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경종(柳慶宗)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720ACBDC885B1565X0 |
자(字) | 선원(善元) |
생년 | 1565(명종 20) |
졸년 | 1623(인조 1)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진주(晉州[土])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유전(柳詮) |
조부 | 유희택(柳希澤) |
증조부 | 유홍(柳洪) |
외조부 | 민기무(閔起武) |

[관련정보]
[상세내용]
유경종(柳慶宗)
1565년(명종 20)∼1623년(인조 1).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선원(善元). 유홍(柳洪)의 증손으로, 조부는 유희택(柳希澤)이고, 부친은 유전(柳詮)이며, 모친은 민기무(閔起武)의 딸이다.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1595년(선조 28) 별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예문관검열, 승정원주서를 거쳐 대교‧봉교 등 주로 한림직(翰林職: 홍문과‧예문관의 文翰職)을 수행하다가, 1598년(선조 31)에 함경도사에 파견되었으며, 이듬해 중앙관직으로 복귀하여 사간원정언‧헌납을 지내다 독향사(督餉使)의 종사관(從事官)의 임무를 띠고 경상도에 파견되었다.
첨정 조존성(趙存性)의 탄핵을 받았으나 사서‧예조좌랑‧병조정랑‧사헌부지평 등의 청요직(淸要職: 학식과 문벌이 높은 인물에게 주는 중요한 관직)을 거쳐, 1606년(선조 39) 성절사(聖節使)의 서장관 임무를 무리 없이 마치고 귀국했으며, 이듬해 강원도 경차관으로 파견되어 벌목 노역의 폐단을 없애는 데 노력했다.
그 뒤 병조정랑에 재임명되었고, 장령‧사예를 거쳐, 광해군이 즉위하자, 헌납으로 기용된 뒤 사간‧장령‧필선의 직을 수행하였다. 간관(諫官)으로 재직할 때 선조의 어의(御醫: 임금의 진료와 치료를 맡았던 의료관직)였던 허준(許準)의 약의 처방 문제 시비를 논하려다 김대래(金大來) 등에게 배척당하였고, 사헌부집의로 재등용된 뒤 동부승지‧우승지‧승지를 차례로 지냈다.
승지 재직 시 지방관의 포상 남발에 대한 규제에 노력하였고, 균전사(均田使)로 지방에 파견되어 양전(量田: 토지조사)사업에 참여하였다.
1613년(광해 5) 황해도감사를 거쳐, 대사간‧대사헌직을 맡았고, 이때 인목대비 폐비론에 가담하여, 인조반정 후 계해역흉(癸亥逆兇: 인조반정에 반기를 들어 주동한 인물)으로 지목되어 생을 마감하였다.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1595년(선조 28) 별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예문관검열, 승정원주서를 거쳐 대교‧봉교 등 주로 한림직(翰林職: 홍문과‧예문관의 文翰職)을 수행하다가, 1598년(선조 31)에 함경도사에 파견되었으며, 이듬해 중앙관직으로 복귀하여 사간원정언‧헌납을 지내다 독향사(督餉使)의 종사관(從事官)의 임무를 띠고 경상도에 파견되었다.
첨정 조존성(趙存性)의 탄핵을 받았으나 사서‧예조좌랑‧병조정랑‧사헌부지평 등의 청요직(淸要職: 학식과 문벌이 높은 인물에게 주는 중요한 관직)을 거쳐, 1606년(선조 39) 성절사(聖節使)의 서장관 임무를 무리 없이 마치고 귀국했으며, 이듬해 강원도 경차관으로 파견되어 벌목 노역의 폐단을 없애는 데 노력했다.
그 뒤 병조정랑에 재임명되었고, 장령‧사예를 거쳐, 광해군이 즉위하자, 헌납으로 기용된 뒤 사간‧장령‧필선의 직을 수행하였다. 간관(諫官)으로 재직할 때 선조의 어의(御醫: 임금의 진료와 치료를 맡았던 의료관직)였던 허준(許準)의 약의 처방 문제 시비를 논하려다 김대래(金大來) 등에게 배척당하였고, 사헌부집의로 재등용된 뒤 동부승지‧우승지‧승지를 차례로 지냈다.
승지 재직 시 지방관의 포상 남발에 대한 규제에 노력하였고, 균전사(均田使)로 지방에 파견되어 양전(量田: 토지조사)사업에 참여하였다.
1613년(광해 5) 황해도감사를 거쳐, 대사간‧대사헌직을 맡았고, 이때 인목대비 폐비론에 가담하여, 인조반정 후 계해역흉(癸亥逆兇: 인조반정에 반기를 들어 주동한 인물)으로 지목되어 생을 마감하였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國朝榜目
燃黎室記述
大東野乘
光海君日記
國朝榜目
燃黎室記述
大東野乘
[집필자]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9-09-30 | 2009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