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산보(李山甫)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C0B0BCF4B1539X0
자(字)중거(仲擧)
호(號)명곡(鳴谷)
시호(諡號)충간(忠簡)
생년1539(중종 34)
졸년1594(선조 27)
시대조선전기
본관한산(韓山)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지무(李之茂)
공신호호성공신(扈聖功臣)

[상세내용]

이산보(李山甫)
1539년(중종 34)∼1594년(선조 27).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중거(仲擧), 호는 명곡(鳴谷).

증영의정 이색(李穡)의 7대손이며, 이지무(李之茂)의 아들이다. 숙부인 이지함(李之菡)을 사사하였다.

1567년(명종 22) 사마시를 거쳐 1568년(선조 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의 추천으로 춘추관에 들어갔다가 전적해미현감정언 등을 지냈으며, 왕명을 받고 순안어사(巡按御史)로 북도(北道)를 순찰하고 돌아와 수찬교리지평헌납이조정랑 등을 역임하였다.

1577년 양모의 상을 당하여 관직을 사직하고 서천에 돌아갔다가 다시 사인집의사간응교직제학 등을 지냈으며, 당론을 끝까지 진술하다가 동인들의 탄핵을 받고 종부시정에 좌천되었다.

1년 뒤 다시 집의로 전임하였고, 이어 동부승지대사간우승지를 지냈다.

1585년 부제학 김우옹(金宇顒)이이(李珥)정철(鄭澈)이 행한 일을 논박하는 것을 반박하자, 선조는 그의 충절을 크게 칭찬하여 대사헌으로 특진시켰다. 뒤에 이이박순(朴淳)정철의 공적을 논하다가 사간원의 탄핵을 받고, 경상도황해도관찰사로 전직되었다.

1589년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인 기축옥사가 일어나자 대사간의 자리에서 난국을 수습하고, 이듬해 성절사(聖節使)명나라에 다녀와서 또다시 대사헌이 되었다.

1591년 황해도관찰사로 있다가 건저문제(建儲問題)로 정철 등 서인이 화를 당하자 이에 연루, 곧 파직되어 고향인 보령에 내려가 독서로 시간을 보냈다.

이듬해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를 호종(扈從)하였고, 대사간이조참판이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명나라 군대가 요양(遼陽)에 머물면서 진군하지 않자 그는 명나라 장군 이여송(李如松)을 설득하여 명군을 조선으로 들어오게 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이어서 군량을 조달하기 위하여 북도와 삼남지방의 도검찰사(都檢察使)로 나갔는데, 지난날의 선정에 감복하여 도민들이 적극 협조함으로써 무사히 해결하였다.

1594년에 대기근이 들자 동궁의 명을 받고 밤낮으로 구휼에 힘쓰다가 병을 얻어 죽었다.

1604년 호성공신(扈聖功臣) 2등에 책록되고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한흥부원군(韓興府院君)에 추봉되었다.

성품이 소박하고 정직하여 이해득실에 마음이 흔들리지 않았으며 시정에는 심신으로 다하였다. 보령화암서원(花巖書院), 서천건암서원(建巖書院)에 제향되었으며, 시호는 충간(忠簡)이다.

[참고문헌]

宣祖修正實錄
燃藜室記述
國朝榜目
海東名臣錄
尤庵集

[집필자]

조계찬(趙啓纘)

