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덕령(金德齡)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E40B355B839B1567X0
자(字)경수(景樹)
시호(諡號)충장(忠壯)
생년1567(선조 즉위)
졸년1596(선조 29)
시대조선중기
본관광산(光山)
활동분야호국 > 의병
김붕섭(金鵬燮)
남평반씨(南平潘氏)
외조부반계종(潘繼宗)
출신지광주

[상세내용]

김덕령(金德齡)
1567년(선조 즉위)∼1596년(선조 29).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경수(景樹). 광주 출신.

부친은 김붕섭(金鵬燮)이며, 모친은 남평반씨(南平潘氏)직장(直長) 반계종(潘繼宗)의 딸이다.

20세에 형 김덕홍(金德弘)과 함께 성혼(成渾)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형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고경명(高敬命)의 막하에서 전라도 경내로 침입하는 왜적을 물리치기 위해 전주에 이르렀을 때 돌아가서 어머니를 봉양하라는 형의 권고에 따라 귀향하였다.

1593년 어머니 상중에 담양부사 이경린(李景麟), 장성현감 이귀(李貴) 등의 권유로 담양에서 의병을 일으켜 그 세력이 크게 떨치자, 선조로부터 형조좌랑의 직함과 함께 충용장(忠勇將)의 군호를 받았다.

1594년 세자의 분조(分朝)로 세워진 무군사(撫軍司)에 지략과 용맹이 알려져 세자로부터 익호장군(翼虎將軍)의 칭호를 받고 이어서 선조로부터 다시 초승장군(超乘將軍)의 군호를 받았다.

그뒤 최담년(崔聃年)별장으로 하여 남원에 머물다가 다시 진주로 옮겼는데, 이때 조정에서는 작전상의 통솔과 군량조달의 문제로 각처의 의병을 통합, 충용군에 속하도록 하였으며, 이로써 의병장이 되어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권율(權慄)의 막하에서 영남서부지역의 방어임무를 맡았다.

왜적의 전라도 침입을 막기 위하여 진해고성 사이에 주둔하며 적과 대치하였으나 이때 강화회담이 진행중이어서 별다른 전투상황도 없고, 또 군량의 부족으로 그 예하 3천여명 가운데 호남 출신 5백여명만 남기고 모두 귀농시켰다.

그해 10월 거제도의 왜적을 수륙양면으로 공격할 때 선봉장으로 활약하여 이를 크게 무찌르고 이어서 1595년 고성에 상륙하려는 왜적을 기습, 격퇴하였다.

그뒤 진주에 둔전을 설치하는 등 장기전에 대비하여 출전의 차비를 갖추었지만, 강화의 추진으로 출전의 기회가 주어지지 않자 울화가 생겨 과음을 하고 군법을 엄하게 함에 막료‧군졸간에 불평의 소리가 높았고, 조정에서도 실망한 나머지 그에 대한 논의가 빈번히 제기되었다.

1596년에는 도체찰사 윤근수(尹根壽)의 노복을 장살하여 투옥되었으나 영남유생들의 상소와 정탁(鄭琢)의 변호로 곧 석방되었다. 그해 7월 홍산(鴻山)에서 이몽학(李夢鶴)이 반란을 일으키자 도원수 권율의 명을 받아 진주에서 운봉(雲峰)까지 진군하였다가, 난이 이미 평정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광주로 돌아가려 하였으나 허락받지 못해 진주로 돌아왔다.

이때 이몽학과 내통하였다는 충청도체찰사 종사관 신경행(辛景行)모속관(募粟官) 한현(韓絢)의 무고로 최담년곽재우고언백(高彦伯)홍계남(洪季男) 등과 함께 체포되었다.

이에 정탁김응남(金應南) 등이 그의 무관함을 힘써 변명하였으나 20일 동안에 여섯 차례의 혹독한 고문으로 옥사하였다. 체구가 작지만 날래고 민첩하며 신용(神勇)이 있었다고 하여 용력에 대한 전설적인 이야기가 많다.

1661년(현종 2)에 신원(伸寃)되어 관작이 복구되고, 1668년 병조참의에 추증되었다.

1681년(숙종 7)에 다시 병조판서로 추증되고 1710년에 봉사손(奉祀孫)인 수신(守信)도 녹용되었다.

1788년(정조 12) 의정부좌참찬에 추증되고 부조특명(不祧特命)이 내려졌다. 죽기 전에 지었다는 「춘산곡(春山曲)」 시조 한 수가 전한다.

1678년(숙종 4) 광주벽진서원(碧津書院)에 제향되었는데 이듬해 의열사(義烈祠)로 사액되었다. 시호는 충장(忠壯)이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宣祖修正實錄
朝野輯要
海東名臣錄
湖南節義錄
燃藜室記述
壬辰義兵의 性格(崔永禧, 史學硏究 8, 1960)
李夢鶴の亂について(藤井誠一, 靑丘學叢 22, 1935)

[집필자]

김동수(金東洙)

