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여지(金汝知)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E40C5ECC9C0B1370X0
자(字)사행(士行)
시호(諡號)문익(文翼)
생년1370(공민왕 19)
졸년1425(세종 7)
시대조선전기
본관연안(延安)
활동분야문신 > 문신
김도(金濤)

[상세내용]

김여지(金汝知)
1370년(공민왕 19)∼1425년(세종 7). 고려말과 조선초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사행(士行). 고려 밀직제학(密直提學) 김도(金濤)의 아들이다.

1389년(창왕 1)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고 사헌규정(司憲糾正)에 제수되었으나, 곧 언사(言事)로 전라도에 유배되었다.

1390년(공양왕 2)에 소환되어 우정언(右正言)이 되어 정도전(鄭道傳)을 탄핵하다가 파면되었고, 뒤에 예조좌랑이 되었다.

1392년(태조 1) 계림부판관(鷄林府判官)으로 재직할 때 함창군으로 유배되어 온 좌주(座主) 이종학(李種學)정도전의 사주를 받은 손흥종(孫興宗)이 해치려는 것을 구하였다. 곧 소환되어 간관(諫官)으로 근무하던 중 정도전이 “공양왕 2년에 나를 탄핵한 성랑(省郞)은 모두 파직되었는데 오직 김여지만이 관직에 있다.”고 한 말을 전해 듣고 사직하였다.

정도전이 실각한 뒤에 복직, 1402년(태종 2) 우헌납(右獻納)에 재직중 언사로 원평(原平)에 안치되었다. 다시 소환되어 병조이조정랑(正郞)을 역임하였다.

1403년 장령으로 승진하였으나, 언사로 순금사(巡禁司)에 수금되었다가 방환되면서 지봉주사(知鳳州事)로 쫓겨났다.

이듬해 예문관직제학, 집의로 옮겼다가 병으로 사직하였다.

1408년 판내섬시사(判內贍寺事)승정원우대언좌대언을 거쳐 1410년 지신사(知申事)가 되었다.

1413년 지신사 재직중에 고려 종실의 후손인 왕걸오미(王乬吾未)의 동정을 알고 보고하지 않은 죄로 파면되었다.

이듬해 예문관제학으로 복직되어 남재(南在) 등과 문과회시(文科會試)를 주관하고, 충정도관찰사로 파견되었다.

1416년 대사헌으로 입조하였고, 양녕대군(讓寧大君)이 폐세자되기까지 세자좌빈객을 겸임하였다.

1417년 어머니의 시병을 위하여 사직하였으나, 허락을 받지 못하고 예문관제학이 되었고, 이어 공조판서예조판서판한성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1418년(세종 즉위) 형조판서로서 하정사(賀正使)의 임무를 띠고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뒤 병으로 일시 사직, 1422년 예조판서로 복직되었다.

이듬해 의정부참찬으로 발탁되었으나 병으로 재차 사직하였다. 성품이 충직하고 도량이 넓었으며, 태종세종 성세의 일익이 되었다. 시호는 문익(文翼)이다.

[참고문헌]

高麗史
太祖實錄
太宗實錄
世宗實錄
增補文獻備考

[집필자]

한충희(韓忠熙)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