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남재(南在)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B0A8C7ACFFFFB1351X0
이명(異名)남겸(南謙)
자(字)경지(敬之)
호(號)귀정(龜亭)
시호(諡號)충경(忠景)
생년1351(충정왕 3)
졸년1419(세종 1)
시대조선전기
본관의령(宜寧)
활동분야변란 > 공신
남을번(南乙蕃)
저서『구정유고(龜亭遺稿)』
공신호회군공신(回軍功臣)
공신호개국공신

[관련정보]

[상세내용]

남재(南在)
1351년(충정왕 3)∼1419년(세종 1). 조선 초기의 개국공신. 본관은 의령(宜寧). 초명은 남겸(南謙), 자는 경지(敬之), 호는 구정(龜亭). 검교시중(檢校侍中) 남을번(南乙蕃)의 아들이며, 남은(南誾)의 형이다.

1371년(공민왕 20) 진사시에 제5등으로 합격하였다. 아우 남은과 함께 이성계(李成桂)의 세력에 가담하여 고려 조정의 신진사류로서 구세력과 대립하였다.

1389년(공양왕 즉위) 우사의(右司儀)가 되고, 1390년 판전교시사 겸 집의(判典校寺事兼執義)가 되어 이성계위화도에서 회군하자 윤소종(尹紹宗)과 함께 비록 행군에는 참여하지 않았으나, 사직(社稷)의 대계(大計)를 의논하고 그 계책을 도왔다.

그 공으로 회군공신(回軍功臣)에 봉하여지고, 곧 철원부사로 나갔다가 염문계정사(廉問計定使)로서 양광도(楊廣道)로 파견되어 민정을 살폈다. 조선이 개국되자 개국공신 1등에 녹훈되고 전지(田地) 170결(結)과 노비 20구를 하사받았다.

1393년(태조 2) 주문사(奏聞使)가 되어 명나라에 가서 사이가 좋지 않던 조선명나라와의 관계를 개선하여 명나라 태조로부터 3년에 한 차례씩 조공할 것을 허락받았다. 그 공으로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가 되고, 그 다음해에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가 되었다.

1395년 아버지의 상을 당하여 은거하니, 동생 남은과 함께 기복(起復)되어 삼사좌복야(三司左僕射)에 임용되고, 노비변정도감(奴婢辨正都監)판사를 맡았다.

1396년 예문관춘추관태학사(藝文館春秋館太學士)로서 도병마사가 되어 도통처치사(都統處置使) 김사형(金士衡)을 따라서 이키도(壹岐島)대마도를 정벌하였다.

1398년 정당문학(政堂文學)이 되어 정안군이 왕위에 오르는 데 큰 공을 세웠다. 태종이 즉위하자 세자의 서연관(書筵官)빈객(賓客)이 되었다.

1403년(태종 3) 경상도도관찰사가 되어 시무를 조정에 보고하니 그대로 시행하였고, 1404년 찬성사(贊成事)에 임명되었다.

1408년 대사헌이 되었다가, 1414년 우의정의령부원군(宜寧府院君)에 제배(除拜)되고, 감춘추관사(監春秋館事)로서 과거를 관장하여 권도(權蹈)성개(成漑) 등을 시취(試取)하였고, 또 하륜(河崙)과 함께 『고려사』를 개수하였다. 그해에 좌의정에 임명되었다가 1415년 좌의정에서 물러나고 수문전대제학 겸 세자부(修文殿大提學兼世子傅)가 되었다.

1416년 영의정에 임명되었다가 사면하였다.

1419년 12월 14일에 죽으니, 나라에서 조회(朝會)와 저자를 정지하고 부의를 내리고 세종이 직접 조문하였다.

성품이 활달하고 도량이 넓었으며, 마음가짐을 지극히 삼가면서도 바깥 형식에 거리낌이 없었다. 문장이 평정(平正)하고 아름다웠으며, 산술에 두루 통하여 누구도 풀 수 없는 것을 풀어내었으므로, 세상에서 그를 ‘남산(南算)’이라고 불렀다. 조선 태조의 묘정(廟庭)에 추가 배향되었다.

저서로는 『구정유고(龜亭遺稿)』가 있으며, 시호는 충경(忠景)이다.

[참고문헌]

高麗史
太祖實錄
太宗實錄
世宗實錄
國朝人物考
燃藜室記述
藥泉集

[집필자]

김구진(金九鎭)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