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박문수(朴文秀){2}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BC15BB38C218B1691X0
자(字)성보(成甫)
호(號)기은(耆隱)
시호(諡號)충헌(忠憲)
생년1691(숙종 17)
졸년1756(영조 32)
시대조선중기
본관고령(高靈)
활동분야문신 > 문신
박항한(朴恒漢)
조부박선(朴銑)
증조부박장원(朴長遠)
외조부이세필(李世弼)
공신호분무공신(奮武功臣)

[상세내용]

박문수(朴文秀)
1691년(숙종 17)∼1756년(영조 32).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성보(成甫), 호는 기은(耆隱).

이조판서 박장원(朴長遠)의 증손이고, 세마(洗馬) 박선(朴銑)의 손자로, 영은군(靈恩君) 박항한(朴恒漢)의 아들이며, 모친은 공조참판 이세필(李世弼)의 딸이다.

1723년(경종 3)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로 급제하여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로 뽑혔고, 이듬해 세자시강원설서(世子侍講院說書)병조정랑에 올랐다가 1724년(영조 즉위) 노론이 집권할 때 삭직되었다.

1727년 정미환국으로 소론이 기용되자 사서(司書)에 등용되었으며, 영남암행어사로 나가 부정한 관리들을 적발하였고, 이듬해 이인좌(李麟佐)의 난이 일어나자 사로도순문사(四路都巡問使) 오명항(吳命恒)종사관으로 출전, 전공을 세워 경상도관찰사에 발탁되었으며, 분무공신(奮武功臣) 2등에 책록되고 영성군(靈城君)에 봉하여졌다. 같은해 도당록(都堂錄)에 들었다.

1730년 대사성대사간도승지를 역임하였으며, 충청도암행어사로 나아가 기민(饑民)의 구제에 힘썼다.

1732년 선혜청당상(宣惠廳堂上)이 되었고, 1734년 예조참판으로 재직중에 진주사(陳奏使)부사(副使)청나라에 다녀왔다.

그뒤 호조참판을 거쳐, 1737년 도승지를 역임한 뒤 병조판서가 되었다.

이때 병조 자체 내의 인신(印信)이 없어 군무의 신속한 입송(入送)에 불편을 줄 뿐 아니라, 중간에 간리(奸吏)가 농간을 부리는 폐단은 군기의 중요성에 비추어 많은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음을 들어 병조판서의 인신과 이군색(二軍色)의 인신을 만들어줄 것을 주청하여 이를 성사시켰다.

이듬해 다시 동지사(冬至使)청나라에 다녀왔으나 앞서 안동서원을 철폐시킨 일로 탄핵을 받아 풍덕부사로 좌천당하였다.

1739년 함경도관찰사가 되었고, 1741년 어영대장(御營大將)을 역임하였으며, 함경도진휼사(賑恤使)로 나아가 경상도의 곡식 1만섬을 실어다 기민을 구제하여 송덕비가 세워졌다.

다음해 병조판서로 재직시 지리적 여건으로 봉군(烽軍)의 충원이 어려운 북도(北道)에 각 지방에 정배(定配)된 봉무사(烽武士)로서 변통할 것을 주청하여 이를 시행하게 하였다.

1743년 경기도관찰사가 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아 이듬해 황해도수군절도사로 좌천되었다.

1745년 어영대장에 재임되었으며, 1749년 호조판서로 재직시 국가에서 대내(大內)의 당우(堂宇)를 3년에 한번씩 수리할 때 책임관으로서 역대 어느 관료보다도 일을 잘 처리하였다는 역사적인 교훈을 남기기도 하였다.

1750년 수어사(守禦使)를 역임한 뒤 영남균세사(嶺南均稅使)를 거쳐, 지성균관사(知成均館事)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세손사부(世孫師傅) 등을 지냈고, 1751년 예조판서가 되었다.

1752년 왕세손이 죽자 내의원제조(內醫院提調)로 책임을 추궁당하여 제주에 안치되었다.

이듬해 풀려나와 우참찬에 올랐다. 정치적으로 소론에 속하였으며, 영조대의 탕평책(蕩平策)이 실시될 때 명문벌열(名門閥閱) 중심의 인사정책에서 벗어날 것을 주장하고, 4색(四色)의 인재를 고루 등용하는 탕평의 실(實)을 강조하였다.

특히, 군정(軍政)과 세정(稅政)에 밝아 당시 국정의 개혁논의에 중요한 몫을 다하였다.

1749년 영조에게 주청하여 다른 신하들과 함께 『탁지정례(度支定例)』를 출판하였는데, 이것은 『각전각궁공상정례(各殿各宮供上定例)』 6권, 『국혼정례(國婚定例)』 2권, 『각사정례(各司定例)』 12권, 『상방정례(尙方定例)』 3권을 합한 것이다.

