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덕무(李德懋)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B355BB34B1741X0
자(字)무관(懋官)
호(號)형암(炯庵)
호(號)아정(雅亭)
호(號)청장관(靑莊館)
호(號)동방일사(東方一士)
호(號)영처(嬰處)
생년1741(영조 17)
졸년1793(정조 17)
시대조선후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학자 > 실학자
이성호(李聖浩)
저서『관독일기(觀讀日記)』
저서『이목구심서(耳目口心書)』
저서『영처시고(嬰處詩稿)』
저서『영처문고(嬰處文稿)』
저서『예기고(禮記考)』
저서『편찬잡고(編纂雜稿)』
저서『기년아람(紀年兒覽)』
저서『사소절(士小節)』
저서『청비록(淸脾錄)』
저서『뇌뢰낙락서(磊磊落落書)』
저서『앙엽기(盎葉記)』
저서『입연기(入燕記)』
저서『한죽당수필(寒竹堂隨筆)』
저서『천애지기서(天涯知己書)』
저서『열상방언(洌上方言)』
저서『협주기(峽舟記)』

[상세내용]

이덕무(李德懋)
1741년(영조 17)∼1793년(정조 17). 조선 후기의 실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무관(懋官), 호는 형암(炯庵)아정(雅亭)청장관(靑莊館)영처(嬰處)동방일사(東方一士).

정종의 별자(別子) 무림군(茂林君) 이선생(李先生)의 10세손이며 통덕랑 이성호(李聖浩)의 아들이다.

박학다식하고 고금의 기문이서(奇文異書)에 이르기까지 달통하였으며, 문장에 개성이 뚜렷하여 문명을 일세에 떨쳤으나, 서자였기 때문에 크게 등용되지 못하였다. 어릴 때 병약하고 빈한하여 거의 전통적 정규교육은 받을 수 없었다.

그러나 총명한 그는 가학(家學)으로써 6세에 이미 문리(文理)를 얻고, 약관에 박제가(朴齊家)유득공(柳得恭)이서구(李書九)와 함께 『건연집(巾衍集)』이라는 사가시집(四家詩集)을 내어 문명을 떨쳤다.

특히 박지원(朴趾源)홍대용(洪大容)박제가유득공서이수(徐理修) 등의 북학파실학자들과 깊이 교유하여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경제면에 있어서의 급진적인 개혁이론보다는 사색적이고 철학적인 고증학적 방법론에 많은 관심을 가졌다.

그리하여 고염무(顧炎武)주이존(朱彛尊) 등 명말청초(明末淸初)의 고증학 대가들의 저서에 심취한 나머지 1778년(정조 2) 사은겸진주사(謝恩兼陳奏使) 심염조(沈念祖)서장관(書狀官)으로 직접 연경(燕京)에 들어가 기균(紀均)이조원(李調元)이정원(李鼎元)육비(陸飛)엄성(嚴誠)반정균(潘庭均)청나라 석학들과 교유하는 한편, 그곳의 산천‧도리(道里)‧궁실(宮室)‧누대(樓臺)‧초목‧충어(蟲魚)‧조수(鳥獸)에 이르기까지 자세한 기록을 가지고 돌아왔으며, 고증학에 관한 책들도 많이 가져왔다.

이것은 그의 북학론을 발전시키는 데 기초가 되었으며, 그의 명성은 정조에게까지 알려져 1779년 박제가유득공서이수와 함께 초대 규장각 외각검서관이 되었다.

14년간 규장각에 근무하면서 규장각신(奎章閣臣)을 비롯한 많은 국내학자들과 사귀는 한편, 그곳에 비장되어 있는 진귀한 서적들을 마음껏 읽을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규장각의 도서편찬에도 적극 참여하여 『도서집성(圖書集成)』『국조보감(國朝寶鑑)』『규장각지(奎章閣志)』『홍문관지(弘文館志)』『송사전(宋史筌)』『검서청기(檢書廳記)』『대전회통(大典會通)』『기전고(箕田攷)』『규장전운(奎章全韻)』『시관소전(詩觀小傳)』 등 많은 서적의 정리와 교감에 종사하였다.

항상 소매 속에 책과 필묵을 넣어 다니면서 보고 듣고 생각나는 것을 그때그때 적어두었다가 저술할 때 참고로 하였다. 내성적 성격이지만, 근면하고 특히 시문에 능하여 규장각 경시대회(競詩大會)에서 여러 번 장원함으로써 정조의 사랑과 신임을 받아 1781년에는 내각검서관으로 이배(移拜)되는가 하면, 사도시주부(司䆃寺主簿)사근도찰방(沙斤道察訪)광흥창주부(廣興倉主簿)적성현감 등을 거쳐, 1791년에는 사옹원주부가 되었다.

