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박문수(朴文秀){2}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BC15BB38C218B1691X0
자(字)성보(成甫)
호(號)기은(耆隱)
시호(諡號)충헌(忠憲)
생년1691(숙종 17)
졸년1756(영조 32)
시대조선중기
본관고령(高靈)
활동분야문신 > 문신
박항한(朴恒漢)
조부박선(朴銑)
증조부박장원(朴長遠)
외조부이세필(李世弼)
공신호분무공신(奮武功臣)

[상세내용]

박문수(朴文秀)
1691년(숙종 17)∼1756년(영조 32).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성보(成甫), 호는 기은(耆隱).

이조판서 박장원(朴長遠)의 증손이고, 세마(洗馬) 박선(朴銑)의 손자로, 영은군(靈恩君) 박항한(朴恒漢)의 아들이며, 모친은 공조참판 이세필(李世弼)의 딸이다.

1723년(경종 3)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로 급제하여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로 뽑혔고, 이듬해 세자시강원설서(世子侍講院說書)병조정랑에 올랐다가 1724년(영조 즉위) 노론이 집권할 때 삭직되었다.

1727년 정미환국으로 소론이 기용되자 사서(司書)에 등용되었으며, 영남암행어사로 나가 부정한 관리들을 적발하였고, 이듬해 이인좌(李麟佐)의 난이 일어나자 사로도순문사(四路都巡問使) 오명항(吳命恒)종사관으로 출전, 전공을 세워 경상도관찰사에 발탁되었으며, 분무공신(奮武功臣) 2등에 책록되고 영성군(靈城君)에 봉하여졌다. 같은해 도당록(都堂錄)에 들었다.

1730년 대사성대사간도승지를 역임하였으며, 충청도암행어사로 나아가 기민(饑民)의 구제에 힘썼다.

1732년 선혜청당상(宣惠廳堂上)이 되었고, 1734년 예조참판으로 재직중에 진주사(陳奏使)부사(副使)청나라에 다녀왔다.

그뒤 호조참판을 거쳐, 1737년 도승지를 역임한 뒤 병조판서가 되었다.

이때 병조 자체 내의 인신(印信)이 없어 군무의 신속한 입송(入送)에 불편을 줄 뿐 아니라, 중간에 간리(奸吏)가 농간을 부리는 폐단은 군기의 중요성에 비추어 많은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음을 들어 병조판서의 인신과 이군색(二軍色)의 인신을 만들어줄 것을 주청하여 이를 성사시켰다.

이듬해 다시 동지사(冬至使)청나라에 다녀왔으나 앞서 안동서원을 철폐시킨 일로 탄핵을 받아 풍덕부사로 좌천당하였다.

1739년 함경도관찰사가 되었고, 1741년 어영대장(御營大將)을 역임하였으며, 함경도진휼사(賑恤使)로 나아가 경상도의 곡식 1만섬을 실어다 기민을 구제하여 송덕비가 세워졌다.

다음해 병조판서로 재직시 지리적 여건으로 봉군(烽軍)의 충원이 어려운 북도(北道)에 각 지방에 정배(定配)된 봉무사(烽武士)로서 변통할 것을 주청하여 이를 시행하게 하였다.

1743년 경기도관찰사가 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아 이듬해 황해도수군절도사로 좌천되었다.

1745년 어영대장에 재임되었으며, 1749년 호조판서로 재직시 국가에서 대내(大內)의 당우(堂宇)를 3년에 한번씩 수리할 때 책임관으로서 역대 어느 관료보다도 일을 잘 처리하였다는 역사적인 교훈을 남기기도 하였다.

1750년 수어사(守禦使)를 역임한 뒤 영남균세사(嶺南均稅使)를 거쳐, 지성균관사(知成均館事)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세손사부(世孫師傅) 등을 지냈고, 1751년 예조판서가 되었다.

1752년 왕세손이 죽자 내의원제조(內醫院提調)로 책임을 추궁당하여 제주에 안치되었다.

이듬해 풀려나와 우참찬에 올랐다. 정치적으로 소론에 속하였으며, 영조대의 탕평책(蕩平策)이 실시될 때 명문벌열(名門閥閱) 중심의 인사정책에서 벗어날 것을 주장하고, 4색(四色)의 인재를 고루 등용하는 탕평의 실(實)을 강조하였다.

특히, 군정(軍政)과 세정(稅政)에 밝아 당시 국정의 개혁논의에 중요한 몫을 다하였다.

1749년 영조에게 주청하여 다른 신하들과 함께 『탁지정례(度支定例)』를 출판하였는데, 이것은 『각전각궁공상정례(各殿各宮供上定例)』 6권, 『국혼정례(國婚定例)』 2권, 『각사정례(各司定例)』 12권, 『상방정례(尙方定例)』 3권을 합한 것이다.