글씨로는 안성『오명항토적송공비(吳命恒討賊頌功碑)』가 전한다.

한편, 설화로서 그가 암행어사로 활약하였던 행적이 많이 전해지고 있다.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충헌(忠憲)이다.

[참고문헌]

景宗實錄
英祖實錄
國朝榜目
燃藜室記述
淸選考
黨議通略
增補文獻備考

[집필자]

유승주(柳承宙)
대표명박문수(朴文秀){2}
문수(文秀)
봉호영성군(靈城君)
성명박문수(朴文秀)
시호충헌(忠憲)
성보(成甫)
기은(耆隱)

명 : "문수(文秀)"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29也仲氏之道其在北乎肅宗丙申金昌集以大臣舉為南部參奉歷教官副卛英祖丁未下召㫖陞主簿諭道臣朴文秀親徃勸起文秀馳奏言李䒬負一時重望專事黨論恐壤一方人心不必敦召上心猶未忘庚申特授持平竟不至甞與李光佐善戊申後貽書絶
勘亂錄v2踰嶺可保無賊伏乎文秀曰賊起安陰善山鎭拒其前尙州又在善山之後賊必不能破此兩鎭若行師過嶺而賊已遮路則請斬文秀於是命恒與文秀引兵踰秋風嶺○諭嶺南安撫使朴師洙與道臣帥臣及時殄滅安陰賊而一聽都巡撫節制急則用便宜○諭
勘亂錄v2砲手直擣賊巢大軍則更聞賊報進止命恒許之文秀募軍中願從者得精卒一百數十人使敎鍊官權喜學領之將行命恒復問文秀曰從事熟知嶺路大軍踰嶺可保無賊伏乎文秀曰賊起安陰善山鎭拒其前尙州又在善山之後賊必不能破此兩鎭若行師過
勘亂錄v2路險阻有賊伏到淸州從事官朴文秀請自以單師疾馳從鳥嶺行且收安東別砲手直擣賊巢大軍則更聞賊報進止命恒許之文秀募軍中願從者得精卒一百數十人使敎鍊官權喜學領之將行命恒復問文秀曰從事熟知嶺路大軍踰嶺可保無賊伏乎文秀
勘亂錄v2乎文秀曰賊起安陰善山鎭拒其前尙州又在善山之後賊必不能破此兩鎭若行師過嶺而賊已遮路則請斬文秀於是命恒與文秀引兵踰秋風嶺○諭嶺南安撫使朴師洙與道臣帥臣及時殄滅安陰賊而一聽都巡撫節制急則用便宜○諭慶尙監司黃璿右
南征日錄v1下三百年宗社到此將亡之敎此時臣子何敢一刻留滯吾輩世受國恩當生死以之成敗付之天惟速進決一死戰耳聲氣頗厲文秀跪而復爭曰今行戰勝而身全則家國俱利主將何偏思一死字而不思戰勝之道乎軍心順然後始可責死上之義巡撫默然良
南征日錄v1流水路可慮以火炮等物遮截斗尾月溪山遷各別防守事伏望留意爲白齊急遣令旗留從事朴文秀於前站而行到沙斤川見文秀謂曰賊陷淸州其勢甚急今當疾趨淸州及其未熾而撲滅之遂傳令中軍朴纘新使卽出待大路以爲合兵前進之地分遣別武
南征日錄v1必感激效死願貸一命巡撫曰從事上文秀復跪曰從文秀言始可上巡撫知從事意特許貸死文秀拔佩刀斷具縛沃感泣而退文秀出私次招沃令往探淸州賊形沃庸孱竟無所成○巡撫置陣于客舍東麓下與巡討軍對壘經夜刁斗相聞巡撫親自勞軍往往
南征日錄v1有聞巡撫下令斬之朴文秀下堂跪曰沃之從賊無顯狀若蒙特恩全活渠必感激效死願貸一命巡撫曰從事上文秀復跪曰從文秀言始可上巡撫知從事意特許貸死文秀拔佩刀斷具縛沃感泣而退文秀出私次招沃令往探淸州賊形沃庸孱竟無所成○巡
南征日錄v1大喝聲氣愈往愈厲少無疲倦色其精神筋力非人所及嘗見一卒支頤坐失心者問曰汝何思思汝妻乎卒笑答曰妻亦可思也文秀曰吾以御史還朝未久又從軍此來不見吾妻已幾朔大丈夫何足戀妻子乎卒大笑每巡軍激以忠義往往感慨流涕間以鄕談
