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경래(洪景來)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D64DACBDB798B1771X0 |
생년 | 1771(영조 47) |
졸년 | 1812(순조 12)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남양(南陽[唐]) |
활동분야 | 변란 > 모반인 |

출신지 | 용강(龍岡) |

[상세내용]
홍경래(洪景來)
1771년(영조 47)∼1812년(순조 12). 조선 후기 농민반란의 우두머리. 본관은 남양(南陽[唐]). 용강(龍岡) 출신.
외숙 유학권(柳學權)에게 학문을 배웠고, 1798년(정조 22) 사마시에 실패하였으나 과거를 치를 만큼 경서에 대한 일정한 수준의 교양과 함께 병서(兵書)나 제반 술서(術書), 특히 『정감록(鄭鑑錄)』 등에 통달하였다.
과거에 실패한 뒤 관로를 포기하고 집을 나와 풍수로서 각지를 전전하며 빈한한 생활을 하였다. 당시 과거제도의 부패상, 안동김씨의 세도정치, 삼정의 문란 등으로 일반백성들의 비참한 현실을 체험하면서 사회의 모순에 대한 객관적인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던 중 가산에서 풍수로 부호의 집을 드나들던 우군칙(禹君則)을 만나 시국을 논하던 중 깊이 공감하고 반란을 일으키기로 약속하였다. 그는 시국에 불만을 품고 있는 자들을 이용하여야 한다고 판단, 당시 향촌에서 부를 축적하여 하층지배자로 진출한 계층과 황해도‧평안도 일대의 사상인(私商人)에게 접근하였다.
또, 관로가 막혀 현실에 불만을 품고 있던 양반지식층에게도 접근, 진사 김창시(金昌始) 등을 끌어들였다. 한편으로 우군칙과 친하게 지내던 이희저(李禧著)를 이용, 부상대고들의 후원을 받도록 하였다.
즉, 정주성의 거부(巨富) 이침(李琛)‧김석하(金石河), 안주상인(安州商人) 나대곤(羅大坤), 송상(松商) 박광유(朴光有)‧홍용서(洪龍瑞) 등이 그 대표적인 인물들이다.
또, 역사(力士)의 발굴에도 주력하여 제상(蹄商) 홍총각(洪總角), 가난한 평민 이제초(李濟初) 등의 장수, 그리고 지략과 무용을 겸비한 우군칙의 제자 김사용(金士用)과 함께 가산 다복동(多福洞)을 근거지로 하여 인재와 비용을 준비하기 20여년 만인 1811년(순조 11) 극심한 흉년으로 인심이 흉흉해진 틈을 타 난을 일으켰다.
난의 초기에는 각지의 내응세력의 도움으로 민폐를 끼치지 않고 엄한 군율에 따라 쉽사리 가산‧곽산 등 7개 읍을 점령할 수 있었다.
그러나 안주‧연변의 진공을 앞두고 내분이 일어나는가 하면 홍경래마저 부상을 당하자 사태는 더욱 불리해졌다. 더욱이 봉기의 주축 세력 가운데는 그를 암살하여 관군에 공을 세우려는 배반자도 있었다.
이런 가운데 박천‧송림전투에서 패배하기에 이르렀고, 반란군은 정주성으로 후퇴할 수 밖에 없었다. 고립된 정주성에서 4개월간 버티었으나 결국 성은 함락되고 그도 총에 맞아 죽고 말았다.
그는 조선후기 사회가 가진 모순을 깊이 인식한 뒤 사회변혁을 위하여 10여년간 동지를 규합하고 치밀한 준비 끝에 거병하여 5개월간 평안도 일대를 휩쓸었던 것이다.
그러나 하층농민들의 반봉건적인 거대한 힘과 절실한 이해를 흡수하여 대변하지 못한 인식의 한계, 그리고 당시의 사회적 제약으로 난은 끝내 실패하였다.
외숙 유학권(柳學權)에게 학문을 배웠고, 1798년(정조 22) 사마시에 실패하였으나 과거를 치를 만큼 경서에 대한 일정한 수준의 교양과 함께 병서(兵書)나 제반 술서(術書), 특히 『정감록(鄭鑑錄)』 등에 통달하였다.