글씨로는 안성『오명항토적송공비(吳命恒討賊頌功碑)』가 전한다.

한편, 설화로서 그가 암행어사로 활약하였던 행적이 많이 전해지고 있다.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충헌(忠憲)이다.

[참고문헌]

景宗實錄
英祖實錄
國朝榜目
燃藜室記述
淸選考
黨議通略
增補文獻備考

[집필자]

유승주(柳承宙)
대표명박문수(朴文秀){2}
문수(文秀)
봉호영성군(靈城君)
성명박문수(朴文秀)
시호충헌(忠憲)
성보(成甫)
기은(耆隱)

성명 : "박문수(朴文秀)"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29行并進者真斯人也仲氏之道其在北乎肅宗丙申金昌集以大臣舉為南部參奉歷教官副卛英祖丁未下召㫖陞主簿諭道臣朴文秀親徃勸起文秀馳奏言李䒬負一時重望專事黨論恐壤一方人心不必敦召上心猶未忘庚申特授持平竟不至甞與李光佐善
南征日錄v1判出去何如李光佐曰兵判雖慷慨請行見小醜而出送中兵之臣非但國內空虛亦爲示弱矣諸臣多言其不可上顧嶺南御史朴文秀曰何如文秀對曰兵判牢確慷慨專委討撫之責誠得人矣上曰重器似有退托意予欲送兵判亟掃此賊公曰臣旣受命從事官
南征日錄v1戎重鎭所恃以爲安者只此一人而今又見失則殊甚可慮不得已臣以從事官差定使之專管京畿之事爲白遣嶺南別遣御史朴文秀過忠淸道後當送嶺南使之竣事是白乎等以忠淸道則以別遣御史李道謙全羅道則以別遣御史李匡德差定臣營從事四路
南征日錄v1處領待事急急知委緣由馳啓上流水路可慮以火炮等物遮截斗尾月溪山遷各別防守事伏望留意爲白齊急遣令旗留從事朴文秀於前站而行到沙斤川見文秀謂曰賊陷淸州其勢甚急今當疾趨淸州及其未熾而撲滅之遂傳令中軍朴纘新使卽出待大路
南征日錄v1特諸君之咎責在元帥然從今勉加警嚴萬衆一心何憂乎賊之不克諸將羅拜聽令而退自是衆心益堅警備益嚴○朝飯將發朴文秀曰昨夜軍中荷戟達宵士氣困疲鼓之不起若不調息強行實有不見賊自潰之慮今宜休息一日巡撫難之趙顯命亦以爲不可
南征日錄v1朴文秀在軍中事大小無不管領每日晨起士卒之病者飢者衣襪弊者器械鈍者覓丸藥柴草馬鐵者四面沓至呼訴紛紜酬應如流與
南征日錄v2告山谷間有白衣持銃窺覘者巡撫問麟佐曰安竹敗卒外更有他兵約會者否麟佐言忠州兵期會今夕巡撫令軍中嚴加警備朴文秀與權喜學周覽野中賊陣形止量其排立步數軍可二十七八哨當中張白幕鋪屛風上掛猪毛笠布帖裏設紋席雕案左右列紅
南征日錄v2士務生擒一人荷劍立令賊徒自相縛賊徒攢手乞憐惟令是從一索多者十餘人小者五六人俛首前行纍纍而來者充滿陣中朴文秀白曰日將暮所擒賊甚多使其有一分生氣乘夜突起是縱虎遺患也巡撫卽令兩從事坐帳左右分領査決觀其貌頑而衣白掌
南征日錄v2所向此無的報更送伶俐將校累處詳探這這牒報自餘多少口授來校以送密密擧行宜當○是夜巡撫明燭不寐連見嶺報招朴文秀謂曰吾與君輩同來死地今使君獨提孤軍深入賊藪脫有疏虞將奈何初謂此賊北上必從此路吾欲在此迎擊今自居昌復還
南征日錄v2諸將曰賊勢漸至熾大是宜急時勦滅促治行僉曰自此至秋風嶺爲三日程左右山谷崖路絶險賊若扼我後拒我前其敗必矣朴文秀曰此賊若起於安東尙州之間則安尙以南皆爲賊藪其憂不細今起於安陰此其不得志於安尙可坐而策文秀請以御史之行