성명 : "이산보(李山甫)"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11澈者爭相歸罪萬車訾謗都萃於一鄭澈爲澈之計當復何爲嗜酒之謗果其實病直白玉微瑕耳比之他山石潔者宵壤不侔矣李山甫朴漸孝悌忠信奴隷所其言者以爲庸駁今之庸駁與古之庸駁不同矣前攻珥之時以安敏學李培達往來珥之門也以不道之
國朝編年v12念守愼四朝舊臣老病已甚命脈如縷自上待舊臣不可不存終始之義示以寬容恐合事體答曰知道○大司憲洪聖民大司諫李山甫合啓曰盧守愼承薦賢之命乃以逆賊應命當時逆節雖未盡露其凶譎陰邪之狀人或有的知者而至以爲薦助成逆豎凌駕之
國朝編年v13未還行在無大臣唯鄭澈以原任從之上若曰不幸當內附誰能從我者諸臣莫有應之者李恒福泣對請從時群臣無意隨駕唯李山甫李洪進願從餘皆願隨世子不得已扈從諸臣書單受點而行十五日平壤城失守浿江上流有王城灘水駃多底石非熟灘路者
紀年便攷v13不動其心其死也舂不相杵野無農歌者踰月後贈大司憲祭酒子希參字景魯號魯齋受學於成守㻠與李珥成渾鄭澈李義健李山甫為道義交天性㳟儉德行超俗明宣之間蔚有重望中司馬除官不就作喚仙亭於駒山之下以琴書自娛而卒
紀年便攷v16具繼禹綾城人字丕述號睡菴自㓜姿質宏厚善行著鄕里李之菡以為有大人氣象李山甫甞曰子吾之師表屡欲官之繼禹竟不肯
紀年便攷v16舎人典翰在翰苑時直書尹元衡罪見忤 母后大漸佛事有內㫖徴不奉命尹全州時鄭汝立寄州境徴絶不欵與鄭澈辛應時李山甫相善歴按五道 宣祖壬辰捧差京畿都觀察使以應西南軍仍饋餉天兵進十二策十八事以遇賊遁去加平罷職戊戌卒年六
紀年便攷v16李山甫季甸五世孫進士之茂子之菡従子中宗己亥生字仲舉號鳴谷學於之菡之菡甞称孝悌忠信雖出孔門可以無愧又曰可以記
紀年便攷v16李山甫
紀年便攷v17鄭曄草溪人昌後孫進士惟誠子明宗癸亥生李山甫婿字時晦號守夢嘗夢朱子授以八字故為號又雪村出入於宋翼弼李珥成渾之門宣祖癸未登别試歴南床忤權貴黜補鍾城
宣廟中興誌v1仁政殿受之命斬於城外賞義智等於是頒敎中外中外進賀以爲無憂議遣通信使上命諸臣議否可諸臣皆以爲通信獨李山甫以爲不可尹斗壽以爲奏聞天朝然後可遣李山海柳成龍力以主通信之議成龍以爲速定議回謝勿致生釁可也邊協
野乘v1○三月河大謙金千祐以臨海家臣武臣閔說道朴名賢髙彦伯以交通河金正刑餘皆㘴死李山甫尹承勲慶全爾瞻三司百官臨海按律李德馨鄭述趙正立䓁主全恩之許被斥皆呈辭不出
歷代帝王紀年v01孫舜考孝李山甫仲擧鳴谷許稠中通河陽人世宗朝相臣文敬公
國朝捷錄v01時晦守夢草溪人少時夢朱子受敎文左參栗谷門人父進士惟城祖進士判中撥六代孫龜峯門人廢母後敀臥呂江鳴谷李山甫
國朝捷錄v01書狀參判詮子李好閔禮判延陵君文僖公吏佐隨啓奏皆出此手尹根壽見上柳成龍以左相隨見上金應南時兵判隨駕見上李山甫號鳴谷力斥秀吉請和吏判瑞興君忠簡柳根晋原君典文贊成承旨隨駕李忠元定陽君判書隨駕洪暹慶興君上自寧邊移義
職官考v01李山甫
靑邱風雲v1號松江字季涵奇大升號高峯李陽元號鷺渚字伯春李濟臣號淸江崔岦號簡易齋沈守慶號聽天堂貞之孫李山甫號鳴谷丁胤禧號顧菴尹毅中號駱村朴好元號松月堂姜克誠號晚保堂李山海號鵝溪壟上人字汝受金玄
東國續修文獻錄v1有功李好閔延陵府院君禮判隨駕文僖柳根壽隨駕見光國功柳成龍以左相隨駕見光國功洪進唐興府院君端敏公隨駕李山甫以參判隨駕吏判忠簡公柳永慶全陽府院君見相吏判李忠元完陽府院君隨駕林東亮錦溪君以兵佐隨駕判禁李漢川君吏
國朝人物志v2見忤上旨免相初配明川命移晉州改寘江界加棘於是洪聖民李海壽尹斗壽根壽李山甫朴漸柳拱辰白惟咸張雲翼李春英黃廷彧黃赫金權黃愼柳根李洽任鉉具等皆坐竄
國朝人物志v2省五代孫以訓導中丙戌謁聖文科同年重試官至正壬辰扈駕功贈領議政嘗受學于鳴谷李山甫同上崔光弼字廷老江陵人師傅福慶孫戊子進士文科正郞有孝行旌閭叔父韹字叔和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