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능보(徐能輔)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11CB2A5BCF4B1769X0 |
자(字) | 치량(穉良) |
생년 | 1769(영조 45) |
졸년 | 1835(헌종 1)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대구(大丘)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서유경(徐有慶) |

[상세내용]
서능보(徐能輔)
1769년(영조 45)∼1835년(헌종 1).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대구(大丘). 자는 치량(穉良). 판서 서유경(徐有慶)의 아들이다.
1802년(순조 2) 정시문과에 장원하였으며, 1808년 평안도암행어사로 나갔다가 1810년 홍문관수찬이 되고, 이어 교리가 되었다.
1811년 홍경래(洪景來)의 난이 일어나자 관서순무사(關西巡撫使) 이요헌(李堯憲)의 종사관이 되어 활약했다.
그뒤 승지를 거쳐 1816년 강화부유수가 되고, 이어 황해도관찰사‧이조참판‧대사간‧광주부유수‧평안도관찰사 등을 역임하고, 1828년 이조판서에 승진하였다.
이듬해 한성부판윤‧형조판서를 지내고 1830년 다시 이조판서가 되어 우부빈객(右副賓客)을 겸하다가 좌참찬에 이르렀다.
1802년(순조 2) 정시문과에 장원하였으며, 1808년 평안도암행어사로 나갔다가 1810년 홍문관수찬이 되고, 이어 교리가 되었다.
1811년 홍경래(洪景來)의 난이 일어나자 관서순무사(關西巡撫使) 이요헌(李堯憲)의 종사관이 되어 활약했다.
그뒤 승지를 거쳐 1816년 강화부유수가 되고, 이어 황해도관찰사‧이조참판‧대사간‧광주부유수‧평안도관찰사 등을 역임하고, 1828년 이조판서에 승진하였다.
이듬해 한성부판윤‧형조판서를 지내고 1830년 다시 이조판서가 되어 우부빈객(右副賓客)을 겸하다가 좌참찬에 이르렀다.
[참고문헌]
純祖實錄
國朝榜目
國朝榜目
[집필자]
홍순만(洪淳晩)
대표명 | 서능보(徐能輔) |
성명 | 서능보(徐能輔) |
성명 : "서능보(徐能輔)"에 대한 용례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