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우정(李宇鼎)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C6B0C815B1635X0
자(字)중백(重伯)
생년1635(인조 13)
졸년1692(숙종 18)
시대조선중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익로(李翼老)

[상세내용]

이우정(李宇鼎)
1635년(인조 13)∼1692년(숙종 18).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중백(重伯). 직강 이익로(李翼老)의 아들이다.

1662년(현종 3)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여러 관직을 거쳐 1668년 병조좌랑이 되고 이어서 지평정언필선을 역임하였다.

1674년 사은사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와 오삼계(吳三桂)의 난을 보고하였다. 문학장령 등을 거쳐 정언이 되었는데 이해 숙종이 즉위하자 예론(禮論)과 관련하여 송시열(宋時烈)을 격론(激論)한 남인계열의 유생 곽세건(郭世楗)을 유배보낼 것을 주장하였다.

다시 헌납으로서 현종의 비 인순왕후(仁順王后)의 상을 당하여 대왕대비인 장렬왕후(莊烈王后)의 복제에 있어서 효종상 때(1659, 乙亥年) 기년설(朞年說)을 주장하였던 송시열 등 서인이 대공설(大功說: 9月喪)을 주장하다 실각하자 효종상 때의 오례(誤禮)를 문책, 그 당시의 송시열 이하 서인일파를 엄징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이에 대하여 전일에 송시열을 배척하는 곽세건을 유배 보내라고 하였던 그가 도리어 곽세건의 예론으로 송시열을 배척, 한 사람의 견해가 달포 사이에 갑자기 변하여 정태(情態)가 반복무상하다는 부수찬 이인환(李寅煥)의 공박을 받았으며, 이후 예론이 있을 때마다 서인의 공격대상이 되었다.

또한, 효종상 때 기년설을 주장하였던 김수흥(金壽興)을 멀리 귀양보내려는 그의 주장에 승지 안진(安縝)이 이를 반대하자 그의 파직을 진언하기도 하였다.

남인이 득세하자 1675년(숙종 1) 전라도관찰사에 임명되었으나 병조판서 김석주(金錫胄)가 그의 인물됨을 들어 반대하자 부임하지 않았다가 좌부승지우부승지대사간우승지 등을 역임하고 부임하였다.

이듬해 대사간을 거쳐 예조참판에 오르고 1677년 평안도관찰사로 나갔다.

1680년 경신대출척으로 남인이 실각하자, 관원 명부에서 이름이 삭제되었다가 이듬해 다시 직첩(職牒)을 환급받았다.

1689년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집권하자, 승지로 기용되고 이어서 형조판서우참찬대사헌한성부판윤 등을 역임하고, 이듬해 판의금부사예조판서를 거쳐 수어사(守禦使)가 되어 전에는 300호(戶)였던 남한산성에 1,000여호가 밀집하여 있어서 유사시에 물자가 부족할 것을 염려하여 입성자(入城者)를 제한할 것을 주장하였다.

1692년 사신으로 청나라에 갔다가 그곳에서 죽었다.

[참고문헌]

顯宗實錄
肅宗實錄
燃藜室記述
國朝榜目
黨議通略

[집필자]

문수홍(文守弘)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