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주세붕(周世鵬)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8FCC138BD95B1495X0
자(字)경유(景游)
호(號)신재(愼齋)
호(號)남고(南皐)
호(號)무릉도인(武陵道人)
호(號)손옹(巽翁)
시호(諡號)문민(文敏)
생년1495(연산군 1)
졸년1554(명종 9)
시대조선전기
본관상주(尙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주문보(周文俌)
외조부황근중(黃謹中)
출신지순흥
출생지칠원
저서『죽계지(竹溪志)』
저서『해동명신언행록(海東名臣言行錄)』
저서『진헌심도(進獻心圖)』
저서『무릉잡고(武陵雜稿)』

[상세내용]

주세붕(周世鵬)
1495년(연산군 1)∼1554년(명종 9).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상주(尙州). 자는 경유(景游), 호는 신재(愼齋)남고(南皐)무릉도인(武陵道人)손옹(巽翁).
1. 가계 및 관력
고려말에 고조가 경상도 합천에 우거하였으나 아버지대에 칠원(漆原)으로 옮겨살아 칠원에서 출생하였다. 부친은 주문보(周文俌)이며, 모친은 황근중(黃謹中)의 딸이다.

선대에는 모두 관직에 나아가지 않았으며 주세붕의 현달로 증직되었다. 어릴 때부터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1522년(중종 17) 생원시에 합격하고, 같은해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승문원권지부정자로 관직을 시작하였다.

그뒤 승문원정자사가독서에 뽑히고, 홍문관정자수찬을 역임하였으며, 공조좌랑병조좌랑강원도도사를 거쳐 사간원헌납을 지냈다.

1537년 김안로(金安老)의 전권을 피하고 어머니의 봉양을 이유로 외직을 청하여 곤양군수(昆陽郡守)로 나갔고, 이듬해 검시관(檢屍官)으로 남형을 한 상관을 비호하였다는 죄목으로 파직되었다.

어머니의 사망으로 여묘 3년, 상제(喪祭)의 예는 모두 『가례(家禮)』에 따랐다. 승문원교리예빈시정(禮賓寺正)을 거쳐 1541년 풍기군수가 되었다. 풍기 지방의 교화를 위하여 향교를 이전하고, 사림 및 그들의 자제를 위한 교육기관으로 1543년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 紹修書院)을 건립하여 중국의 서원과 같이 사묘적 기능과 교육적 기능을 지닌 우리나라 서원의 시초를 이루었다.

1545년(명종 즉위) 내직으로 들어와 성균관사성에 임명되고, 홍문관응교전한직제학도승지를 역임하였으며, 1548년 호조참판이 되었다.

1549년 황해도관찰사가 되어 백운동서원의 예와 같이 해주수양서원(首陽書院)을 건립하였다.

이후 대사성동지중추부사를 역임하다 병으로 사직을 요청하여 동지성균관사에 체임되었다. 죽은 뒤 소원에 따라 고향인 칠원 선영에 안장되었다. 후사가 없어 형의 아들인 주박(周博)을 사자(嗣子)로 삼았다.
2. 교화사업과 백운동서원의 건립
관력에서 보듯이 내직은 대체로 홍문관성균관 등 학문기관에서 관직을 맡았고, 지방관으로 나가서는 교학진흥을 통한 교화에 힘썼다. 황해도관찰사에 임명되었을 때 대간에서 학문이 높고 성균관의 사표로 삼을만한 인물이라 하여 내직을 요청할 정도로 그의 학문은 당시 조정에서도 높이 평가되고 있었다.

도학에 힘쓸 것을 주장하고 불교의 폐단을 지적하였으며, 기묘사화 이후 폐지되었던 여씨향약(呂氏鄕約)을 다시 시행할 것을 건의하기도 하였다. 풍기에서 유교윤리에 입각한 교화에 힘쓰고 당시 피폐되어 향촌민의 교육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던 향교를 관아 근처로 이건, 복구하였다.

