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서구(李書九)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C11CAD6CB1754X0
자(字)낙서(洛瑞)
호(號)강산(薑山)
호(號)소완정(素玩亭)
호(號)석모산인(席帽山人)
생년1754(영조 30)
졸년1825(순조 25)
시대조선후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문학 > 문인
이원(李遠)
진주이씨(晉州李氏)
생모평산신씨(平山申氏)
외조부신사관(申思觀)
외조부이한복(李漢復)
저서『척재집』
저서『강산초집(薑山初集)』

[상세내용]

이서구(李書九)
1754년(영조 30)∼1825년(순조 25). 조선 후기 사가시인(四家詩人)의 한 사람.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낙서(洛瑞), 호는 척재(惕齋)강산(薑山)소완정(素玩亭)석모산인(席帽山人).

부친은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부영의정을 증직받은 이원(李遠)이며, 모친은 정경부인을 증직받은 평산신씨(平山申氏)부사 신사관(申思觀)의 딸이다.

1758년(영조 34)그의 나이 5세 때 어머니를 여의었고, 계비(繼妣)는 진주이씨(晉州李氏)이한복(李漢復)의 딸이며 역시 정경부인이 되었다.

그는 외할머니에게서 자랐으며, 외숙으로부터 당시(唐詩)‧『사기』『통감(通鑑)』 등을 배웠다. 외가에서 7년을 지내고 12세가 되던 1765년 아버지에게 돌아와 여러 경전(經典)을 읽기 시작하였다.

16세부터 박지원(朴趾源)을 만나 문장을 배우기 시작하였고, 1770년에는 귀양에서 돌아온 아버지를 잃었다.

이때까지 그는 일정한 스승이 없이 시문과 금석(金石)‧육서(六書) 등을 읽다가, 21세 되던 1774년 가을에 정시(庭試)병과에 제16인으로 뽑혔고, 10월에 섭기주(攝記注)로 첫 벼슬을 받았다.

22세 때인 1775년부터 5, 6년간은 오로지 학문에만 뜻을 두고, 특히 사서를 탐독하였다.

1785년에 시강원사서, 1786년에 홍문관교리를 거쳐 한성부판윤평안도관찰사형조판서판중추부사 등의 벼슬을 하며 임금의 총애를 받았다.

그는 문자학(文字學)과 전고(典故)에 조예가 깊고 글씨에 뛰어났다. 사가시인 중에서는 유일한 적출이었고, 벼슬도 순탄하게 올라갔다.

그러나 어려서 어머니를 여읜 외로움이 일생동안 영향을 미쳤고, 벼슬보다는 은거(隱居)에 미련을 가졌으며, 아들이 없음과 늙어감과 벼슬을 한 일, 이 세가지를 평생의 한으로 여겼다.

그는 한번도 연행(燕行)길에 오르지는 않았으나, 홍대용(洪大容)박지원의 문하에 출입하면서 이덕무(李德懋)유득공(柳得恭)박제가(朴齊家) 등 실학파 문사들과 사귀며 학문과 문학을 연마하고 시국을 논하였으므로, 자연히 독창과 개성, 현실문제, 조선의 역사와 자연에 대한 관심을 표현하는 문학을 하게 되었다.

22세 때에 이덕무 등과 함께 『한객건연집(韓客巾衍集)』에 참가함으로써 사가시인 또는 실학사대가(實學四大家)라는 칭호를 얻게 되었다.

그의 시는 그의 개인적 성향관계로 혁신적이거나 현실에만 치우치기보다 온유돈후하고 사색적이며, 사물을 관조하는 자세로 담백하게, 고묘(高妙)한 정신세계를 표현하고 있는 것이 많다. 고요하고 아름다운 자연세계와 고귀한 내면의 깊이를 아울러 그려냄으로써 시의 격조를 높이는 데 힘썼다.

문집으로 『척재집』『강산초집(薑山初集)』이 전한다.

[참고문헌]

箋註四家詩(翰南書林, 1917)
愓齋集(民族文化社, 1980)
朝鮮朝後期漢詩硏究(鄭良婉, 誠信女子大學校, 1983)

[집필자]

김진영(金鎭英)
대표명이서구(李書九)
서구(書九)
성명이서구(李書九)
낙서(洛瑞)
강산(薑山), 척재(惕齋)