南征日錄v2意使民人安集賊黨解散而遍歷各鎭邑仍爲督戰爲白乎旀臣則姑留淸州隨機進討計料爲白如乎從事官趙顯命旣已上去朴文秀今又向嶺南本道御史李道謙曾已啓請從事官斯速催促下送爲白乎旀其前虛曠可悶起復前正言李日躋方在召募使兪崇
南征日錄v1文秀 對曰兵判牢確慷慨專委討撫之責誠得人矣上曰重器 似有退托意予欲送兵判亟掃此賊公曰臣旣受命從事官以朴文秀 帶去平亂後因向嶺南行御史事好矣上曰卿出去予無憂矣幕佐其依所請帶去也仍敎曰兵判出征合以都巡討使爲號公
南征日錄v1戎重鎭所恃以爲安者只此一人而今又見失則殊甚可慮不得已臣以從事官差定使之專管京畿之事爲白遣嶺南別遣御史朴文秀 過忠淸道後當送嶺南使之竣事是白乎等以忠淸道則以別遣御史李道謙全羅道則以別遣御史李匡德 差定臣營從事
南征日錄v1朴文秀 與趙顯命 甚相得每同被而寢相語曰爾貌我狀非死於賊之相則莫是封侯之骨耶歡謔如常日以鎭安軍中○顯命 謂
南征日錄v1急遣令旗留從事朴文秀 於前站而行到沙斤川見文秀 謂曰賊陷淸州其勢甚急今當疾趨淸州及其未熾而撲滅之遂傳令中軍朴纘新 使卽出
南征日錄v1特諸君之咎責在元帥然從今勉加警嚴萬衆一心何憂乎賊之不克諸將羅拜聽令而退自是衆心益堅警備益嚴○朝飯將發朴文秀 曰昨夜軍中荷戟達宵士氣困疲鼓之不起若不調息强行實有不見賊自潰之慮今宜休息一日巡撫難之趙顯命 亦以爲
南征日錄v1狀回題令稟節制於朝廷○縣令趙東彬 莅任纔數日處素沙咫尺之地安輯兵民保守倉庫大軍猝至接濟有方巡撫嘉奬之朴文秀 就其舅氏李判書庄奴處得一瓮甘醬乃宰十餘牛以饗將士終日休息達夜安眠士氣頗振足繭亦頓減咸有鼓勇赴戰之意
南征日錄v1谷間有白衣持銃窺覘者巡撫問麟佐 曰安竹敗卒外更有他兵約會者否麟佐 言忠州兵期會今夕巡撫令軍中嚴加警備朴文秀 與權喜學 周覽野中賊陣形止量其排立步數軍可二十七人哨當中張白幕鋪屛風上掛猪毛笠布帖裏設紋席雕案左右
南征日錄v1士務生擒一人荷劒立令賊徒自相縳賊徒攢手乞憐惟令是從一索多者十餘人小者五六人俛首前行纍纍而來者充滿陣中朴文秀 白曰日將暮所擒賊甚多使其有一分生氣乘夜突起是縱虎遺患也巡撫卽令兩從事坐帳左右分領査決觀其貌頑而衣白
南征日錄v1於酬應李道謙 未下來之前天安郡守許源 權差從事官使之隨行爲白乎旀臣所領軍卒初旣數少今又除去一百名付與朴文秀 餘在軍卒累日㬥露銳氣向衰前日別軍職朴世梓 所領都監砲殺手自願下來者最爲精銳其時還送皆有憤奮之意此實
南征日錄v1使民人安集賊黨解散而遍歷各鎭邑仍爲督戰爲白乎旀臣則姑留淸州隨機進討計料爲白如乎從事官趙顯命 旣已上去朴文秀今又向嶺南本道御史李道謙 曾已啓請從事官斯速催促下送爲白乎旀其前虛曠可悶起復前正言李日躋 方在召募使
南征日錄v1諸將曰賊勢漸至熾大是宜急時勦滅促治行僉曰自此至秋風嶺爲三日程左右山谷崖路絶險賊若扼我後拒我前其敗必矣朴文秀 曰此賊若起於安東尙州之間則安尙以南皆爲賊藪其憂不細今起於安陰此其不得志於安尙可坐而策文秀請以御史之
辛壬紀年提要v13菀之魂亦必忭懽於冥冥之中頒敎後致祭以慰魂靈答曰原書竝下備局稟于大朝工判洪重徵書光恒收孥答曰難稟靈城君朴文秀書曰考輝諸賊夬正王法在外聞晚夜治疏付縣道伏□聞頒敎不參人拿問之敎待命于金吾答曰道遙未參何傷李益炡等始
政堂故事v2安致宅達曰世孫傳朴文秀誕詭素之儒雅之□不合傳德之任請改正答曰大朝所除其何如是於是致宅復引避避辭皆略略而且曰文秀特簡雖隆物議
國朝捷錄v01羅監司詹忠淸監司益寬咸鏡監司叛時忠淸兵營營裨梁德溥開門納賊一等一人吳命恒海恩見相遂良子楸灘後二等七人朴文秀靈城行兵判忠憲公字成甫長遠曾孫恒漢子李森咸恩訓將趙文命豊綾見上時御將留陣宣仁門外李萬彬韓原水使朴弼健
