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허균(許筠)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D5C8ADE0FFFFB1569X0
자(字)단보(端甫)
호(號)교산(蛟山)
호(號)학산(鶴山)
호(號)성소(惺所)
호(號)백월거사(白月居士)
생년1569(선조 2)
졸년1618(광해군 10)
시대조선중기
본관양천(陽川)
활동분야문신 > 문신
허엽(許曄)
강릉김씨(江陵金氏)
외조부김광철(金光轍)

[상세내용]

허균(許筠)
1569년(선조 2)∼1618년(광해군 10).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단보(端甫), 호는 교산(蛟山)학산(鶴山)성소(惺所)백월거사(白月居士).
1. 가계와 학통
부친은 서경덕(徐敬德)의 문인으로서 학자‧문장가로 이름이 높았던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허엽(許曄)이며, 모친은 후취인 강릉김씨(江陵金氏)로서 예조판서 김광철(金光轍)의 딸이다. 임진왜란 직전 일본통신사의 서장관으로 일본에 다녀온 허성(許筬)이 이복형이며, 허봉(許篈)허난설헌(許蘭雪軒)이 동복형제이다.

5세 때부터 글을 배우기 시작하여 9세 때 시를 지을 줄 알았다. 12세 때 아버지를 잃고 더욱 시 공부에 전념하였다. 학문은 유성룡(柳成龍)에게 나아가 배웠으며, 시는 삼당시인(三唐詩人)의 하나인 이달(李達)에게 배웠다. 이달은 둘째 형의 친구로서 당시 원주손곡리(蓀谷里)에 살고 있었는데, 그에게 시의 묘체를 깨닫게 해주었으며, 인생관과 문학관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2. 여러 관직을 거치다
그뒤 26세 때인 1594년(선조 27) 정시문과(庭試文科)에 을과로 급제하고 설서(說書)를 지냈고, 1597년에 문과 중시(重試)에 장원하였다.

이듬해 황해도 도사(都事)가 되었는데, 서울의 기생을 끌어들여 가까이하였다는 탄핵을 받고 여섯달 만에 파직되었다. 뒤에 춘추관기주관(春秋館記注官)형조정랑을 지내고, 1602년 사예(司藝)사복시정(司僕寺正)을 역임하였으며, 이해에 원접사 이정귀(李廷龜)종사관이 되어 활약하였다.

1604년 수안군수(遂安郡守)로 부임하였다가 불교를 믿는다는 탄핵을 받아 또다시 벼슬길에서 물러나왔다.

1606년 명나라 사신 주지번(朱之蕃)을 영접하는 종사관이 되어 글재주와 넓은 학식으로 이름을 떨치고, 누이 허난설헌의 시를 주지번에게 보여 이를 중국에서 출판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이 공로로 삼척부사가 되었으나 여기서도 석달이 못 되어 불상을 모시고 염불과 참선을 한다는 탄핵을 받아 쫓겨났다.

그뒤 공주목사로 다시 기용되어 서류(庶流)들과 가까이 지냈으며, 또다시 파직당한 뒤에는 부안으로 내려가 산천을 유람하며 기생 계생(桂生)을 만났고 천민출신의 시인 유희경(柳希慶)과도 교분을 두터이하였다.

1609년(광해군 1) 명나라 책봉사가 왔을 때 이상의(李尙毅)종사관이 되었다. 이해에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가 되고 이어 형조참의가 되었다. 1610년 전시(殿試)의 시관으로 있으면서 조카와 사위를 합격시켰다는 탄핵을 받아 전라도 함열(咸悅)로 유배되었다.

그뒤 몇 년간은 태인(泰仁)에 은거하였는데, 1613년 계축옥사에 평소 친교가 있던 서류출신의 서양갑(徐羊甲)심우영(沈友英)이 처형당하자 신변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이이첨(李爾瞻)에게 아부하여 대북(大北)에 참여하였다.
3. 역적모의 죄로 참수되다
1614년천추사(千秋使)가 되어 중국에 다녀왔으며, 그 이듬해에는 동지 겸 진주부사(冬至兼陳奏副使)중국에 다녀왔다. 이 두 차례의 사행에서 많은 명나라 학자들과 사귀었으며 귀국할 때 『태평광기(太平廣記)』를 비롯하여 많은 책을 가지고 왔는데, 그 가운데에는 천주교 기도문과 지도가 섞여 있었다고 한다.