비속한 청나라의 문체를 썼다 하여 박지원박제가 등과 함께 문체반정(文體反正)에 걸려 정조에게 자송문(自訟文)을 지어 바치기까지 하였으나, 질병으로 1793년에 죽었다.

정조는 생시의 업적을 기념하여 장례비와 『아정유고(雅亭遺稿)』의 간행비를 내어주고, 1795년 그의 아들 이광규(李光葵)검서관으로 임명하였다. 글씨도 잘 썼고 그림도 잘 그렸는데, 특히 지주(蜘蛛)와 영모(翎毛)를 잘 그렸다 한다.

저서로는 『관독일기(觀讀日記)』『이목구심서(耳目口心書)』『영처시고(嬰處詩稿)』『영처문고(嬰處文稿)』『예기고(禮記考)』『편찬잡고(編纂雜稿)』『기년아람(紀年兒覽)』『사소절(士小節)』『청비록(淸脾錄)』『뇌뢰낙락서(磊磊落落書)』『앙엽기(盎葉記)』『입연기(入燕記)』『한죽당수필(寒竹堂隨筆)』『천애지기서(天涯知己書)』『열상방언(洌上方言)』『협주기(峽舟記)』 등 16종이 있다.

[참고문헌]

正祖實錄
靑莊館全書
燕巖集
歸思堂集
李德懋의 實學思想(李成茂, 鄕土서울 31, 1967)

[집필자]

이성무(李成茂)
대표명이덕무(李德懋)
성명이덕무(李德懋)
무관(懋官)
아정(雅亭)

성명 : "이덕무(李德懋)"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羹墻錄v1副護軍臣安廷玹通訓大夫行校書館校理臣柳弘之中直大夫行積城縣監楊州鎭管兵馬節制都尉奎章閣檢書官臣李德懋通訓大夫行司饔院主簿奎章閣檢書官臣朴齊家이페이지는빈페이지입니다
葵史v2雅亭集外著述有靑莊館集李德懋字懋官所著文集士小節等書行于世
御眞圖寫事寶潤以上各加一資資窮者代加監書兪得祐司鑰除授 檢書官李德懋柳得恭朴齊家徐理修以上各加一資 資窮者代加主管畫師
御眞圖寫事寶錫喆等八人司卷全大重趙壽 嶪領籤張世經李興潤檢書官李德懋柳得恭朴齊 家徐理修各加一資資窮者代加別看役僉使丁
御眞圖寫事寶光復差備官司僕 寺正鄭東觀等八人本閣差備官兼檢書官李德懋等九人 及贊儀李衡弼等五人別看役藍浦縣監丁遇泰前五
御眞圖寫事寶職次第收用 差備官別單 傳曰閣監兪得祐賞加兼檢書官李德懋柳 得恭檢書官朴齊家徐理修前檢書官李藎模檢書官成海
[國朝寶鑑]監印廳儀軌n1-1책郞廳副司果趙城鎭監董官校書館校理成大中奎章閣檢書官李德懋奎章閣檢書官柳得恭奎章閣檢書官朴齊家奎章閣檢書官徐
[國朝寶鑑]監印廳儀軌n1-1책郞廳副司果趙城鎭監董官校書館校理成大中奎章閣檢書館李德懋柳得恭朴齊家徐理修考校郞廳前應敎李宗燮承政院注書李
[國朝寶鑑]監印廳儀軌n1-1책資監 董郞廳校書館校理成大中守令除授監董郞廳檢書官李德懋柳得恭朴齊家徐理修幷相當職除授考校郞廳前應敎李 宗
國朝人物志v1李德懋
國朝人物志v3孫錦陽尉瀰五世孫早孤發憤力學與洪大容演泰西地球之說以爲地一轉爲一日一時文學之英如李德懋柳得恭朴齊家李書九之倫皆傾慕而師友之以家貧營居于金川燕巖峽緦兄朴明源奉使赴熱
國朝人物志v3先密陽人己亥上新設奎章閣極選文學士以充之齊家爲檢書官兼承文院吏文學官與李德懋柳得恭徐理修齊名出補鎭岑縣監陞通政階爲五衛將丁巳除永平縣令嘗隨使价入淸與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