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유봉휘(柳鳳輝)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20BD09D718B1659X0
자(字)계창(季昌)
호(號)만암(晩菴)
시호(諡號)충정(忠靖)
생년1659(효종 10)
졸년1727(영조 3)
시대조선중기
본관문화(文化)
활동분야문신 > 문신
유상운(柳尙運)

[상세내용]

유봉휘(柳鳳輝)
1659년(효종 10)∼1727년(영조 3).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계창(季昌), 호는 만암(晩菴). 영의정 유상운(柳尙運)의 아들이다.

1684년(숙종 10) 진사가 되고, 1699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수찬부제학동지의금부사를 거쳐 1721년(경종 1) 사직으로 있을 때 노론 4대신이 중심이 되어 왕의 아우인 연잉군(延礽君) 이금(李昑)을 왕세제로 책봉하고자 하자 강력히 반대하다가 실패하고, 이어 삼사와 노론이 그를 문초하고자 주장하였으나 영의정 조태구(趙泰耉)가 왕에게 진언하여 무마되었다.

그뒤 왕세제의 대리청정이 실현되자 소론의 영수로서 왕이 병을 앓지 않는데 대리청정하게 함은 부당하다고 극간하여 철회하게 하고 노론을 실각시켰다.

1722년 우부빈객(右副賓客)이 되고, 다음해 이조판서로 승진되었으며, 1725년 영조가 즉위한 뒤 탕평책으로 노론‧소론의 연립정권이 수립될 때 우의정이 되고 이어 소론 4대신의 한 사람으로 좌의정에 올랐으나 신임사화를 일으킨 주동자라는 노론의 집요한 공격을 받고 이듬해 면직되었다.

이해 다시 이봉익(李鳳翼)민진원(閔鎭遠) 등의 논척으로 경흥에 안치되어 유배지에서 죽었다.

죽은 뒤 관작이 복구되었다가 1755년(영조 31) 다시 반역죄로 몰려 추시(追施)되었다. 일찍이 1710년(숙종 36) 당시 양민에게 큰 부담이던 군포(軍布)의 폐를 시정할 것을 건의한 바 있다.

한편 같은 소론인 이광좌(李光佐)와는 달리 과격파에 속하여 노론의 탄압에 적극적이었으므로, 노론집권 후 신원되지 못하였다. 1908년(순종 2)에 복관되었는데, 복관된 시호는 충정(忠靖)이다.

[참고문헌]

肅宗實錄
景宗實錄
英祖實錄
國朝人物考
國朝榜目
藥坡漫錄

[이미지]

[집필자]

손승철(孫承喆)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2010-05-24일성록 1908년 4월 30일조를 참고하여 복권 사실과 시호 충정(忠靖)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