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진(李箕鎭)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774AE30C9C4B1687X0 |
자(字) | 군범(君範) |
호(號) | 목곡(牧谷) |
시호(諡號) | 문헌(文憲) |
생년 | 1687(숙종 13) |
졸년 | 1755(영조 31)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덕수(德水)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이번(李蕃) |
생부 | 이당(李簹) |
저서 | 『목곡집』 |

[관련정보]
[상세내용]
이기진(李箕鎭)
1687년(숙종 13)∼1755년(영조 31).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군범(君範), 호는 목곡(牧谷).
양구현감 이당(李簹)의 아들로, 큰아버지인 삼척부사 이번(李蕃)에게 입양되었다.
권상하(權尙夏)의 문인이다.
1717년(숙종 43)에 진사가 되고, 같은해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예문관‧홍문관에서 재직하였다.
1721년(경종 1) 헌납으로 있을 때, 왕세제(王世弟)로 책봉된 연잉군(延礽君: 뒤의 영조)에 대하여 나쁜 말을 퍼뜨린 유봉휘(柳鳳輝)의 처벌을 주장하다가 신임사화 때 파직되었다.
1724년 영조가 즉위하자 곧 등용되어 홍문관교리가 되고, 이듬해 시독관(侍讀官)이 되어 신임사화를 일으킨 소론에 대한 논죄를 철저히 하여 그 시비를 명백히 밝힐 것을 극언함으로써 한때 영조의 노여움을 사기도 하였다.
1725년(영조 1)에 승지를 지내고, 이조참의를 거쳐 1727년에 부제학 등을 역임하고 강화부유수가 되었으나, 왕세자의 관례 때 봉전문(封箋文)을 빠뜨린 사건으로 파면당하였다.
그뒤 향리에 머물고 있던 중, 1728년 이인좌(李麟佐) 등 소론 일파가 밀풍군(密豊君) 탄(坦: 소현세자의 嫡孫)을 추대하고 반란을 일으키자 급거 상경하여 대사성에 임명되었다.
이 반란이 평정되자 다시 고향으로 내려가 있다가 1729년 재차 벼슬길에 올라 함경도관찰사를 지내고, 이어서 언관으로서 최고직인 대사간을 지내고, 경상도관찰사‧형조판서‧경기도관찰사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1741년 판의금부사‧이조판서를 지내고, 1744년 홍주목사를 거쳐 이듬해 다시 경기도관찰사‧판의금부사를 지내고, 이어 평안도관찰사를 거쳐 1749년에 동지사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751년 광주부유수로 『한봉도(汗峰圖)』를 지어 올렸고, 판돈녕부사에 이르렀다. 시호는 문헌(文憲)이다.
저서로는 『목곡집』이 있다.
양구현감 이당(李簹)의 아들로, 큰아버지인 삼척부사 이번(李蕃)에게 입양되었다.
권상하(權尙夏)의 문인이다.
1717년(숙종 43)에 진사가 되고, 같은해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예문관‧홍문관에서 재직하였다.
1721년(경종 1) 헌납으로 있을 때, 왕세제(王世弟)로 책봉된 연잉군(延礽君: 뒤의 영조)에 대하여 나쁜 말을 퍼뜨린 유봉휘(柳鳳輝)의 처벌을 주장하다가 신임사화 때 파직되었다.
1724년 영조가 즉위하자 곧 등용되어 홍문관교리가 되고, 이듬해 시독관(侍讀官)이 되어 신임사화를 일으킨 소론에 대한 논죄를 철저히 하여 그 시비를 명백히 밝힐 것을 극언함으로써 한때 영조의 노여움을 사기도 하였다.
1725년(영조 1)에 승지를 지내고, 이조참의를 거쳐 1727년에 부제학 등을 역임하고 강화부유수가 되었으나, 왕세자의 관례 때 봉전문(封箋文)을 빠뜨린 사건으로 파면당하였다.
그뒤 향리에 머물고 있던 중, 1728년 이인좌(李麟佐) 등 소론 일파가 밀풍군(密豊君) 탄(坦: 소현세자의 嫡孫)을 추대하고 반란을 일으키자 급거 상경하여 대사성에 임명되었다.
이 반란이 평정되자 다시 고향으로 내려가 있다가 1729년 재차 벼슬길에 올라 함경도관찰사를 지내고, 이어서 언관으로서 최고직인 대사간을 지내고, 경상도관찰사‧형조판서‧경기도관찰사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1741년 판의금부사‧이조판서를 지내고, 1744년 홍주목사를 거쳐 이듬해 다시 경기도관찰사‧판의금부사를 지내고, 이어 평안도관찰사를 거쳐 1749년에 동지사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751년 광주부유수로 『한봉도(汗峰圖)』를 지어 올렸고, 판돈녕부사에 이르렀다. 시호는 문헌(文憲)이다.
저서로는 『목곡집』이 있다.
[참고문헌]
景宗實錄
英祖實錄
國朝榜目
熏湖集
英祖實錄
國朝榜目
熏湖集
[집필자]
신호웅(辛虎雄)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