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오건(吳健)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624AC74FFFFB1521X0
자(字)자강(子强)
호(號)덕계(德溪)
생년1521(중종 16)
졸년1574(선조 7)
시대조선전기
본관함양(咸陽)
활동분야문신 > 문신
오세기(吳世紀)
저서『덕계문집』
저서『정묘일기(丁卯日記)』

[상세내용]

오건(吳健)
1521년(중종 16)∼1574년(선조 7).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자강(子强), 호는 덕계(德溪).

부친은 오세기(吳世紀)이다.

11세에 부친상을 당하였으나 효성으로 소문이 났으며, 모친상을 당해서는 더욱 예의에 힘써 1549년(명종 4)에 예조로부터 포상을 받고, 왕으로부터 복호(復戶: 조세나 역을 면제해주는 것)를 받았다.

14세 때부터 경(經)‧자(子)‧사(史)에 몰두하였으나 집이 가난하여 선생을 모실 수 없었으므로 홀로 『중용』을 수백번 반복 연마하여 통달하고 『대학』『논어』『맹자』 등도 연구하였다.

조식(曺植)덕산동(德山洞)에서 강론하자 문인으로 수학하였으며, 김인후(金麟厚)이황(李滉)의 문인이기도 하다. 이황도 그의 학문이 정밀하고 심오함을 칭찬하였다.

1552년 진사시에 합격하고, 1558년에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567년 승정원주서가 된 뒤 이듬해 정언헌납지평교리직강사성호조예조병조공조좌랑, 검상(檢詳)사인(舍人) 등을 역임하였다.

1571년(선조 4) 이조좌랑으로 있으면서 춘추관기사관을 겸하여 『명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경연(經筵)에서 학문의 길은 궁리(窮理)와 거경(居敬)에 있다고 논한 바 있고, 소를 올려 학문을 진흥시킬 것과 간쟁을 받아들일 것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조정의 분위기가 직언을 싫어하고 사류(士類)들을 외면하는 경향이 강하자 1572년 이조정랑으로 있다가 관직을 버리고 경상도 산음 덕계리(德溪里)로 낙향하였다.

여러 차례 조정에서의 부름이 있었으나 모두 거절하고 서사(書史)를 섭렵하면서 시작(詩作)과 강론으로 여생을 마쳤다. 문인들이 덕계선생(德溪先生)이라 불렀으며, 산청(山淸)서계서원(西溪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덕계문집』『정묘일기(丁卯日記)』 등이 있다.

[참고문헌]

明宗實錄
宣祖實錄
宣祖修正實錄
國朝人物考
國朝榜目
嶺南人物考
德溪先生文集
東儒師友錄

[집필자]

정중환(丁仲煥)