1617년 좌참찬이 되었으며 폐모론을 주장하다가 폐모를 반대하던 영의정 기자헌(奇自獻)과 사이가 벌어지고 기자헌길주로 유배를 가게 되었다. 그 아들 기준격(奇俊格)이 아버지를 구하기 위하여 허균의 죄상을 폭로하는 상소를 올렸으며, 허균도 상소를 올려 변명하였다.

1618년 8월 남대문에 격문을 붙인 사건이 일어났는데, 허균의 심복 현응민(玄應旻)이 붙였다는 것이 탄로났으며 허균기준격을 대질 심문시킨 끝에 역적모의를 하였다 하여 허균은 그의 동료들과 함께 저자거리에서 능지처참을 당하였다.
4. 불교 도교사상에 심취하다
당시의 허균에 대한 평가는 총명하고 영발(英發)하여 능히 시를 아는 사람이라 하여 문장과 식견에 대한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그러나 그 사람됨에 대하여서는 경박하다거나 인륜도덕을 어지럽히고 이단을 좋아하여 행실을 더럽혔다는 등 부정적 평가를 내리고 있다. 그의 생애를 통해볼 때 몇 차례에 걸친 파직의 이유가 대개 그러한 부정적 견해를 뒷받침해 준다.

허균은 국문학사에서는 우리나라 최초의 소설인 「홍길동전」을 지은 작가로 인정되고 있다. 한때 그가 지었다는 것에 대하여 이론이 제기되기도 하였으나 그보다 18년 아래인 이식(李植)이 지은 『택당집(澤堂集)』의 기록을 뒤엎을만한 근거가 없는 이상, 그를 「홍길동전」의 작가로 보아야 할 것이다. 특히, 그의 생애와 그의 논설 「호민론(豪民論)」에 나타난 이상적인 혁명가상을 연결시켜 볼 때 그 구체적인 형상화가 홍길동으로 나타났다고 보아도 좋을 것이다.

그의 문집에 실린 「관론(官論)」‧「정론(政論)」‧「병론(兵論)」‧「유재론(遺才論)」 등에서 그는 민본사상과 국방정책, 신분계급의 타파 및 인재등용과 붕당배척의 이론을 전개하고 있다. 내정개혁을 주장한 그의 이론은 원시유교사상에 바탕을 둔 것으로 백성들의 복리증진을 정치의 최종목표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허균은 유교집안에서 태어나 유학을 공부한 유가로서 학문의 기본을 유학에 두고 있으나 당시의 이단으로 지목되던 불교‧도교에 대하여 사상적으로 깊이 빠져들었다. 특히, 불교에 대해서는 한때 출가하여 중이 되려는 생각도 있었으며 불교의 오묘한 진리를 접하지 않았더라면 한평생을 헛되이 보낼 뻔하였다는 술회를 하기도 하였다.

불교를 믿는다는 사헌부의 탄핵을 받아 파직당하고서도 자기의 신념에는 아무런 흔들림이 없음을 시와 편지글에서 밝히고 있다. 도교사상에 대해서는 주로 그 양생술과 신선사상에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은둔사상에도 지극한 동경을 나타내었다.

은둔생활의 방법에 대하여 쓴 「한정록(閑情錄)」이 있어 그의 관심을 보여주고 있다. 허균 자신이 서학(西學)에 대하여 언급한 것은 없으나 몇몇 기록에 의하면, 허균중국에 가서 천주교의 기도문을 가지고 온 것을 계기로 하늘을 섬기는 학을 하였다고 하였으니, 이는 곧 그가 새로운 문물과 서학의 이론에 남다른 관심을 보였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이처럼 예교(禮敎)에만 얽매어 있던 당시 선비사회에서 보면 이단시할 만큼 허균은 다각문화에 대한 이해를 가졌던 인물이며, 편협한 자기만의 시각에서 벗어나 핍박받는 하층민의 입장에서 정치관과 학문관을 피력해나간 시대의 선각자였다.
5. 많은 저작을 남기다
그의 문집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는 자신이 편찬하여 죽기 전에 외손에게 전하였다고 하며, 그 부록에 「한정록」이 있다.

