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달(李達){1}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774B2ECFFFFB1539X0
이명(異名)이덕(二德)
자(字)익지(益之)
호(號)서담(西潭)
호(號)동리(東里)
생년1539(중종 34)
졸년1612(광해군 4)
시대조선전기
본관홍주(洪州)
활동분야문학 > 시‧시조인
이수함(李秀咸)
출신지홍주

[상세내용]

이달(李達)
1539년(중종 34)∼1612년(광해군 4). 조선 전기의 시인. 본관은 홍주(洪州). 자는 익지(益之), 호는 손곡(蓀谷)서담(西潭)동리(東里). 이수함(李秀咸)의 서자이다.

제자 허균(許筠)이 그의 전기 「손곡산인전(蓀谷山人傳)」을 지으면서 “손곡산인 이달의 자는 익지이니, 쌍매당 이첨(李詹)의 후손이다.”라고 밝혀 놓았다. 원주 손곡에 묻혀 살았기에 호를 손곡이라고 하였다.

처음에는 당시 유행에 따라 송시(宋詩)를 배우다가, 정사룡(鄭士龍)으로부터 두보(杜甫)의 시를 배웠다. 박순(朴淳)이 그에게 시를 가르치다가 “시도(詩道)는 마땅히 당시(唐詩)로써 으뜸을 삼아야 한다. 소식(蘇軾)이 비록 호방하기는 하지만, 벌써 이류로 떨어진 것이다.”라고 충고하면서, 이백(李白)의 악부(樂府)‧가(歌)‧음(吟)과 왕유(王維)맹호연(孟浩然)의 근체시(近體詩)를 보여주었다.

그는 시도가 여기에 있음을 깨닫고, 손곡의 집으로 돌아와 당시를 익혔다. 『이태백집』과 성당십이가(盛唐十二家)의 글, 유우석(劉禹錫)위응물(韋應物)의 시, 양백겸(楊伯謙)『당음(唐音)』 등을 외웠다. 이렇게 5년 동안 계속 당시를 배운 뒤에는 그의 시가 예전과 달라졌다.

한편, 시풍이 비슷한 최경창(崔慶昌)백광훈(白光勳)과 어울려 시사(詩社)를 맺어, 문단에서는 이들을 삼당시인(三唐詩人)이라고 불렀다. 이들은 봉은사를 중심으로 하여 여러 지방을 찾아다니며 시를 지었는데, 주로 전라도 지방에서 많이 모였다.

임제(林悌)허봉양대박(梁大樸)고경명(高敬命) 등과도 자주 어울려 시를 지었다. 서자였기 때문에 일찍부터 문과에 응시할 생각을 포기하였지만, 다른 서얼들처럼 잡과(雜科)에 응시하여 기술직으로 나가지도 않았다. 특별한 직업을 가지지도 않았고, 온 나라 안을 떠돌아다니면서 시를 지었다.

그러나 성격이 자유분방하여 세상사람들에게 소외당하였다. 한때 한리학관(漢吏學官)이 되었지만, 마음에 들지 않는 일이 생겨서 벼슬을 버리고 떠났다. 중국 사신을 맞는 접빈사종사관으로 일하기도 하였다.

그의 시는 신분제한에서 생기는 한(恨)과 애상(哀傷)을 기본정조로 하면서도, 따뜻하게 무르녹았다. 근체시 가운데서도 절구(絶句)가 뛰어났다. 김만중(金萬重)『서포만필』에서 조선 시대의 오언절구 가운데 대표작으로 그가 지은 「별이예장(別李禮長)」을 꼽았다.

허균「손곡산인전」에서, “그의 시는 맑고도 새로웠고, 아담하고도 고왔다(淸新雅麗). 그 가운데 높이 이른 시는 왕유맹호연고적(高適)잠삼(岑參) 등의 경지에 드나들면서, 유우석전기(錢起)의 풍운을 잃지 않았다. 신라고려 때부터 당나라의 시를 배운 이들이 모두 그를 따르지 못하였다.”고 평하였다.