南征日錄v2門斬之否者書從事二字於衣椐裾着押以放之顯命凡斬三十餘人文秀斬二十餘人或謂文秀所放甚多得無眞犯之混放乎文秀曰設有漏網其亦人之命耳況䝱脅從者乎今不殺必各歸其鄕傳安竹捷音又言䝱脅從者得生安知上黨賊徒不聞風離散耶
南征日錄v2決觀其貌頑而衣白掌有火藥臭身懷鐵丸米屑囊者送南門斬之否者書從事二字於衣椐裾着押以放之顯命凡斬三十餘人文秀斬二十餘人或謂文秀所放甚多得無眞犯之混放乎文秀曰設有漏網其亦人之命耳況䝱脅從者乎今不殺必各歸其鄕傳安
南征日錄v2百名直擣賊穴可一戰勦滅巡撫曰善文秀請得都執事權喜學同去巡撫曰喜學一軍中耳目也捨送不亦難乎強而後可於是文秀與喜學出高聲曰吾今往討嶺南賊誰能從我去者於是軍校士卒願從者近百餘人遂分部治具待曉將發以此意封啓曰安陰
南征日錄v2家所忌然今賊起安陰則善山尙州之軍必已分屯於金山知禮之間賊安能越兩陣而據秋風乎大軍踰嶺若有一賊梗路請斬文秀之頭巡撫曰從事策之善也下令明日大軍直取秋風路以領兵前進意封啓曰今日兩度狀啓封進是白在果卽刻到付沃川郡
南征日錄v4撫恤士卒出於忠愛日屢巡軍慰諭而激勵之士卒無不感泣效死此皆參佐之助也然朴文秀同到嶺南趙顯命至竹山落後故文秀錄二等顯命錄三等實出於十分參量趙泰億曰聞顯命當夜驚時先自拔劍斬賊云矣上曰顯命果斬賊乎公對曰伊時賊兵外
南征日錄v1軍朴纘新 夜深呼從事曰吾輩受命討賊而不知賊在何處茫如捕風此敗道也從事待曉先往水原與留陣者密議偵探之道文秀 聽令待鷄先發○是日朝延以判尹金東弼 爲南漢巡撫使兼東路經略使出鎭南漢
南征日錄v1力必盡矣軍情如此不可拂也巡撫瞪視曰吾謂從事可以辦事請以自從出師之日反爲留滯之論耶第促軍食雖夜必達水原文秀 起而復言曰主將但知討賊之急而不知討賊之要也先爲可勝之勢然後賊可破矣不然雖日馳百里其敗必矣巡撫惕然曰
南征日錄v1州賊情實未有聞巡撫下令斬之朴文秀 下堂跪曰沃之從賊無顯狀若蒙特恩全活渠必感激效死願貸一命巡撫曰從事上文秀 復跪曰從文秀 言始可上巡撫知從事意特許貸死文秀 拔佩刀斷其縳沃感泣而退文秀 出私次招沃令往探淸州賊
南征日錄v1急遣令旗留從事朴文秀 於前站而行到沙斤川見文秀 謂曰賊陷淸州其勢甚急今當疾趨淸州及其未熾而撲滅之遂傳令中軍朴纘新 使卽出待大路以爲合兵前進之地分遣
南征日錄v1賊無顯狀若蒙特恩全活渠必感激效死願貸一命巡撫曰從事上文秀 復跪曰從文秀 言始可上巡撫知從事意特許貸死文秀 拔佩刀斷其縳沃感泣而退文秀 出私次招沃令往探淸州賊形沃庸孱竟無所成○巡撫置陣于客舍東麓下與巡討 軍
南征日錄v1軍中荷戟達宵士氣困疲鼓之不起若不調息强行實有不見賊自潰之慮今宜休息一日巡撫難之趙顯命 亦以爲不可遲留文秀 抗聲爭曰從征之士皆市井子鮮衣美食逸樂自在雖近郊陵幸日次一舍已喘急流汗今猝驅馳勞苦已甚又經夜劫疲薾不
南征日錄v1大喝聲氣愈往愈厲少無疲倦色其精神筋力非人所及嘗見一卒支頤坐失心者問曰汝何思思汝妻乎卒笑答曰妻亦可思也文秀 曰吾以御史還朝未久又從軍此來不見吾妻已幾朔大丈夫何足戀妻子乎卒大笑每巡軍激以忠義往往感慨流涕間以鄕
南征日錄v1有南草二獻文秀 目其手下卒輸置其幕每當駐軍輒分給軍校不知者曰從事安所得此知者戲之曰從事以賊之餘生色軍中聞者拍手
南征日錄v1決觀其貌頑而衣白掌有火藥臭身懷鐵丸米屑囊者送南門斬之否者書從事二字於衣椐着押以放之顯命 凡斬三十餘人文秀 斬二十餘人或謂文秀 所放甚多得無眞犯之混放乎文秀 曰設有漏網其亦人之命耳况䝱從者乎今不殺必各歸其鄕
