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상(李秉常)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774BCD1C0C1B1676X0 |
자(字) | 여오(汝五) |
호(號) | 삼산(三山) |
시호(諡號) | 문정(文靖) |
생년 | 1676(숙종 2) |
졸년 | 1748(영조 24)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한산(韓山)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조부 | 이정기(李廷虁) |

[관련정보]
[상세내용]
이병상(李秉常)
1676년(숙종 2)∼1748년(영조 24).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여오(汝五), 호는 삼산(三山).
참판 이정기(李廷虁)의 손자이다.
1705년(숙종 31) 생원시에 합격하고, 1710년 춘당대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며, 좌상 이관명(李觀命)의 천거로 관계에 진출하였다. 검열을 거쳐, 정언‧수찬을 역임하고 경상좌도암행어사로 나갔다. 이어 이조좌랑‧교리‧대사간‧대사성‧이조참의를 지냈다.
1721년(경종 1) 부제학‧대사헌‧이조참판 등을 지내며 노론으로 소론에 맞서다가 신임사화 때 파직되기도 하였다.
1725년(영조 1) 대제학을 역임하고, 1727년 지의금부사로 있을 적에 정미환국으로 파직되었다가 이듬해 한성부판윤으로 기용되었다. 이해에 대사헌을 역임하고, 황해감사가 내려졌으나, 탕평책 반대의 소를 올려 파직되었다.
1729년 대사헌이 되고 이어 형조판서‧광주목사(光州牧使)를 역임하고, 1742년 공조판서‧판돈녕부사에 이르러 기로소에 들어가 치사하고 봉조하(奉朝賀)를 받았다.
성품이 활달하고 지조가 있었으나 당론에 가담하였고, 몸가짐이 검소하여 고관에 이르렀어도 한사와 같이 생활하였다.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참판 이정기(李廷虁)의 손자이다.
1705년(숙종 31) 생원시에 합격하고, 1710년 춘당대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며, 좌상 이관명(李觀命)의 천거로 관계에 진출하였다. 검열을 거쳐, 정언‧수찬을 역임하고 경상좌도암행어사로 나갔다. 이어 이조좌랑‧교리‧대사간‧대사성‧이조참의를 지냈다.
1721년(경종 1) 부제학‧대사헌‧이조참판 등을 지내며 노론으로 소론에 맞서다가 신임사화 때 파직되기도 하였다.
1725년(영조 1) 대제학을 역임하고, 1727년 지의금부사로 있을 적에 정미환국으로 파직되었다가 이듬해 한성부판윤으로 기용되었다. 이해에 대사헌을 역임하고, 황해감사가 내려졌으나, 탕평책 반대의 소를 올려 파직되었다.
1729년 대사헌이 되고 이어 형조판서‧광주목사(光州牧使)를 역임하고, 1742년 공조판서‧판돈녕부사에 이르러 기로소에 들어가 치사하고 봉조하(奉朝賀)를 받았다.
성품이 활달하고 지조가 있었으나 당론에 가담하였고, 몸가짐이 검소하여 고관에 이르렀어도 한사와 같이 생활하였다.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朝野輯要
國朝榜目
朝野輯要
國朝榜目
[집필자]
공원영(孔黿泳)
명 : "병상(秉常)"에 대한 용례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