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희수(金希壽)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E40D76CC218B1475X0
자(字)몽정(夢禎)
호(號)유연재(悠然齋)
생년1475(성종 6)
졸년1527(중종 22)
시대조선전기
본관안동(安東[舊])
활동분야문신 > 문신
김숙연(金叔演)
조부김자행(金自行)

[상세내용]

김희수(金希壽)
1475년(성종 6)∼1527년(중종 22).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舊]). 자는 몽정(夢禎), 호는 유연재(悠然齋).

조부는 감사 김자행(金自行)이며, 부친은 김숙연(金叔演)이다.

1507년(중종 2) 참봉으로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이듬해 검열 권벌(權橃), 봉교 이희증(李希曾)김영(金瑛), 대교 윤인경(尹仁鏡) 등과 함께 무오사화에 대해 논계(論啓)하고 김종직(金宗直)의 억울함을 풀어주기를 청하였으나 허락받지 못하였다.

또, 왕은 천륜에 따라 덕치정치를 행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측근의 신하들이 필요하고 간언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충언하기도 하였다.

그뒤 1509년에 정자박사가 되고, 이어 지평검상이 되었다.

1514년 장령을 지냈으며, 1517년 집의참찬관 등을 거쳐 1520년 우부승지, 이듬해 좌부승지가 되었으며, 1524년 도승지를 거쳐, 이듬해 대사헌경상도감사로 나갔다.

그때 그곳의 사송(詞訟)이 적체되었다 하여 중앙에서 문제가 제기되기도 하였다.

1527년 동지중추부사가 되었다. 글씨에 뛰어났는데 특히 해서(楷書)에 능하였다. 동래의 낙안서원(樂安書院)에 제향되었다. 글씨로는 「계주문(戒酒文)」‧「영상김수동비(領相金壽童碑)」‧「영상성희안비(領相成希顔碑)」등이 있다.

[참고문헌]

中宗實錄
光海君日記
國朝人物考

[집필자]

이존희(李存熙)

성명 : "김희수(金希壽)"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06母伏誅廢爲庶人則其子寧保其名乎然此大事命大臣議之以實錄單子示之大司憲李自健執義成雲掌令李彦浩金硡持平金希壽尹宕大司諫趙元紀司諫柳雲獻納金璇正言李守英李元和等合辭啓曰傳敎以爲不可以其子之罪緣坐其親上敎甚當律文
紀年便攷v11金希壽永煦六世孫叔演子字夢禎號悠然齋中宗丁卯以參奉登增廣歴嶺伯官止大司憲善草隷名入筆苑子魯見下
紀年便攷v11金希壽
小華龜鑑v4得江字子游號灌圃又渾沌主人變甲從孫善詼諧昏朝不仕中宗朝大諫不起全彭齡號松亭監司沃川祠柳景深號龜村平監金希壽號悠然齋監司○子魯號東皐三司善書李楨號岩巖奎巖門人副學晉州院尹玉號東里慕齋門人刑參外孫李植趙仁奎號寓
國朝捷錄v01大烈八代祖成慨兵判柳公體申孝仲君友府尹金魯壻晋體金魯景三東皐湖堂誠立曾祖蜀體申檣岩軒叔舟父字濟夫工參金希壽夢楨悠然齋大憲安平大君瑢字淸之號匪懈堂羲之世遠我將疇依子昴挺出可與同敀金絿大業自庵副學光山人己卯謫南
湖南節義錄v1孤城月暈列鎭高枕君臣義重父子恩輕戒從者曰吾臍下有痣如豆徵以此收吾屍復據胡床張目掀髥神氣不亂軍官宋鳳壽金希壽鄕吏大宋伯小宋伯官奴鐵壽邁同等列立左右格鬪爭死公遂遇害調益玄蘇等相見嘖嘖引賊之害公者戮而殉之申汝櫓旣
湖南節義錄v1金希壽字仁甫金海人兵使壽延後大重子登武科官部將壬辰爲東萊府使宋忠烈公裨將戮力守城賊至翌日城遂陷公以身衛宋公
郯述v04金希壽
東國續修文獻錄v1興孝蜀申公濟見淸白蜀成任永之如雲華人吏判蜀金絿見名賢晉姜希顏景愚仁齋善畫詩府尹任士洪吏判蜀朴孝元吏佐金希壽夢禎悠然大憲成守琛聽松昌寧人李濟臣淸江全義人蜀宋寅明仲頤庵治禮學文靖蜀成渾見儒林金魯景參東皐希壽子
國朝人物志v2字士馨交河人縣監弘祐子大司憲金希壽外孫庚午生員乙酉文科兵曹判書判中樞府事入耆社善篆隷上同兄看字士雅戊午生員己巳文科判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