그는 일흔이 넘도록 자식도 없이 평양 여관에 얹혀 살다가 죽었다. 무덤은 전해오지 않으며,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군청 앞과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손곡리 손곡국민학교 입구에 시비(詩碑)가 세워져 있다.

시집으로 제자 허균이 엮은 『손곡집』(6권 1책)이 있다. 이밖에 최경창의 외당질 유형(柳珩)이 엮은 『서담집(西潭集)』이 있었으나 현재 확인되지 않고, 1623년 이수광(李睟光)이 지어준 서문만이 전한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燃藜室記述
淸選考

[집필자]

송정현(宋正炫)
대표명이달(李達){1}
성명이달(李達)
이익지(李益之), 익지(益之)
손곡(蓀谷)

성명 : "이달(李達)"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16白光勲光弘弟中宗丁酉生字彰卿號玉峰盧字慎門人中進士官止参奉以白衣為製述官文章鳴世與李達崔慶昌號称三唐盧守慎在珎島謫中光勲徃學焉茟亦有名名入茟苑詩如紅藕一枝風滿院亂蟬千樹雨歸村者膾灸一時詩
紀年便攷v16李達
紀年便攷v16李達詹後字益之號蓀谷又東里文章甚高與崔慶昌白光勲共称三唐落拓不得志以學官終甞為儐使従事慶昌為靈光郡達徃遊
紀年便攷v16己亥生字嘉運號孤竹明宗辛酉進士宣祖戊辰登别試歴両司官止郡守以鍾城府使降為直講世称八文章之一詩調學唐與李達白光勲并称三唐李珥称之以氷霜素履慶昌見山海䓁閃奸之状便絶舊要以故阻清選有文武全才隘于時仕不顯詩佚於兵
紀年便攷v18宣祖朝登武科壬辰以前奉事與兄倡義討倭起兵雖不多能得其心臨陣以身先之與鄭起龍安信甲齊名而御衆之才過之與李達赴援晉州乘馬馳突竟夕鏖戰士民頼而得全望之者指為千古勇將錄原從功一等官止捕将■忤光海黜為喬桐别將令殺臨
葵史v2李達字益之號蓀谷有詩集行于世載箕雅
野乘v29我國文章以明宣為盛際蓀谷李達
野乘v29○我國文章以明宣為盛際蓀谷李達出於庶孼以詩鳴世尤長於七絶殆逼唐調與孤竹崔慶昌叢桂子鄭之升並驅騷壇時人以三唐稱之蓀谷每欲一見金剛貧不
歷代帝王紀年v01李達蓀谷鄭希良虛菴李粹光潤卿芝峰
國朝捷錄v01詩弟雲輅文正滄洲善詩子轉坤林悌子順白湖白光勳彰卿玉峯崔慶昌嘉運孤竹奎瑞五代祖崔沖后善詩歌琹嘯鍾城府使李達益之居原州蓀谷又號東里李安訥子敏東岳崔鳴吉遲川任有後晩休權韠汝章石洲敎官光海癸丑以詩罪死時三昌專權公
國朝人物志v2宰江陵李益之往客焉爲人不撿許草堂貽書戒勿疏待蓬萊答之曰桐花夜煙落梅樹春雲空之句李達設若疏待則何異於陳王初喪應劉之日乎然醴初不設益之以詩辭曰行子去留際主人眉睫間秋風蘇季子又出
國朝人物志v2學敎授在京時太史星祲觀象監正李翻身自謂當之南笑曰自有當之者急還鄕卒于途中蓀谷李達哭以詩曰鸞馭飄然若木津君平簾下更何人東床弟子收遺稿玉洞桃花萬歲春格菴嘗於淸晨向東
國朝人物志v2孝雖當奔竄之際適口之味便身之物無不畢給少有英才隨玉峯公之京路由南原適値林白湖悌蓀谷李達松巖梁大樸同上廣寒樓酬唱公亦隅坐有明朝又向全城路匹馬迢迢獨詠詩之句座上莫不嘆賞白湖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