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권율(權慄)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AD8CC728FFFFB1537X0
자(字)언신(彦愼)
호(號)모악(暮嶽)
시호(諡號)충장(忠莊)
생년1537(중종 32)
졸년1599(선조 32)
시대조선전기
본관안동(安東)
활동분야문신 > 문신
권철(權轍)
공신호선무공신(宣武功臣)

[상세내용]

권율(權慄)
1537년(중종 32)∼1599년(선조 32). 조선 전기의 문신‧명장.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언신(彦愼), 호는 만취당(晩翠堂)모악(暮嶽).
1. 관력
부친은 영의정 권철(權轍)이며, 이항복(李恒福)의 장인이다.

1582년(선조 15)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정자가 되었다. 이어 전적감찰예조좌랑호조정랑전라도도사경성판관을 지냈다.

1591년에 재차 호조정랑이 되었다가 바로 의주목사로 발탁되었으나, 이듬해 해직되었다.
2. 북진 계책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목사에 제수되어 바로 임지로 떠났다. 왜병에 의해 수도가 함락된 뒤 전라도순찰사 이광(李洸)방어사 곽영(郭嶸)이 4만여명의 군사를 모집할 때 광주목사로서 곽영의 휘하에서 중위장(中衛將)이 되어 서울의 수복을 위해 함께 북진하였다. 이광수원용인 경내에 이르러 이곳에 진을 친 소규모의 적들을 공격하려 하자 극력반대하면서 자중책을 말하기도 하였다.

즉, 서울이 멀지 않고 대적이 눈앞에 있는 상황에서 적은 적과의 싸움에서 도내의 병력을 모두 소모할 것이 아니라, 조강(祖江)을 건너 임진강을 막아서 서로(西路)를 튼튼히 하여 군량미를 운반할 수 있는 도로를 보장한 다음에 적의 틈을 살피면서 조정의 명을 기다리는 것이 옳겠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주장인 이광이 듣지 않고 무모한 공격을 취하여 대패하고 선봉장 이시지(李詩之)백광언(白光彦) 등 여러 장수들이 전사하였으나, 오직 혼자만이 휘하의 군사를 이끌고 광주로 퇴각하여 후사를 계획하였다.

한편, 남원에서 1천여명의 의군을 모집하여 다시 북진, 금산군에서 전주로 들어오려는 고바야카와(小早川隆景)의 정예부대를 맞아 동복현감(同福縣監) 황진(黃進)과 함께 이치(梨峙)에서 싸웠다. 이 싸움에서 황진이 총을 맞아 사기가 저하되었으나 굴하지 않고 군사들을 독려하여 왜병을 격퇴시켜 호남을 보존하였다. 그해 가을 이치싸움의 공으로 곧 전라감사에 승진하였다.

12월에 도성 수복을 위해 1만여명의 군사를 거느리고 북진길에 올라 직산에 이르러 잠시 머물다가, 체찰사 정철(鄭澈)이 군량미 마련 등에 어려움이 있으니 돌아가 관내(管內)를 지키는 것이 좋겠다고 하자, 잠시 주저하였으나 북상하라는 행재소의 전갈을 받고 북진을 계속하였다.
3. 독산성전투
그러나 앞서 용인에서 크게 패한 전철을 다시 밟지 않기 위해서 바로 북상하는 것을 피하고, 수원 독성산성(禿城山城)에 들어가 진지를 구축하였다.

대병이 그곳에 와 있다는 소식을 전해들은 왜병의 총사령관 우키타(宇喜多秀家)는 후방의 연락이 단절될 것을 염려한 나머지 도성에 주둔한 왜병을 풀어 삼진(三陣)을 만들고 오산 등 여러 곳에 진을 친 다음 서로 오가게 하며 독성산성의 아군을 밖으로 유인하려 하였다.

그러나 성책을 굳게 하여 지구전(持久戰)과 유격전을 펴가면서 그들에게 타격을 가하자 몇 날이 지난 다음 영책(營栅)을 불사르고 도성으로 물러났다. 적이 퇴각할 때 정예기병 1천을 풀어 적의 퇴로를 기습하여 많은 왜병을 베었다.

그뒤 명나라 원군과 호응하여 도성을 수복하기 위해 독성산성으로부터 서울근교 서쪽 가까이로 옮기기로 하고 먼저 조방장 조경(趙儆)을 보내 마땅한 곳을 물색하도록 하여 행주산성을 택하였다. 조경에게 명하여 2일간에 걸쳐 목책(木栅)을 완성하게 하고 이어 독성산성으로부터 군사를 옮기는 작업을 개시하였다. 대군의 행렬을 위해서 그는 독성산성에 소수의 군사만을 남겨 많은 군사가 계속 남아 있는 것같이 위장한 뒤 불시에 행주산성으로 옮겼다.