그가 스물다섯살 때 쓴 시평론집 『학산초담(鶴山樵談)』『성소부부고』 가운데 실려 있는 「성수시화(惺叟詩話)」와 함께 그의 시비평 안목을 보여주는 좋은 자료가 된다. 반대파에 의해서도 인정받은 그의 시에 대한 감식안은 시선집 『국조시산(國朝詩删)』을 통하여 오늘날까지도 평가받고 있다. 『국조시산』에 덧붙여 자신의 가문에서 여섯 사람의 시를 뽑아 모은 『허문세고(許門世藁)』가 전한다. 이 밖에 『고시선(古詩選)』『당시선(唐詩選)』『송오가시초(宋五家詩抄)』『명사가시선(明四家詩選)』『사체성당(四體盛唐)』 등의 시선집이 있었다고 하나 전하지 않는다. 또, 임진왜란의 모든 사실을 적은 「동정록(東征錄)」은 『선조실록』 편찬에 가장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고 하는데 역시 전하지 않는다. 전하지 않는 저작으로 「계축남유초(癸丑南遊草)」‧「을병조천록(乙丙朝天錄)」‧「서변비로고(西邊備虜考)」‧「한년참기(旱年讖記)」 등이 있다.

[참고문헌]

허균의 생각(이이화, 뿌리깊은 나무, 1980)
허균연구(김동욱편, 새문社, 1981)
許筠論(李能雨, 숙대논문집 5, 1965)
許筠硏究(金鎭世, 국문학연구 2, 서울대학교, 1965)
許筠論 再攷(車熔柱, 아세아연구 48, 1972)
許筠(鄭鉒東, 한국의 인간상 5, 新丘文化社, 1972)
蛟山許筠(金東旭, 한국의 사상가 12인, 현암사, 1975)
許筠(조동일, 한국문학사상사시론, 지식산업사, 1978)

[집필자]

김동욱(金東旭)
대표명허균(許筠)
균(筠)
성명허균(許筠)
단보(端甫)
교산(蛟山), 성소(惺所)