과거에 실패한 뒤 관로를 포기하고 집을 나와 풍수로서 각지를 전전하며 빈한한 생활을 하였다. 당시 과거제도의 부패상, 안동김씨의 세도정치, 삼정의 문란 등으로 일반백성들의 비참한 현실을 체험하면서 사회의 모순에 대한 객관적인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던 중 가산에서 풍수로 부호의 집을 드나들던 우군칙(禹君則)을 만나 시국을 논하던 중 깊이 공감하고 반란을 일으키기로 약속하였다. 그는 시국에 불만을 품고 있는 자들을 이용하여야 한다고 판단, 당시 향촌에서 부를 축적하여 하층지배자로 진출한 계층과 황해도‧평안도 일대의 사상인(私商人)에게 접근하였다.
또, 관로가 막혀 현실에 불만을 품고 있던 양반지식층에게도 접근, 진사 김창시(金昌始) 등을 끌어들였다. 한편으로 우군칙과 친하게 지내던 이희저(李禧著)를 이용, 부상대고들의 후원을 받도록 하였다.
즉, 정주성의 거부(巨富) 이침(李琛)‧김석하(金石河), 안주상인(安州商人) 나대곤(羅大坤), 송상(松商) 박광유(朴光有)‧홍용서(洪龍瑞) 등이 그 대표적인 인물들이다.
또, 역사(力士)의 발굴에도 주력하여 제상(蹄商) 홍총각(洪總角), 가난한 평민 이제초(李濟初) 등의 장수, 그리고 지략과 무용을 겸비한 우군칙의 제자 김사용(金士用)과 함께 가산 다복동(多福洞)을 근거지로 하여 인재와 비용을 준비하기 20여년 만인 1811년(순조 11) 극심한 흉년으로 인심이 흉흉해진 틈을 타 난을 일으켰다.
난의 초기에는 각지의 내응세력의 도움으로 민폐를 끼치지 않고 엄한 군율에 따라 쉽사리 가산‧곽산 등 7개 읍을 점령할 수 있었다.
그러나 안주‧연변의 진공을 앞두고 내분이 일어나는가 하면 홍경래마저 부상을 당하자 사태는 더욱 불리해졌다. 더욱이 봉기의 주축 세력 가운데는 그를 암살하여 관군에 공을 세우려는 배반자도 있었다.
이런 가운데 박천‧송림전투에서 패배하기에 이르렀고, 반란군은 정주성으로 후퇴할 수 밖에 없었다. 고립된 정주성에서 4개월간 버티었으나 결국 성은 함락되고 그도 총에 맞아 죽고 말았다.
그는 조선후기 사회가 가진 모순을 깊이 인식한 뒤 사회변혁을 위하여 10여년간 동지를 규합하고 치밀한 준비 끝에 거병하여 5개월간 평안도 일대를 휩쓸었던 것이다.
그러나 하층농민들의 반봉건적인 거대한 힘과 절실한 이해를 흡수하여 대변하지 못한 인식의 한계, 그리고 당시의 사회적 제약으로 난은 끝내 실패하였다.
[참고문헌]
純祖實錄
關西辛未錄
陣中日記
西征日記
壬申平亂錄
關西平亂錄
平安監營啓錄
巡撫營謄錄
西賊變出後朝級日記
征剿輯略
日乘
洪景來傳(玄相允, 東亞日報社, 1932)
洪景來(趙鏞薰, 正音社, 1949)
洪景來(張德順, 韓國의 人間像 2, 新丘文化社, 1965)
洪景來亂과 定州城圖(李丙燾, 白山學報 3, 1967)
洪景來亂의 性格(鄭奭鍾, 韓國史硏究 7, 1972)
關西辛未錄
陣中日記
西征日記
壬申平亂錄
關西平亂錄
平安監營啓錄
巡撫營謄錄
西賊變出後朝級日記
征剿輯略
日乘
洪景來傳(玄相允, 東亞日報社, 1932)
洪景來(趙鏞薰, 正音社, 1949)
洪景來(張德順, 韓國의 人間像 2, 新丘文化社, 1965)
洪景來亂과 定州城圖(李丙燾, 白山學報 3, 1967)
洪景來亂의 性格(鄭奭鍾, 韓國史硏究 7, 1972)
[집필자]
정석종(鄭奭鍾)
명 : "경래(景來)"에 대한 용례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