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송영구(宋英耉)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1A1C601AD6CB1556X0
자(字)인수(仁叟)
호(號)일호(一瓠)
호(號)백련거사(白蓮居士)
시호(諡號)충숙(忠肅)
생년1556(명종 11)
졸년1620(광해군 12)
시대조선중기
본관진천(鎭川)
활동분야문신 > 문신
송영(宋翎)

[상세내용]

송영구(宋英耉)
1556년(명종 11)∼1620년(광해군 12).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진천(鎭川). 자는 인수(仁叟), 호는 표옹(瓢翁)일호(一瓠)백련거사(白蓮居士).

부친은 송영(宋翎)이다. 성혼(成渾)의 문인이다.

1584년(선조 17) 유학으로서 친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주서사과(司果) 등을 역임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 때 도체찰사 정철(鄭澈)종사관이 되었고, 1597년 정유재란 때에는 충청도관찰사종사관이 되었다. 정언을 거쳐 지평으로서 성절사(聖節使)서장관이 되어 명나라에 다녀온 뒤, 완산에 살며 벼슬에 나가지 않았다.

1599년 충청도도사를 거쳐 지평이 되고 문학을 겸하였으며, 이듬해 이조정랑사인사간을 지내고 청풍군수대동도찰방(大同道察訪)을 역임하였다.

1607년 성주목사가 되었으나 곧 권신 정인홍(鄭仁弘)의 미움을 받아 파직되었다.

1610년(광해군 2) 사간에 임명되고 이어 필선으로 『선조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이듬해 경상도관찰사를 지냈다.

1613년 성절사명나라에 가서 일본과 수호한 사실이 없음을 밝힌 공으로 지중추부사가 되고, 1616년 행사직(行司直)으로 병조참판이 되었으나 1618년 폐모론에 반대하며 정청(庭請)에 참여하지 않고 또 낙서 등으로 비방한 것으로 인하여 파직되었다.

풍채가 단아하고 언행이 바르며 성격이 강직하였으나 남의 잘못은 너그럽게 용서해주어 뭇사람들의 존경을 받았다. 인조반정 뒤 예조판서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충숙(忠肅)이다. 전주서산사(西山祠)에 제향되었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國朝人物考
國朝榜目

[집필자]

이정일(李貞一)

성명 : "송영구(宋英耉)"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18何過於此哉卿等須以此爲宗主亦可謂知言矣顧惟寡昧所重者私恩卿等掩義之論誠不忍聞焉○二月合啓李廷龜吳允謙宋英耉李時彦不參廷請請削黜李愼義金權權士恭敢獻右袒之議請竄黜答曰不參廷請者只此四人乎食君衣君而不參廷請之罪
國朝編年v18龍崗定平承旨白大珩韓纘男手擲配單持地昆輩負何等罪惡而乃配以便近地改配奇朔州李北淸卒金權務安李廷龜吳謙宋英耉李時彦不參廷請己削黜敢獻右袒之議廷請不參人員令政府詳察分明書啓禮判李爾瞻參判尹壽民參議李命男啓辭西宮
紀年便攷v17宋英耉
紀年便攷v17宋英耉愚六世孫翎子明宗丙辰生字仁叔一仁叟號瓢翁又一瓢又白蓮居士成渾門人宣祖甲申登親試歴銓郞舍人為都軆察使鄭
野乘v1○趙存性囬自亰師以杭州漂海人觧還奬諭賜與如例順差賀至宋英耉謝恩且上以倭情疑悞奏卞誣文禮部不為覆題又有道路流傳我國與倭事俱極誣冈仍伸前請
野乘v1甲寅宋英耉囬自亰師
寒臯觀外史v55人官領相謚忠貞英耉字仁叟號瓢翁鎭川人官禮參謚忠肅時發字養久號碧梧慶州人官刑判謚忠翼尙容李時彦吳允謙宋英耉爲八奸李時發金瑬友敬南陽人參判湜之子也尙宣祖苐四女貞仁翁主唐原尉頔晋州人校理時行之子也尙宣祖苐八女貞
寒臯觀外史v59字仁叟號瓢翁鎮川人官禮參謚忠肅宋參判英耉家及公死軍之生還者望見宋家指之曰此吾將帥寓宿處相與痛哭而去宋英耉云右忠遵井壯應事蹟
錦營公案都事 宋英耉 己亥閏四月十三日來以舟師褒啓仍任 官至參判
職官考v01宋英耉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