성명 : "허균(許筠)"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4李山海右潑而爲北人柳成龍主性傳而爲南人東人之號遂絶而北人專盛又私自分黨李爾瞻鄭仁弘李慶全金大來奇自獻許筠洪汝諄等爲大北柳永慶南以恭金藎国柳希奮朴承宗等爲小北昏朝初永慶死而希奮以戚里弄權故小北之勢不衰大北最
國朝編年v15城可守修城增坪一丈許多穿砲穴城外築羊馬墻鑿深塹一二丈晝夜董役月餘粗完○對擧科取趙重寅等十九人○重試取許筠等五人○庭試取李好義等九人○統制使李舜臣被拿以全羅水使元均代之賊將淸正等畏我國舟師尤忌李舜臣欲縱反間
國朝編年v16遠接使大提學柳根從事官李忠完趙希逸許筠
國朝編年v17獻亦參榜好事者以爲門洞內婚家之慶席也山僧又何以得參於其間耶一時盛傳其說以爲禦眠之資蓋朴承宗李爾聸鄭造許筠曺倬爲考官所出榜者自興承宗之子爾聸之壻鄭造之切隣也窑筠之侄也佶倬之弟其中許筠以私情取姪定配咸悅窑削科
國朝編年v18正追崇定遠爲元宗其有王氣之說眞奇讖也荷潭錄○申欽春川韓浚謙忠原朴東亮牙山付處從仁弘除七臣計○刑曹判書許筠包藏禍心欲先立功專擅國柄乙卯回自京師曰中原有林居謾錄而宗系之誣至今未雪云光海聞而驚惑卽令筠委往伸辨多
國朝編年v18從廢論者許筠金闓李爾瞻韓孝純趙挺漢川君李慶全韓川君李冲南瑾趙國弼李成喜李益燁李李尙恒鄭遵辛光業南溟羽尹聖任徐國楨
國朝編年v19李山海右潑而爲北人柳成龍主聖傳而爲南人東人之號遂絶其後北人轉盛又私自分黨則爾瞻仁弘李慶全金大來奇自獻許筠洪汝諄等爲大北柳永慶南以恭金藎國柳希奮朴承宗等爲小北當昏朝之初永慶死而希奮以戚里弄權故小北之黨不衰然
紀年便攷v19爾瞻與許筠申景禧䓁同事而陽合隂忌欲先圖景禧益山人進士蘇鳴國知之乃上䟽誣称景禧與其黨掌令尹趌正言楊時晉欲推戴綾昌
紀年便攷v19莽之倒持太阿也張禹孔光之徒上書頌莾謟侫成風古今一揆不可以賛譽之多盡為公論也三司合啓請晬安寘只命遠竄○許筠使其徒金彦光投矢書于慶運宫使人發告不道之言極甚狼藉凡被罪大妃罔有紀極至謂㼁非先王之子取家人子養之宫中
紀年便攷v19許筠使咸陽人朴夢俊上䟽請寘極典故也
紀年便攷v19西城都正希聖䓁二十五人以不参庭請或終不獻議并遠竄老病而終始不参者不可謂無罪漢隂君俔䓁八人并削黜○判書許筠謀逆㐲誅筠文章獨步一時輕薄無行見棄士論附爾瞻聚躋公卿遂生不厭之心時虜警初作天下兵動人心汹懼筠詐作告急
紀年便攷v19之交壬辰扈駕聞廟社主埋安叩馬哭諫乃還奉以行錄衛聖勲後罷曾與柳希奮君之妻即希奮従妹善殺權韠後絶不相見與許筠相善而後乃惡其行絶之光海廢母時與龜川君晬及諸宗英十九人䟽論李爾瞻安置南海仍加袸棘在謫四年憂憤成疾庚申
紀年便攷v19尹絅士昕五世孫大老子明宗壬戌生字美仲號岐川宣祖庚寅進士丙申登庭試歴两司以持平論許筠光海時以西宫分司不參廢母之議官止崇政判敦寕過司馬回榜入耆社孝宗辛卯卒年九十謚靖僖子信得見下三兄弟文科
紀年便攷v19晦婿惺再從弟明宗丙寅生字述夫號松坡光海己酉進士癸丑以戶郞立異於廢母論乙卯以副率登明經科戊午以持平䟽論許筠忤爾瞻謫鏡城初以小北至是蔚然為士林清流痛念時事憂憤成疾己未卒年五十四推恩贈禮判子碩達見下孫夢翼見下
紀年便攷v19朴應犀淳庶子與徐羊甲益庶子 沈友英銓庶子李耕俊濟臣庶子朴致仁致義忠侃庶子等挾文藝習兵書往來交遊於許筠李再榮李士浩之類戊申羊甲䓁與金平孫長生庶弟等聨名上䟽請通仕䟽不見許怏怏而歸作窟驪江為同産一室之計結黨
紀年便攷v19許筠
紀年便攷v19許筠篈弟字端甫號蛟山又惺所宣祖甲午登庭試歴翰林三司丁酉以檢閱魁重試官止刑判為爾瞻血黨而性狡黠挾才長惡嘗曰
