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영은(李永垠)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C601C740B1434X0
시호(諡號)정도(丁悼)
생년1434(세종 16)
졸년1471(성종 2)
시대조선전기
본관한산(韓山)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원증(李元增)
고조부이색(李穡)
공신호좌리공신(佐理功臣)

[상세내용]

이영은(李永垠)
1434년(세종 16)∼1471년(성종 2). 조선 초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이색(李穡)의 현손이며, 목사 이원증(李元增)의 아들이다.

1456년(세조 2) 식년문과에 정과로 급제, 승문원권지부정자가 되고 이듬해 문과중시에 일등으로 합격하여 사간원헌납을 거쳐 지평에 올랐다.

1459년 정효상(鄭孝常)김종직(金宗直) 등과 함께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하고, 이어 장령을 거쳐 1463년 직예문관(直藝文館)이 되어 세조의 문화정책에 기여하였다.

이듬해 집의로 재직하면서, 저화(楮貨)의 유통을 금지하고 포화(布貨)와 전폐(錢幣)의 유통을 주장하는 여섯 조항의 시폐(時弊)를 논하는 상소를 올려 문명을 떨치고 동부승지에 올랐다.

1466년 발영시(拔英試)에 급제하여 좌부승지가 되고 1469년 예종 즉위 직후 형조참판을 거쳐 그해 겨울 성종이 즉위하자 병조참판에 제수되었으며 이듬해 한산군(韓山君)에 봉하여졌다.

1471년(성종 2) 3월 성종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좌리공신(佐理功臣) 4등에 책록되고 동지중추부사가 되었으나, 같은해 9월 김겸광(金謙光)과 쟁첩(爭妾)한 혐의로 사헌부의 탄핵을 받자 발분하여 38세로 요절하였다.

성품이 총명하고 문사에 뛰어나 세조의 총애를 받았으며, 1463년 홍응(洪應)김수온(金守溫) 등과 함께 『명황계감가사(明皇誡鑑歌詞)』를 번역하였고, 1465년 『경국대전』 편찬에 참여하여 호전(戶典)을 고열(考閱)하였으며, 세조가 죽은 뒤에는 『세조실록』의 편찬을 주관하는 등의 학문적 업적이 있었다. 시호는 정도(丁悼)이다.

[참고문헌]

世祖實錄
成宗實錄
國朝榜目

[집필자]

이근수(李根洙)
대표명이영은(李永垠)
영은(永垠)
봉호한산군(韓山君)
성명이영은(李永垠)

성명 : "이영은(李永垠)"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03明澮墓碑○命申叔舟纂集太祖太宗世宗文宗四朝鴻猷善政名國朝寶鑑又撰東國通鑑○親試姜子平等十三人○重試取李永垠等二十一人○別試取吳凝等十三人
國朝編年v03正崔命孫不與焉又要于博士康致誠袖其草出與之粹倉卒竄改不暇淨寫而還檢閱楊守泗崔哲寬見其塗摖洗補言于參議李永垠永垠徧告諸堂上僉曰非細事也仍上聞時正言元叔康啓曰史書草姓名非古也恐無直筆者請勿書姓名上不允於是副正金
羹墻錄v2上閱官案令諸臣擧可合承旨者各一人輒問其人儒耶喉舌出納當用讀書人旣而曰無以易李永垠遂除永垠承旨上同
職官考v01李永垠
十九功臣會盟錄漢繼嫡長孫禦侮將軍行 忠佐衛副護軍臣柳德男佐理功臣李永垠嫡長孫禦侮將軍行 忠佐衛副護軍臣李世胤開國功臣鄭熙
孝宗國恤謄錄n1-1책服 練行祭而除喪仍服禫服中月而禫祔廟何如兵曹 參判李永垠議三年通喪臣子當據大經不可輕易 從權以議之但睿宗之
大事編年v3命孫欲改之不與又要于博士康致誠致誠袖與之粹倉卒竄改不暇淨寫而還納檢閱楊守泗崔哲寬見其塗擦洗補白之參議李永垠永垠徧告諸堂上僉曰非細事也乃聞于上初正言元叔康啓史草書名非古恐無有直筆者請勿書名上怒而不從至是副正金
國朝人物志v1康致誠袖其草出與之粹倉卒竄改不暇淨寫而還呈檢閱楊守泗崔哲寬見其塗擦洗補言于參議李永垠永垠徧告于諸堂上僉曰非細事也仍上聞時正言元叔康啓曰史草書姓名非古也恐無直筆者請勿書姓
國朝人物志v1曹參判有文名睿宗己丑爲副提學以史事告元叔康遂使叔康被禍季昌之季一作繼李永垠韓山人文科參判韓山君
二十一功臣會盟錄n1책孫臣李存道 佐理功臣金謙光嫡長孫臣金致麟 佐理功臣李永垠嫡長孫臣李枝碩 佐理功臣李克墩嫡長孫臣李喜濟 靖國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