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관(李慣)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774AD00FFFFB1624X0
자(字)중습(仲習)
생년1624(인조 2)
졸년1692(숙종 18)
시대조선중기
본관연안(延安)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시방(李時昉)
조부이귀(李貴)
외조부이수검(李守儉)

[상세내용]

이관(李慣)
1624년(인조 2)∼1692년(숙종 18).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중습(仲習). 이귀(李貴)의 손자로, 판서 이시방(李時昉)의 아들이며, 모친은 이수검(李守儉)의 딸이다.

1651년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다.

1655년(효종 6) 전설(典設)로 등용되고, 그뒤 제용감직장(濟用監直長)조지서별제(造紙署別提)형조좌랑호조좌랑호조정랑 등을 지내면서 낭관으로 10여년, 그뒤 남원부사충훈부도사(忠勳府都事)상주목사 등을 지냈다.

상주목사로 있을 때 선정을 베풀고 도적을 잡은 공으로 통정대부(通政大夫)로 특진되고 부상으로 말을 하사받았다.

그뒤 여주목사담양부사를 거쳐, 경주부윤이 되었을 때 선정을 베푼 공으로, 왕으로부터 칭찬하는 글과 말 한필을 하사받았다. 이어 공홍도병마절도사호조참의한성부우윤한성부좌윤경연관부총관을 거쳐, 1688년(숙종 14) 총융사공조참판을 역임하고, 이듬해 나주목사로 내려갔다가 병으로 해직되었고, 이어 안동목사를 제수하였으나 부임을 꺼려 파직되었다.

[참고문헌]

肅宗實錄
國朝人物考

[집필자]

이재범(李在範)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