성명 : "이서구(李書九)"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待闡錄v8庚申六月初五日禮參李書九疏曰臣於日前猥從諸臣之後伏覩我殿下澳發明諭敷示聖志者屢千百言諄複痛切莫非憂念世道保惜世臣之至意臣仰而
待闡錄v8啓恢張大論而又何顚倒而失序耶彼敬臣雖不足道其聀前銜臺閣也其疏論人也一忤重臣而遽請拿鞫則後弊不可漸也以李書九言之遭彈有異於上變則議律亦當有次第也且況兩是雙非之論自有臺啓以來未之前聞何不指一而論罪乎噫李書九之事
待闡錄v8也以李書九言之遭彈有異於上變則議律亦當有次第也且況兩是雙非之論自有臺啓以來未之前聞何不指一而論罪乎噫李書九之事虛實未分之前自在於黨裕之科以黨裕之罪論列不害爲臺體之嚴重矣當日臺臣但當請嚴鞫書九書九之言與敬臣之
待闡錄v9分則種下之種滋蔓難圖將不知幾箇達淳又出於他日豈不切齒痛心處乎煥之之稔凶至此者一則以鄭日煥爲謀主二則以李書九爲腹心或播傳三揀不爲之說或汲汲擧擬於都憲之望隱然以裕賊之疏歸之於自中之樹立必欲背馳我先王沮戲我大婚究
待闡錄v9者詡以忠愛則詡之者與見詡者相去爲幾何耶達淳之當初筵奏傳法於煥之辛酉筵達而凌脅極矣達淳之所謂邪說發軔於李書九之庚申疏句而腸肚連矣噫彼書九自是戾氣所鍾甘作逆藪謀主千妖萬惡都萃一身凶國禍家網打搢紳卽渠梟腸中自來設
待闡錄v10煥之諸子事達淳諸子事日煥諸子事徐有恂等事漢祿事日柱事龜柱支屬事龍柱事此卽李疏後舊罪人外新修罄改案新啓李書九薄有才藝工於反覆迹其平生可謂千億化身而此於渠猶屬餘事而庚申一疏設爲問答極其妖譎頭䐉於裕疏根本於達奏爲
待闡錄v10供今當三賊逆節彰露聲討方張之時根窩之如書九血黨之如書九者偃息在家官爵自如亂臣賊子將何以知懼乎請前監司李書九設鞫得情夬正典刑云云合啓有有隣諸子事停啓庚申後被誣人至是竝蕩滌
國朝捷錄v01李書九
從宦錄庚辰年間李書九按藩時所刊行也貢膳
疏箚錄v28成日課謾命之誅臣何敢逃伏乞聖慈亟遞臣職臣方丐兌不宜贅他而事係至重駭憤弸中玆敢尾陳之惟聖明少垂察焉噫彼李書九之負犯何如關係何如而發啓已久而尙緩盤鞫之擧時月玩愒擧懷觀望之心臣竊爲之惑焉藉曰無罪耶則豈可置諸乙昧之
疏箚錄v30分則種下之種滋蔓難圖將不知幾箇達淳又出於佗日豈不切齒痛心處乎煥之之稔凶至此者一則以鄭日煥爲謀主二則以李書九爲腹心或播傳三揀不爲之說或汲汲擧擬於都憲之望隱然以裕賊之疏歸之於自中之樹立必欲背馳我先王沮戲我大婚究
疏箚錄v35詡以忠愛則詡之者與見詡者相去爲幾何耶達淳之當初筵奏傳法於煥之之辛酉筵達而凌脅極矣達淳之所謂邪說發軔於李書九之庚申疏句而而腸肚連矣彼書九自是戾氣所鍾甘作逆藪謀主千妖萬惡都萃一身凶國禍家網打搢紳卽渠梟腸中自來設
正宗大王遷陵誌全羅監司李書九進 香文
尊崇都監儀軌n1-1책 大護軍臣權裕臣李祖承戶曹判書臣趙鎭寬吏曹判書臣 李書九知敦寧府事臣李集斗工曹判書臣閔台爀刑曹判 書臣曺允
尊崇都監儀軌n1-1책官行禮曹判書李晩秀預差行大護軍黃昇源書寫官吏曹判書李書九預差刑曹判書曺允大樂章文製述官行兵曹判書李秉鼎玉寶
尊崇都監儀軌n1-1책以都提調意啓曰大王大妃殿尊崇玉冊 文書寫官吏曹判書李書九在外王大妃殿尊崇玉冊 文書寫官李集斗方在罷職中其代
禁衛營謄錄n1-121책之法制以臣膚淺之見存罷便否無 以率爾仰對矣戶曹判書李書九曰壯勇營事惟在善後之 如何而臣於昔年亦爲屢奉聖敎矣
禁衛營謄錄n1-121책 癸亥七月初三日 備邊司啓曰向因前戶曹判書李書九所啓嘉禮 時所入物力依各年已例限六萬五千兩令廟堂區
禁衛營謄錄n1-121책 詳定作錢直納京司之意筵稟行會諸道矣卽見 全羅監司李書九所報則以爲外邑之各樣上納一委監 色任其偸弄大是痼弊
韓史綮v3甲申二十四年淸宣宗道光三年以李書九爲右議政書九少工詩與李德懋柳得恭朴齊家三人同游朴趾源之門有四傑之稱正祖末登第選爲抄啓文臣至是擢爲宰輔
韓史綮v3爲右議政書九少工詩與李德懋柳得恭朴齊家三人同游朴趾源之門有四傑之稱正祖末登第選爲抄啓文臣至是擢爲宰輔李書九罷以李相璜代爲右議政相璜少黨人有淸裁雅量金祖淳重之屢加汲引每見必爲之折節厚待祖淳子姪以相璜貌寢心易之
東國續修文獻錄v1轍字元平號金陵宜寧人文領相致仕文獻林漢浩字景昭羅州人文右相貞簡李相璜字周玉全州人文領相文翼李書九字洛瑞號薑山全州人文右相己丑追奪後伸沈象奎字穉敎號斗室溫后文左相李存秀字聖老號金石天輔孫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