성명 : "김덕령(金德齡)"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16啓固足以致人之疑李貴豈不知乎之卿曾言成渾構殺崔永慶事今此上疏安知不因此而發乎李貴之爲人卿知之乎曾做出金德齡兩掖兩虎出入之說者也此說可做何言不做不過欲使卿狼狽退敀而已且未知必皆出於李貴之手也○▣▣再上箚陳其五
紀年便攷v17金德齡
紀年便攷v17金德齡光州人習讀鵬變子明宗戊申生字景樹居光州石底村慷慨好讀書以氣節自許勇力絶倫追及走狗磔其肉而盡食之騎馬而
紀年便攷v17有一冊子名曰卧薪記請於道臣以進則道臣格不聞濟民遂乘舟入海與世相忘稱以海狂讀聖賢書最深於昜從李之菡遊與金德齡為中表勉起之入濟州叔駿馬以授之女婿權鞸錄其平生言行宣祖壬寅卒年五十四
紀年便攷v18金應會潭陽人宣祖朝以進士為别㘴性純孝父没居廬盡禮事母至誠時値壬辰亂與金德齡起義兵德齡以應會妻弟學書於應會恐其才藝為世所忌欲韜晦不出應會勉之曰上蒙塵三京失守此志士盡節之秋敢言身
紀年便攷v19成允文昌寕人登武科以武藝早躋華秩歴蔚兵京水平兵宣祖壬辰因權慄言捕金德齡光海朝登壇拜訓将官止判尹
國朝捷錄v01金德齡
國朝捷錄v01○萬曆丙申湖西賊李夢鶴作亂攻陷鴻山六邑洪州牧使洪可臣棄城拒守討平之甲辰四月錄六人㒱鶴初起兵也誑其衆曰金德齡與我有約以其德齡坐死
湖南節義錄v1茂爲右義兵將使防錦山以上賊聲勢相依聞錦山之敗旋馬南還欲及義徒未散更爲召集又聞重峰敗歿號痛幾絶時忠勇將金德齡丁憂在家卽馳往以先國後私之義勉而起之推以爲將遂入濟州求駿馬以授之丁酉往見天將楊元於南原欲陳守禦策公素
韓史綮v1還都無宮闕以貞洞月山大君舊宅爲行宮是爲慶運宮○十一月遣世子撫軍于忠淸全羅慶尙三道○十一一月光州儒生金德齡起義兵德齡有神力勇捷如飛嘗入山捕二虎兩手各執一虎行于市中是時以親喪家居世子諭以勤王德齡感激與其所
韓史綮v1餉保每兵一人給戶保或二或三總名曰保布三手者砲手射手殺手也○夏四月大饑民相食乃下罪已書于諸道○義兵將金德齡留屯晉州與賊戰頗有克捷賊畏之號爲飛將軍乃賜號曰忠勇將軍令諸道義兵皆屬之○以鄭經世爲弘文校理經世在經
韓史綮v1正黃愼等從往○陞李元翼爲左議政以鄭琢爲右議政○秋七月有李夢鶴者作亂於鴻山都元帥權慄檄忠勇將軍金德齡討之德齡至鴻山夢鶴尋爲其下所殺德齡遂還晉州旣而有人告德齡知夢鶴叛謀王遣承旨徐渻按驗渻至晉州則
東國續修文獻錄v1公旌盧蓋邦維翰豐川人東萊敎授殉於校宮旌趙憲見儒林高敬命而順霽峯長興人文修撰贈贊成忠烈公旌金千鎰見儒林金德齡光州人贈贊成忠莊公旌尹暹汝進果齋南原人文校理贈吏判文烈公金汝岉順天人文獻納贈領相郭再祐忘憂忘玄風人
國朝人物志v2心書壬子生員明宗戊午文科官至左議政西原府院君錄扈聖勳入耆社壬辰薦郭再祐李舜臣金德齡等才可用當德齡以事論死時琢極言其臨敵殺名將以自弱甚無謂上亟命赦之其後竟不免死賊聞之酌
國朝人物志v2以無事島酋平秀吉宣言將借路入明上命各薦將帥才柳成龍薦權慄李舜臣鄭琢薦郭再祐金德齡鄭彥信薦億祺申砬金時敏遂以億祺爲順天府使旋陞右水使綜理軍務左水使元均擁
國朝人物志v2若來水使之頭當懸旗竿因向德山到處掛榜曰居民安堵吾等此擧欲救遺民於水火之中又曰忠勇將金德齡永川郡守洪季男皆我同黨而擧兵同來向京都元帥權慄檄金德齡等引兵來討使尹誡募壯
國朝人物志v2殺其大將是日中丸死諸將皆弔萬壽曰兒死得其所何用弔爲拜珍島郡守日夜繕聚李舜臣軍閑山金德齡軍光州萬壽各助兵糧輸餉不絶幼嬉戲爲營陣狀及長讀書至古人殉節處爲之嗚咽人物考
國朝人物志v2費以七十餘人破賊于鼎津咸安斬首五十級自是應募者大集再祐嘗着紅衣挺身先之賊號曰紅衣將軍金德齡貽書賀曰身作長城控扼喉吭使江淮以西終始保障重恢盛業想必第一於凌煙再祐聞慶尙監司金睟
國朝人物志v3敏敍箚請毀佛像投諸水火以杜左道誑惑之端丁巳拜光州牧增修壬辰倡義人朴光玉祠竝享金德齡爲江華留守請築文殊白馬二城汾厓申晸每言西河翁如雪峯孤松官至大提學人物考
國朝人物志v3懇懇諄篤可悉其平生所在一時忠義藎臣如李德馨李廷馣金命元李時發金誠一郭再祐李舜臣金德齡鄭澈諸君致書爲禮初從軍渡海懷辛卯歲口籍而來顧其志已決其不復返也慕華堂集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