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박제가(朴齊家)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BC15C81CAC00B1750X0
자(字)재선(在先)
자(字)수기(修其)
호(號)초정(楚亭)
호(號)위항도인(葦杭道人)
호(號)정유(貞蕤)
생년1750(영조 26)
졸년1805(순조 5)
시대조선후기
본관밀양(密陽)
활동분야학자 > 실학자
박평(朴坪)
묘소경기도 광주
저서『북학의』
저서『정유집(貞蕤集)』
저서『정유시고(貞蕤詩稿)』
저서『명농초고(明農草藁)』

[상세내용]

박제가(朴齊家)
1750년(영조 26)∼1805년(순조 5). 조선 후기의 실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차수(次修)재선(在先)수기(修其), 호는 초정(楚亭)정유(貞蕤)위항도인(葦杭道人).
1. 가계와 교유
박율(朴栗)의 6대손이며 승지 박평(朴坪)의 서자이다.

소년시절부터 시‧서‧화에 뛰어나 문명을 떨쳐 19세를 전후하여 박지원(朴趾源)을 비롯한 이덕무(李德懋)유득공(柳得恭)서울에 사는 북학파들과 교유하였다.

1776년(정조 즉위)에는 이덕무유득공이서구(李書九) 등과 함께 『건연집(巾衍集)』이라는 사가시집(四家詩集)을 내어 문명을 청나라에까지 떨쳤다.
2. 청나라 견문과 북학의 저술
1778년에는 사은사 채제공(蔡濟恭)을 따라 이덕무와 함께 청나라에 가서 이조원(李調元)반정균(潘庭筠) 등의 청나라 학자들과 교유하였다.

돌아온 뒤 청나라에서 보고 들은 것을 정리하여 『북학의(北學議)』 내‧외편을 저술하였는데, 내편에서는 생활도구의 개선을, 외편에서는 정치‧사회제도의 모순점과 그 개혁방안을 다루었다.

한편, 정조는 서얼들의 누적된 불만을 무마시키려는 정책의 하나로 1777년 3월에 서얼허통절목(庶孽許通節目)을 발표하는가 하면, 1779년 3월에는 규장각검서관직(檢書官職)을 설치하여 그를 비롯한 이덕무유득공서이수(徐理修) 등의 서얼출신 학자들을 초대, 검서관으로 임명하였다.

이로부터 13년간 규장각 내‧외직에 근무하면서 여기에 비장된 서적들을 마음껏 읽고, 정조를 비롯한 국내의 저명한 학자들과 깊이 사귀면서 왕명을 받아 많은 책을 교정, 간행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1786년에는 왕명으로 당시의 관리들이 시폐(時弊)를 시정할 수 있는 「구폐책(救弊策)」을 올리게 하였는데, 이때 그가 진언한 소는 주로 신분적인 차별을 타파하고 상공업을 장려하여 국가를 부강하게 하고 국민의 생활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내용이었다. 이렇게 되기 위하여서는 청나라의 선진적인 문물을 받아들이는 것이 급선무라고 주장하였다.
3. 두번째 연행
그뒤 1790년 5월 건륭제(乾隆帝)의 팔순절에 정사(正使) 황인점(黃仁點)을 따라 두번째 연행(燕行) 길에 오르고, 돌아오는 길에 그는 압록강에서 다시 왕명을 받아 연경에 파견되었다.

원자(元子: 뒤의 순조)의 탄생을 축하한 청나라 황제의 호의에 보답하기 위하여 정조는 한낱 검서관이었던 그를 정3품 군기시정(軍器寺正)에 임시로 임명하여 별자(別咨)사절로서 보낸 것이다.

1793년 정원에서 내각관문(內閣關文)을 받고 「비옥희음송(比屋希音頌)」이라는 비속한 문체를 쓰는 데 대한 자송문(自訟文)을 왕에게 지어바쳤다.

1794년 2월에 춘당대무과(春塘臺武科)를 보아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또한, 1798년에는 영조가 적전(籍田)에 친경한 지 회갑이 되는 날을 기념하기 위하여 널리 농서를 구하였다.

이때 그도 『북학의』의 내용을 골자로 하는 「응지농정소(應旨農政疏)」를 올렸는데, 『소진본북학의(疏進本北學議)』는 이때 작성된 것이다.

그리고 1801년(순조 1)에는 사은사 윤행임(尹行恁)을 따라 이덕무와 함께 네번째 연행길에 올랐으나 돌아오자마자 동남성문의 흉서사건 주모자인 윤가기(尹可基)와 사돈이었기 때문에 이 사건에 혐의가 있다 하여 종성에 유배되었다가 1805년에 풀려났으나 곧 죽었다.
4. 시서화의 예기와 작품
그가 죽은 연대는 1805년과 1815년 설이 있는데, 그의 스승이며 동지인 박지원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상심하여 곧 죽었다는 기록과, 1805년 이후에 쓴 그의 글이 보이지 않는 점 등으로 보아 1805년에 죽은 것으로 볼 수 있다.

그의 묘는 경기도 광주에 있다. 아들은 박장임(朴長稔)박장름(朴長廩)박장엄(朴長馣) 등 셋인데 막내아들 박장엄유득공의 아들 유본예(柳本藝)본학(柳本學) 형제와 함께 순조검서관이 되었다.