그는 행군중에 휘하병 가운데 4천명을 뽑아 전라병사 선거이(宣居怡)로 하여금 금천(衿川: 지금의 始興)에 주둔하게 하고 도성의 적을 견제하도록 하였다.
4. 행주산성전투
이때 휴정의 고제(高弟) 처영(處英)이 의승병(義僧兵) 1천을 이끌고 당도하였으나, 행주산성에 포진한 총병력은 1만명 미만이었다.

그뒤 정예병을 뽑아 도성에 보내어 도전하니 적장들은 이치싸움에서 대패한 경험이 있고, 또 독성산성에서의 치욕을 경험한 탓으로 일거에 침공하여 멸하지 않는 이상 큰 위협을 배제할 수 없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이리하여 도성에 모인 전군을 총출동시켜 총대장 우키타를 위시해서 3만의 병력으로 행주산성을 공격하였다.

왜병은 7대로 나누어 계속하여 맹렬한 공격을 가하여 성이 함락될 위기에까지 직면하였으나, 일사불란한 통솔력과 관군과 의승병이 사력을 다하여 승리를 거둘 수 있었다. 대패한 적은 물러가기에 앞서 사방에 흩어져 있는 시체를 모아 불을 질렀으나, 그밖에도 유기된 시체가 2백구에 달했고 타다 남은 시체는 그 수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였다.

권율의 군대는 그들이 버리고 간 기치(旗幟)와 갑주(甲胄)‧도창(刀槍) 등 많은 군수물을 노획하였다. 이것이 1593년 2월 12일에 있었던 행주대첩이다.
5. 정유재란시의 활동
그뒤 권율은 왜병의 재침을 경계하여 행주산성은 오래 견디어내기 어려운 곳으로 판단, 파주산성(坡州山城)으로 옮겨가서 도원수 김명원(金命元), 부원수 이빈(李薲) 등과 성을 지키면서 정세를 관망하였다.

그뒤 명나라일본 간에 강화회담이 진행되어 일부지역을 제외하고 휴전상태로 들어가자, 군사를 이끌고 전라도로 복귀했다.

그해 6월 행주대첩의 공으로 도원수로 승진하여 영남에 주둔하였는데, 1596년 도망병을 즉결한 죄로 해직되었으나 바로 한성부판윤에 기용되었으며, 호조판서충청도관찰사를 거쳐 재차 도원수가 되었다.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적군의 북상을 막기 위해 명나라 제독 마귀(麻貴)와 함께 울산에 대진하였으나 도어사 양호(楊鎬)의 돌연한 퇴각령으로 철수하였다. 이어 순천 예교(曳橋)에 주둔한 왜병을 공격하려 하였으나, 전쟁의 확대를 꺼리던 명나라 장수들의 비협조로 실패하였다.

1599년 노환으로 관직을 사임하고 고향으로 돌아가 7월에 죽었다. 영의정에 추증되었고, 1604년(선조 37) 선무공신(宣武功臣) 1등에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으로 추봉되었다.

1841년 행주기공사(紀功祠)를 건립, 그해 사액되었으며, 그곳에 향사되었다. 시호는 충장(忠莊)이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宣祖修正實錄
白沙集(李恒福)
象村集(申欽)
耳溪集(洪良浩)
增補文獻備考
壬辰戰亂史(李烱錫, 新現實社, 1976)

[집필자]

이장희(李章熙)

