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여발(李汝發)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C5ECBC1CB1621X0
자(字)군실(君實)
시호(諡號)정익(貞翼)
생년1621(광해군 13)
졸년1683(숙종 9)
시대조선중기
본관한산(韓山)
활동분야무신 > 무신
조부이의배(李義培)
공신호정사공신(靖社功臣)

[상세내용]

이여발(李汝發)
1621년(광해군 13)∼1683년(숙종 9).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군실(君實). 정사공신(靖社功臣) 한천군(韓川君) 이의배(李義培)의 손자이다.

1651년(효종 2) 무과에 급제한 뒤 비변사낭관도총부도사경력을 거쳐, 1653년 숙천부사가 되어 백성들의 어려움을 보살피고 선정을 베풀었다. 이어 만포첨사영흥부사장단방어사충청병마절도사 등을 역임하였다.

특히, 회령부사에 제수되어 가선대부(嘉善大夫)의 위계에 오르고 한흥군(韓興君)에 봉해졌다. 회령은 북방의 거진(巨鎭)으로서 야인들과 가까이 있어 서로 거래하는 시장이 있었는데 그들이 내왕에 하등 제한을 두지 않았으므로 피해가 많았다.

이때 그는 부임하여 출입인원을 320명 이내로 하고 체류일수를 20일 이내로 규정하여 엄격한 통제를 가하였으므로 많은 피해를 덜게 되었다.

1660년(현종 1) 삼도통제사에 제수되고 이어 함경도병마절도사훈련도정포도대장, 공조병조참판 등을 지내고 평안도병마절도사가 되어 나갔는데, 성을 수축하고 병기를 정비하며 군사들에게 사예(射藝)를 훈련시켜 북방수비에 만전을 기하였다.

그뒤 훈련대장 이완(李浣)이 면직되자 상국(相國) 정태화(鄭太和)의 천거로 그 후임이 되었으며 이어 어영대장, 한성부좌윤우윤비변사제조포도대장총융사수원부사 등을 지내고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올라 지중추부사가 되었다.

과묵하고 웃는 얼굴을 보기가 힘들었으며, 사졸을 따뜻이 위무하고 제교(諸校)를 예의로 대하였으므로 모두 그 덕을 우러러 그에게 충실하였다. 정태화여성재(呂聖齋) 등과 가까이 지냈다. 시호는 정익(貞翼)이다.

[참고문헌]

顯宗實錄
肅宗實錄
國朝人物考

[집필자]

홍순만(洪淳晩)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