그리고 양반들에게 교육기관으로서는 외면당하던 향교 대신 풍기의 사림 및 그들의 자제들을 위한 교육기관으로 중국주자가 세운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을 모방하여 고려말 성리학을 도입하였던 순흥 출신의 안향(安珦)을 배향한 백운동서원을 건립하였다.

그리고 서원의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서적을 구입하고 서원전(書院田)을 마련하였다. 서원을 통하여 사림을 교육하고, 또한 사림의 중심기구로 삼아 향촌의 풍속을 교화하려는 목적이었다.
3. 서원의 기반 확충과 저서
그러나 일부 사림과 안향의 후손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풍기 사림의 호응을 받지 못하다가 1546년 경상도관찰사로 도임한 안향의 11대손인 안현(安玹)의 노력으로 백운동서원은 확고한 기반을 갖추게 되었고, 1550년에 풍기군수였던 이황(李滉)청원으로 소수(紹修)라는 사액을 받아 조선 최초의 사액서원이 되었다.

이에 따라 백운동서원은 점차 풍기 사림의 중심기구로 변모해나갔다. 이후 이를 모방한 서원들이 각지에서 건립되었다.

청백리에 녹선(錄選)되었고, 「도동곡(道東曲)」‧「육현가(六賢歌)」‧「엄연곡(儼然曲)」‧「태평곡(太平曲)」 등 장가(長歌)와 「군자가(君子歌)」 등 단가(短歌) 8수가 전한다. 예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칠원덕연서원(德淵書院)에 주향되었고, 백운동서원에도 배향되었다.

저서로는 『죽계지(竹溪志)』『해동명신언행록(海東名臣言行錄)』『진헌심도(進獻心圖)』가 있고, 문집으로 아들 박이 편집하였다가 전란으로 없어져 1859년(철종 10) 후손들이 다시 편집한 『무릉잡고(武陵雜稿)』가 있다.

[참고문헌]

中宗實錄
明宗實錄
國朝榜目
國朝人物考
武陵雜稿
國朝人物志
海東雜錄
紹修書院謄錄(朝鮮史編修會, 1940)
朝鮮における書院の成立(柳洪烈, 靑丘學叢 29‧30, 1937‧1939)
白雲洞書院의 設立과 豊基士林(尹熙勉, 震檀學報 49, 1980)

[집필자]

윤희면(尹熙勉)

명 : "세붕(世鵬)"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震史記略v2然曰豈有此習乎執義任權曰今之大患正在於是不可謂無也彦光構陷權遠竄獻納周世鵬亦論啓安老彦光劾之反以書喭世鵬比於合尹三已無慍色世鵬答云讀書三十年反在吮舐之列是可慍也○閏六月放尹元老于外尹任東宮內舅元老中宮文定
震史記略v2曰今之大患正在於是不可謂無也彦光構陷權遠竄獻納周世鵬亦論啓安老彦光劾之反以書喭世鵬比於合尹三已無慍色世鵬答云讀書三十年反在吮舐之列是可慍也○閏六月放尹元老于外尹任東宮內舅元老中宮文定之兄相與有隙安老用事以
震乘總v3六年右參贊宋欽乞骸歸鄕上召見賜酒時年八十三全宋欽羅監司宋麟壽爲立耆英亭於其鄕以榮之○周世鵬爲豊基郡守世鵬就文成公安裕舊居建白雲書院以祀裕左右有序爲儒生棲息之所始開基掘地得銅器三百餘斤貿書以藏之勸課不怠士多
郯述v02戊辰 校理 世鵬
文獻攷略v4李滉繼世鵬而爲邑守轉聞于朝請依宋朝故事賜額頒書且給田土臧獲明宗五年賜額紹修又命申光漢作文記之書院賜額與書自此始
文獻攷略v4字約之世鵬子號龜峯校理
大事編年v4辛丑三十六年以周世鵬爲豐基郡守世鵬就文成公安裕舊居建白雲洞書院以祀裕左右有序爲儒生棲息之所開基掘地得銅器三百餘斤貿書以藏之勸課不怠士多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