南征日錄v1之否者書從事二字於衣椐着押以放之顯命 凡斬三十餘人文秀 斬二十餘人或謂文秀 所放甚多得無眞犯之混放乎文秀 曰設有漏網其亦人之命耳况䝱從者乎今不殺必各歸其鄕傳安竹捷音又言脅從者得生安知上黨賊徒不聞風離散耶後
南征日錄v1今自居昌復還安陰者是必聞上黨已破不欲向此路也吾當領兵前進相機掩擊此行當由秋風嶺乎八良峙乎試論兩路可否文秀 曰當從秋風嶺峽路懸軍雖兵家所忌然今賊起安陰則善山尙州之軍必已分屯於金山知禮之間賊安能越兩陣而據秋風
南征日錄v1不得志於安尙可坐而策文秀請以御史之行着紅袍發先文疾行趨安東發別砲手三四百名直擣賊穴可一戰勦滅巡撫曰善文秀 請得都執事權喜學 同去巡撫曰喜學 一軍中耳目也捨送不亦難乎强而後可於是文秀與喜學 出高聲曰吾今往討
南征日錄v1爲白乎矣軍兵疲倦銳氣稍衰以此爲悶是白乎旀從事官朴文秀 發送嶺南之意纔已啓聞而今方改計向沃川之際不可無文秀 仍爲同行之意幷以馳啓
南征日錄v2士卒出於忠愛日屢巡軍慰諭而激勵之士卒無不感泣效死此皆叅佐之助也然朴文秀 同到嶺南趙顯命 至竹山落後故文秀 錄二等顯命 錄三等實出於十分叅量趙泰億 曰聞顯命 當夜驚時先自拔劍斬賊云矣上曰顯命 果斬賊乎公對曰
桐巢漫錄v2 卒北土爲其爲巡使時有遺惠配食于白沙 事成後巡使朴文秀 始啓奏老黨以爲不稟朝延徑自私享違禁條卽令斥出文秀 拿遞閔亨洙 代任到卽究禁其時營建有司竝取其位牌出巡時使其人負其牌先路令兩卒持杖躡足驅策之疾走行數十
事變日記v3辨事者鍊石雖失嶺人之望不無辦事之能苟有一分有利於嶺事當此之時何拘於文法臣與朴文秀相親備聞鍊石罪過豈信文秀不如鍊石哉特以國事爲急有此冒昧更陳乞命特爲放釋給馬下送是白遣李栽申弼員等除職事依臣前日狀請亦令該曹稟
政堂故事v2罪善類而天輔冒擬之人皆駭怪至是致宅不能深論上亦察其情乃以巽軟評之掌令姜必愼處置以語涉巽軟遞致宅仍傳達文秀事世子又答如前必愼引避云文秀若爲御將戶判可矣若師傳之任有何德望可爲之乎
政堂故事v2初朴之拜是任也吏判李天輔所擬也用一品中權䙗及文秀擬於傳李箕鎭元景夏擬於師皆用二望文秀景夏得除是時一品如趙觀彬等有數人而李惡其峻論而拔之特注文秀以合時
政堂故事v3殿下以其臣爲忠臣而以臣等爲黨心誠刻骨欲死也都提調曰靈城言有心也上曰卿亦黨中人也予雖老豈可見欺於其言乎文秀曰殿下却藥而諸宮問安亦止之如此而爲國乎萬古千古冤痛事豈有過此乎都提調曰此千萬古至痛事也右相曰世道益下
政堂故事v3己未夏上命除私墓主人爲官吏判朴文秀奉行之李宗城入侍言曰文秀無識國家官爵豈可濫授此等人乎上命削宗城職洪鳳祚於丁未年以玉堂言曰凡私廟擧動時諸節取稟勿令禮官稟聞以示
政堂故事v4文秀自乙亥被拿後杜門不出慙恚病死上悶之加贈議政令不待狀加諡於是玉堂議諡徐命膺洪榟李仁源議以肅敏及命膺至奉
政堂故事v4李仁源議以肅敏及命膺至奉賞更議時改以忠憲因簡問洪榟榟辭以方在外不折止之物議怪之以爲梓初議肅敏固美諡非文秀所當得其改也亦不可否爲非榟乃上書自卞不得與聞改諡乃命膺自以己意爲之旣而不呈其書人益怪之七月十日命諡號
國朝人物志v3高靈人肅宗癸卯文科選翰苑己酉按節嶺南時潦水大至家舍器物蔽海而漂來委積浦邊文秀聞之以爲若非關東必關北也文秀欲移粟往哺發濟民倉穀三千石載送具啓咸曰未有朝令而移
國朝人物志v3始擧之爲南部參奉歷敎官副率英祖丁未始下召旨居數歲陞主簿諭道臣朴文秀親往勸起文秀馳奏言李某負一時重望專事黨論恐壞一方人心不足煩敦遣然上心猶未忘庚申特授持平不至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