吏參附安老賜死崔演字演之
小華龜鑑v5周世鵬字景裕號愼齋中廟科戶參有武陵遺稿○順興漆原院○子怡號二樂堂
歷代帝王紀年v01周世鵬愼齋孟思誠白仁傑休庵院在南平
國朝捷錄v01鄭宗榮八溪君文贊成吏判時金繼輝劾之李世璋穆子監司安玹見相以友愛名趙彦秀末生五世孫李山海妻父參贊字伯高周世鵬大憲李浚慶見相金秀文宣祖朝盧叔同大憲豊川人號松齋朴說贊成判書栦先祖成碩輔直學具致寬見相李塤光城見上或
國朝捷錄v01岩文科南兵使宋麟壽世良子圭庵爲彦懿所搆死文忠公洪敍疇淑子監司字遺原南陽人朴洪狑咸陽人訥子五兄弟科大憲周世鵬景遊愼齋文俌子創我東書院尙州人許磁東崖瑗子元衡鷹大許沆淸中琮孫安老儻丁酉賜死崔演艮齋判書世健子江陵人
郯述v02周世鵬
文獻攷略v1備領樞洪彦弼等論其未安四啓始允已而復申前命尹仁鏡等言上敎切當大司憲安玹大司諫李蓂副提學周世鵬太學生鄭琚等伏閤論不祔文昭未安不允
文獻攷略v4我國古無書院嘉靖年間周世鵬爲豊基郡守時以本郡屬縣順興乃安文成裕本貫卽所居舊地創祠宇就爲士子藏修之所卽白雲洞也侯鯖瑣語
文獻攷略v4○外方鄕校乃孔廟所在朝廷差官敎誨比諸書院尊卑懸殊然書院之儒則周世鵬始立規以士子中解額者居之雖非中擧必以文理稍可者補之故非居業者不入鄕校則中生進者不往而率多庸雜避軍之徒
文獻攷略v4周世鵬爲黃海監司立文憲堂于海州亦爲其鄕先生崔文憲沖也祠宇及講堂齋舍皆倣鄕校之制而選居儒生供給廩饌各有經理自
文獻攷略v4德淵書院辛卯建賜額周世鵬裵世績號靜谷縣監裵錫祉號栗里縣監黃悏獨悟堂處士周博字約之世鵬子號龜峯校理
靑邱風雲v1號石川南應龍號二樂堂柳希春號眉巖朴英號松堂申光漢號企齋叔舟之後鄭球號乖隱蘇世讓號退休堂周世鵬號愼齋朴忠元號靜觀齋駱村字仲初南應雲號菊窓鄭惟吉號林塘鄭士龍號湖陰魚得江號灌圃李延慶號
大事編年v4辛丑三十六年以周世鵬爲豐基郡守世鵬就文成公安裕舊居建白雲洞書院以祀裕左右有序爲儒生棲息之所開基掘地得銅器三百餘斤貿書以藏
東國續修文獻錄v1典籍龍孫子驪興人判中宋麟壽眉壽圭庵參奉世良子恩津人大憲乙巳賜死朴洪麟子雲察訪訥子咸陽人兵參五兄弟科謫周世鵬景游愼齋文俌子尙州人副學洪敍疇道原二相淑子南陽人監司尹豐亨徽仲松舟淸白碩輔子漆原人監司許伯琦汝珍直
國朝人物志v1周世鵬撰碑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