시‧그림‧글씨에도 뛰어난 재질을 보였는데, 청대(淸代) 『사고전서(四庫全書)』 계열 학자들과의 교류를 통하여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대련형식(對聯形式)을 수용해왔을 뿐 아니라, 글씨는 예서풍을 띠고 있으며 조선 후기의 서풍과 추사체의 형성에 선구적 구실을 하였다. 구양순(歐陽詢)동기창(董其昌) 풍의 행서도 잘 썼으며 필적이 굳세고 활달하면서 높은 품격을 보여준다.

그림은 간결한 필치와 맑고 옅은 채색에 운치와 문기(文氣)가 짙게 풍기는 사의적(寫意的)인 문인화풍의 산수‧인물화와 생동감이 넘치는 꿩그림과 고기그림을 잘 그렸다.

유작으로 「대련글씨」‧「시고(詩稿)」‧「목우도(牧牛圖)」‧「의암관수도(倚巖觀水圖)」‧「어락도(魚樂圖)」‧「야치도(野雉圖)」 등이 있다.

저서로는 『북학의』『정유집(貞蕤集)』『정유시고(貞蕤詩稿)』『명농초고(明農草藁)』 등이 있다.

[참고문헌]

正祖實錄
純祖實錄
槿域書畵徵
韓國의 美 6―書藝―(任昌淳책임감수, 中央日報季刊美術, 1981)
韓國의 美 12―山水畵 下―(安輝濬책임감수, 中央日報季刊美術, 1982)
韓國의 美 18―花鳥四君子―(鄭謨책임감수, 中央日報季刊美術, 1985)
貞蕤朴齊家硏究(金龍德, 中央大學校論文集 5, 1961)
朴齊家의 北學議(李成茂, 實學硏究入門, 一潮閣, 1973)
朴齊家(李乙浩, 韓國의 人間像 4, 新丘文化社, 1980)
秋史書派考(崔完秀, 澗松文華 19, 1980)

[집필자]

이성무(李成茂)
대표명박제가(朴齊家)
제가(齊家)
성명박제가(朴齊家)
재선(在先)

명 : "제가(齊家)"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疏箚錄v8不道從古何限而豈有如今番發基之窮凶絶悖萬剮千斲而猶不足以快洩神人之憤耶雖幸兩賊之俱就典刑而凶肚逆腸如齊家者又出焉蓋其情節與可基一串貫來肆發四字凶言爛熳酬酢令人膽掉而骨驚及夫與甲金面質之時其所納供專事粧撰無
疏箚錄v8厥由久矣一自恁賊竄黜之後此輩之怨懟日甚一日可基之凶言肆發於前時發之凶書迭出於後千里同聲一心換面而今此齊家之窮凶情節果出於甲金之招怨毒之心莫掩於酬酢之際不道之說至及於莫重之地而渠之納供不過曰無是事無是言而已
疏箚錄v8伏以臣等卽伏見金吾議啓批旨下者有罪人朴齊家發配之命臣等相顧愕貽誠不勝憤痛之至噫彼齊家素與可賊爲切姻同爲恁賊之卵育陰邪之氣相合妖慝之肚互結同閃西忽情跡詭祕雄唱雌和聲勢依附爲世指目厥由久矣
疏箚錄v8不勝憂慨之忱敢效沫血之義聯陳短仰請反汗及伏承批旨未蒙兪音臣等聚首奉讀衷情憂鬱不避瀆擾之誅更此申籲噫嘻齊家乃是行恁之竊客可基之親査則腸肚之相連聲氣之相應勢所必至而及夫行恁竄逐失其依附可基之落職同其忽恨中藏怨
疏箚錄v8訊忍杖不服游事漫漶全事吐呑究厥腸肚節節凶獰雖尋常干犯之類王府推覈事體嚴重有不可輕易議擬於惟輕之科況此齊家所坐窮凶絶悖萬戮猶輕神人之所共憤而覆載之所難容則豈可以粧撰抵之招遽然歸之於無實情有疑端而置之酌決之典
疏箚錄v8之地噫今番發基諸賊之逆節卽前古無有之凶變也天討亟行輿憤小洩而惟彼齊家之與可基酬酢凶言纔出於甲金之招則齊家之窮凶絶悖卽一戴頭可基親査綢繆之跡暗室指劃之狀交肚互腸彰露無餘可基旣以伏法則齊家何以獨逭而特以凶狡狠
疏箚錄v8凶言纔出於甲金之招則齊家之窮凶絶悖卽一戴頭可基親査綢繆之跡暗室指劃之狀交肚互腸彰露無餘可基旣以伏法則齊家何以獨逭而特以凶狡狠毒忍杖抵賴兩日刑訊終不輸款正宜嚴加盤覈快正典刑而不料酌處之命遽下於究問之際鞫體之
疏箚錄v8家酌處之命臣等相顧愕貽誠不勝憤痛抑鬱之地噫今番發基諸賊之逆節卽前古無有之凶變也天討亟行輿憤小洩而惟彼齊家之與可基酬酢凶言纔出於甲金之招則齊家之窮凶絶悖卽一戴頭可基親査綢繆之跡暗室指劃之狀交肚互腸彰露無餘可
疏箚錄v8也至妖且憯之跡實合於快施邦憲也而今於慈敎下者以更査無吐實只施竄配之律臣於此誠不勝驚惑之至繼之以憂歎也齊家之一向漫漶吁亦痛矣游辭掩諱無所據矣以可基之切姻罪難獨逭而甲金之招辭如執左契則渠敢於白日之下豈可容啄而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