성명 : "오건(吳健)"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09變異常延訪公卿領相李浚慶對以嘉禮在邇而變異如此恐有後日宮闈干政外戚橫恣之弊願恐懼修省○時中宮未建獻納吳健啓曰擇妃當先觀家法且外戚之患不可不預防上曰人君自不賢故外戚爲患人君苟賢外戚豈能作威福乎珥曰殿下所見誠卓
紀年便攷v14吳健咸陽人世紀子中宗辛巳生字子強號德溪從曺植逰而研經好學則自得誠多又師事金麟厚明宗壬子進士戊午登明經科歴
紀年便攷v14吳健
紀年便攷v14李長榮萬榮弟字壽卿號竹谷逰曺植吳健之門從事性理之學明宗己酉進士戊午登明經科宣祖丙戌以繕工監正魁重試官止大司諌七典州邑清白無比以徳行文章
紀年便攷v16郞謹友子中宗癸未生字仲輔號介菴以先進事曹植與盧禛為莫逆交其行篤其學固天品高明於世味泊如也宣祖即位丁卯吳健薦以學行可用特拜昭格署参奉是年卒年四十五院享
紀年便攷v16翁子景虎族孫字叔載號玉洞明宗戊午進士辛酉登明經科丙寅以洪原縣監登重試官止牧使力學能文徃來曹植之門又従吳健
宣鑑補遺v1千仞如南冥 比無幾星官南師古 曾語人曰今世處士皇無光不久而南冥 歿南冥 可謂應時非常之士哉○吏曹正郞吳健號德溪棄官歸鄕健少好學從曺植 遊晩以科第發身非門閥故仕不顯名士多知其賢薦以史官史官例試才健不就試人問
震乘總v4迄今將五十年未已倭寇發於壬辰宣廟自社稷洞入承大統泰山者泰陵之謂也文定薨於其明年葬于吳健泰陵○吏曹正郞吳健棄官敀鄕字子强號德溪健少好學從曹植游薦史官不就試曰我何苦自入千古是非叢中乎旣作銓郞務恢公道爲人淳實果
震乘總v4吳健
小華龜鑑v5號長浦聽松門人牧使能文善書好滑稽梁應鮐號虛直菴初名台探花郞放榜御賜魚邊姜克成號醉竹私淑齋希孟曾孫舍人吳健號德溪南冥門人舍人山陰院朴漑號煙波釣徒思菴淳兄不事擧業起亭江上輕舠往來晩仕郡守李瑀號玉山栗谷弟黃耆老
小華龜鑑v7福等卽西也草堂許曄東岡金宇顒鵝溪李山海蘇齋盧守愼西崖柳成龍鶴峯金誠一東巖李潑坡谷李誠中丹崖李敬中德溪吳健梧里李元翼漢陰李德馨藥圃鄭琢北渚金瑬松窩李墍淵巖禹性傳斗巖金應南雪蓑南以恭夢隱崔鐵堅晴峯尹承勳恒齋鄭
靑野만集v4吳健號德溪少好學從曹植遊晩以科第拔身非門閥故仕不顯名士多知其賢薦以史官史官例試才健不就試人問其故健曰我苦
寒臯觀外史v67辛未正月因事與同官皆逓遷授司直同月拜禮曹正郞二月拜司憲府持平時吏曹佐郞吳健前秋以御史徃湖南聞妹病乗馹徑徃山隂而健以宿儒時方柄用不敢論其失予以爲此公過也非身累也若憚於名士不敢論
郯述v04吳 健
文獻攷略v1○宣廟初中宮未建獻納吳健啓曰擇妃當先視家法且外戚之患不可不預防上曰人君自不賢故外戚爲患人君苟賢外戚豈能作威福乎校理李珥曰殿下
靑邱風雲v1可按而知也粤在明廟朝沈義謙以舍人稟事尹元衡見金孝元寢具在其甥室心鄙之及宣廟朝孝元釋褐有盛名吳健力薦銓郞則義謙執前事不許少輩譁然指義謙妨賢弄權孝元又目義謙爲人戇粗至謂不可柄用縉紳遊談之徒左
韓史綮v1奸哉其後孝元登第頗自持淸苦當官擧職朝鮮故例吏曹注擬佐郞主可否故佐郞位雖卑而其選特重謂之銓郞吏曹正郞吳健欲薦孝元爲佐郞義謙聞而沮之由是孝元淹滯六七年始得爲銓郞頗不平於義謙會銓郞有缺有薦義謙弟忠
國朝人物志v2壽曾孫力學能文辛酉生員進士文科丙寅重試官至牧使一時榮之嘗往來先生門下後在京邸與德溪吳健從游上同林希茂玉溪盧禛姨弟也從玉溪屢拜先生官至郡守同上李喜生字景胤與
國朝人物志v3字順甫丹城人號茅溪父山斗賢而有禮緯受易於德溪吳健又從寒岡鄭逑學壬辰起義兵屬金沔明年沔疫死緯任後事益辦能盡其禮士衆歸心及亂平居家敎授
國朝人物志v3山海蘇齋盧守愼西厓柳成龍鶴峯金誠一東岩李潑坡谷李誠中丹厓李敬中德溪吳健梧里李元翼漢陰李德馨藥圃鄭琢松窩李墍秋淵禹性傳斗岩金應南雪蓑南以恭夢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