紀年便攷v19覺㐲誅爾瞻恐鞫筠則辭連於渠以為無可問之情直註正刑文章勝於諸兄多有竒絶者㸔竹集行于世天使語譯軰曰李爾瞻許筠爾國貴臣而李則秋風泣女之状許則老狐被縛之状皆不吉
紀年便攷v19元悰原州人文正彧子字誠甫宣祖癸卯進士丙午登增廣官止正以許筠黨聚無頼軰曰以廢母事謀議仁祖癸亥被誅
記聞v1遠接使大提學柳根從事官李志完趙希逸許筠
記聞v1聖節使尹根壽之行得會典全秩而來前後使竝錄光國功臣光海乙卯許筠回自京師呈進中朝野史小說有及宗系事多失實遣閔馨男齎奏筠爲副送之該部覆題以爲事似瑣屑毋或浮言云考撮
野乘v1許筠以觧還漂海人如亰囬来
野乘v1許筠䓁囬自亰師
野乘v1曕䓁議請去尊號焚誥命毁冊室冕服絶供進停朝謁降公主為庶人撤去分司别置大将領圍守䓁十餘條議上未下盖以許筠䓁方有加論故也朝廷仍不穪尊名而只穪西宫供進朝謁并停
野乘v1㕘賛許筠謀反㐲誅
龍問門答v1主洪者謂之骨北主李者謂之肉此自東人乏號遂絶有西南北三色面北爲最盛鄭仁弘李山海李爾曕金大來奇自獻許筠洪汝淳爲大北之首當光海初永慶死而希奮以戚臣弄權故小北不衰與大北洛立門戶希奮朴承宗等以攻永慶
郯述v04許 筠
文獻攷略v1統中絶而再造之君稱祖我宣廟雖遭外寇而收復不宜稱祖光海初年欲稱以祖其時尹根壽以無義例上箚而止厥後許筠李爾瞻輩請上尊號於光海光海以獨當爲愧更發稱祖之論其事遂行此可謂無知妄作矣今者光海時所上徽號方議刊
靑邱風雲v1昌大君謀逆殺之幽仁穆大妃于西宮北人又分爲大小主廢母論者爲大北異者小北大北以李爾瞻爲魁韓纘男鄭仁弘許筠李惺白大珩等贊之小北以南以恭爲首柳永慶朴承宗奇自獻柳希奮金藎國等輔之互恃恩寵以威福相軋時人號爲三
國朝人物志v1許筠
國朝人物志v2淸州人避仇關西遇郭致虛學祕方泛濫仙佛許筠爲遠接使從事官無畏爲順安訓導共宿問學仙之方無畏曰勿作陰謀祕計勿刑殺無辜勿欺誣人勿營財
國朝人物志v2愼之門無不追隨師事退溪多有問答丁卯生員丁丑文科歷檢閱官至吏曹判書請治郭再祐談仙許筠崇佛之罪東儒師友錄以李山海門客數之則洪汝諄宋言愼李弘老病國誣上之徒皆其所培植也
國朝人物志v2子弟曰好善加一倍惡惡減一倍甲午拜左議政以壬辰扈聖功臣封原城府院君錄勳諡忠靖人物考許筠有文譽應南一見曰令終幸矣見張晩曰元帥也見申景瑗曰副元帥也女眞侵邊應南
國朝人物志v2字則生昌寧人參判壽益子夢井曾孫甲午文科府使卒年四十三許筠作墓誌人物考兄晉善字則行號煙江乙酉進士甲午文科聯璧副提學國朝榜目
國朝人物志v2與洛川君金開司諫辛光業爲心腹投書于西宮掛榜于南門尤極慘酷戊午伏誅明使來時謂人曰李爾瞻許筠汝國貴臣而李則秋風泣女之相許則老狐被縛之樣其他宰相亦皆不吉百僚之面帶殺氣者甚多國安得無
國朝人物志v2銜之丙辰海州獄起牧使崔沂乃婦翁也群奸指爲罪首時纘男以刑房承旨主其獄請竝逮許筠以書怵之曰置對如此可轉禍爲福燦知不免對獄悉言奸人鍛鍊狀又發筠書奸黨大駭固請考問竟死獄中
國朝人物志v2人僉知夢虎子受學于月川趙穆光海庚戌文科分承旨精於易理甲寅以書狀如明直書日錄曰許筠到中路示林居謾錄乃寫本也人物考
國朝人物志v2景霖娶輔德廣州安士彥女生重繼以篤行補副率光海乙卯文科廢母議起以持平極言許筠附爾瞻陰蓄無君之心己未卒年五十四
國朝人物志v2俊朴忠侃庶子致仁致義金繼輝庶子慶孫平孫同志合意結爲死友皆以名家孼產往來交遊者乃許筠李再榮李士浩輩也戊申春聯名上疏冀通仕路不見用怏怏而歸作窟驪江爲同產一室之計積粟爲
國朝人物志v3西人滿朝爾瞻等密附光海引進鄭仁弘爲山林外援遂秉朝權其後北人轉盛又自分黨爾瞻仁弘許筠李慶全金大來奇自獻洪汝諄爲大北柳永慶金藎國南以恭柳希奮朴承宗等爲小北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