景孝殿郎廳先生案 判書 朴文秀
郯述v01正使左議政徐命均副禮判朴文秀書狀司僕正黃梓
郯述v02三月薦別兼呂善呂善長趙趾彬○癸卯九月待敎申致雲尹容薦李匡德趙迪命李宗白李喆輔朴文秀回薦時有異議不用
武陞資錄金聖應 訓乙卯 具聖任 訓丁巳 金潝 武左尹己未 朴文秀 文判書辛酉 朴纘新 武判尹壬戌 洪鳳漢 訓庚午
武陞資錄 閔應洙 文右相 趙觀彬 文判書 李箕鎭 文判書 朴文秀 御 李宗城 文領相 李箕鎭洪啓禧 文判書 徐命彬
社稷署都提調先生案朴文秀 戊辰正月十一日
宣懿王后國恤謄錄n1-1책見入侍時右承旨趙命臣 所啓敬徽殿冬至祭攝行事都承旨朴文秀親 承聖敎於日昨筵中而臣未得聞故明日視事以 頉仰稟
禁衛營謄錄n1-121책議政李所啓今於民役蕩減之事有所仰 達矣曾因慶尙監司朴文秀狀啓被災邑尤甚面身 役折半蕩減其後圻伯以陽川富平兩
禁衛營謄錄n1-121책 兵曹判書望申思喆李秉常趙尙絅尹陽來金始 炯李箕鎭朴文秀李縡趙觀彬鄭錫 五徐宗伋徐宗玉禁衛大將自備局啓下
禁衛營謄錄n1-121책李秉常趙尙絅尹陽來金始炯李箕鎮鄭錫五 閔應洙金聖應朴文秀李縡趙觀彬徐宗伋金若魯 徐命彬禁衛大將自備局啓下
禁衛營謄錄n1-121책書望申思喆金始炯李箕鎭趙觀彬閔應洙李宗城○元金聖應朴文秀李■徐宗伋李周鎭徐命彬禁衛大將自備局啓下
禁衛營謄錄n1-121책同日(庚午二月初九日) 同日兵曹判書望申思喆趙觀彬朴文秀金始炯金聖應 李箕鎭李宗城趙載浩○李天輔禁衛大將李
禁衛營謄錄n1-121책月初三日) 同日兵曹判書望申思喆趙觀彬金始炯李箕鎭朴文秀金聖應元景夏李宗城徐宗伋申晩徐命彬今尙魯趙載浩金尙
禁衛營謄錄n1-121책兵曹判書望趙觀彬元景夏李■鎭朴文秀金■應洪象漢李益炡■■徐■宗伋徐命彬鄭益河趙榮國洪
禁衛營謄錄n1-121책例而今則騎郞逢堂上武弁亦必辟除豈不 誤乎嚮日靈城君朴文秀與具聖任相較時疏中以爲武臣 則雖曾經閫帥者路逢騎郞
御營廳抄謄錄n1-1책大將中軍欄後將校甚少無以成樣別武士 八人加出事大將朴文秀草記
御營廳抄謄錄n1-1책金聖應朴文秀
御營廳抄謄錄n1-1책朴文秀金聖應
御營廳抄謄錄n1-1책朴纘新朴文秀
御營廳抄謄錄n1-1책朴文秀
御營廳抄謄錄n1-1책朴文秀具聖任
御營廳抄謄錄n1-1책 丙寅年 丙寅大將 朴文秀具聖任 大將朴文秀因情勢番中日下番軍試才單子都城改築草記趁不入啓追後
御營廳抄謄錄n1-1책具聖任朴文秀
御營廳抄謄錄n1-1책朴文秀
御營廳抄謄錄n1-1책朴文秀
御營廳抄謄錄n1-1책朴文秀洪鳳漢
訓局謄錄v27款待諸道畢議當有下敎而各軍門所有之錢 亦可以流通乎都提調洪曰 貢物上下皆以錢給之米以收之 則必有效矣朴文秀ㆍ李宗城有甲乙之見 而若關西則穀小錢多脫有不幸以錢餉軍乎諸道 所藏錢盡散貿穀緩急之時 足爲餉軍水旱之
國朝人物志v3相合謀逆作亂擧兵反奉朝賀崔奎瑞告變朝廷以命恒爲都元帥武臣朴纘新爲中軍文臣朴文秀趙顯命爲從事官率京兵南下破賊于安城竹山等地餘黨悉皆伏誅以功錄輸忠竭誠決幾效力奮武功
國朝人物志v3窩金昌集以大臣始擧之爲南部參奉歷敎官副率英祖丁未始下召旨居數歲陞主簿諭道臣朴文秀親往勸起文秀馳奏言李某負一時重望專事黨論恐壞一方人心不足煩敦遣然上心猶未忘庚申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