성명 : "권율(權慄)"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13子又陷賊中上之竟不行咸興者尹斗壽之力也○三道兵潰于龍仁李洸等奔還本道洸令郭嶸進擊龍仁賊中衛將光州牧使權慄曰賊據險勢難仰攻今主公掃境入援務在持重不可與少賊爭鋒唯當直渡祖江以塞臨津則西路自固粮道亦通得其形便以
國朝編年v14道節度使金弘卒以全羅道義兵將崔慶會代之以黃進爲忠淸道節度使以高彦伯爲慶尙左道節度使○二月全羅道巡察使權慄敗賊兵于高陽之幸州時京城賊合屯大熾慓欲連絡天兵以圖京城乃留兵使宣居怡領全師屯衿川光敎山遙爲聲援分抄精
國朝編年v15民得休一分之力以爲寧邦之本而以無負予德嗚乎小惠未遍敢言深乎爾至誠則孚尙冀有感於予云云○以忠淸道觀察使權慄復爲都元帥時賊久不退朝廷方議拜元帥上問曰誰可爲元帥者左右對以他人上曰何不以權慄爲之仍特拜慄卽拜辭特賜
國朝編年v16始有合錄之議卽稟旨改定今者言官又請分錄其中削去者二十七人追錄鄭運等亦當竝削然則征倭武將所存者只李舜臣權慄高彦伯元均四人而已如權應銖之於永川有收復之功李億祺之於舟師趙儆之於幸州有勝捷之功金時敏李光岳之於晉州
國朝編年v19妓老妓以節度宴餘物饋之忠信却不食曰大丈夫當身爲節度使以己餘食人焉得啖人頷下物乎其志氣之亢如此壬辰牧使權慄募能以狀達行在者莫有應忠信奮然請行時年十七賊兵滿道忠信獨身杖劍達行在李鰲城謂曰此兒遠來無所投止其舍諸
紀年便攷v14揮刀賈勇而進忠清兵使申益以先鋒在前先潰三道兵一時皆散洸䓁委棄印符教書軍資器械而逃賊悉焚之事聞洸被竄以權慄代為全羅巡祭使國馨䓁論罪有差初洸到公州聞西狩遂退軍助防将自光彥曰退縮不赴有何意乎乃拔釰瞋目洸驚謝之
紀年便攷v14被殺掠多附賊千鎰至水原據禿城古城搜斬附賊奸民士民之歸赴者聚 上命授掌隷院判决事兼號倡義使○全羅節制使權慄遣兵敗倭于熊峙金堤郡守鄭湛死之倭兵又犯梨峙同福縣監黃進敗之是時賊自錦山踰熊峙欲入全州境羅州判官李福男
紀年便攷v14鏖戰不敵而退湛獨力戰射殺白馬将旣而孤軍被圍将佐勸湛退陣湛不聴堅立不動發矢必中力詘死之倭兵又大舉犯梨峙權慄督黃進䓁據峴大戰射矢如破發無不中賊兵大敗㐲屍流血艸木為之腥臭是日進中丸少沮慄督将士継之故得捷倭中稱朝
紀年便攷v15貴上疏力薦可任大將又諭世子令旨徳齡乃与所善壯士崔聃齡䓁俱起賣田宅為器仗傳掫募兵得精壯五十請命於都元帥權慄以超来使為章所来白馬日行千里所向克捷如入無人号飛將軍
紀年便攷v15忠清兵使黃進全羅防禦使李福男各以其兵會權慄領新兵赴嶺南皆列屯昌寧宜寧䓁邑以臨賊境
紀年便攷v15不守大軍旡歸路遂回軍平壤留王必廸守開成○車駕自義州還駐㝎州正月○世子自成川奉廟社主赴行在○全羅巡察使權慄敗賊兵于幸州慄欲圖京城乃留兵使宣居怡領全師屯光教山使為聲援自領兵四千自陽川後陣于幸州用中軍趙儆計設木
紀年便攷v15琢擖言舜臣名將不可殺乃侖减死削職白衣從軍以元均代爲統制使舜臣母在牙山憂悸而殁舜臣出獄道過牙山成服卽徃權慄麾下從軍
紀年便攷v15拿而慮其難擒承旨徐渻曰徳齡非叛者遣一使足以就拿 上命渻徃捕之權慄已令成潤文執送于獄渻聞徳齡就捕狀闻曰權慄使徳齡討夢鶴則四日遲留觀望成敗故囚之云此八字遂為徳齡断案時相忌其威名囑刑吏殺之崔聃齡亦死獄中倭人闻之
紀年便攷v15夢鶴文書有金崔洪徳齡及崔聃齡洪李男之說命拿而慮其難擒承旨徐渻曰徳齡非叛者遣一使足以就拿 上命渻徃捕之權慄已令成潤文執送于獄渻聞徳齡就捕狀闻曰權慄使徳齡討夢鶴則四日遲留觀望成敗故囚之云此八字遂為徳齡断案時相
紀年便攷v15先鋒擺賽䓁領精兵直迫賊墨撃斬四百六十級西南諸屯賊闻島山受圍發兵赴援鎬督諸軍攻城不利招接伴使李徳馨元帥權慄䓁曰城險難拔救兵勢大不如觧成再圖後舉遂撤兵還京是彼也天兵死傷者三千四百餘人粮資器械蕩然旡遺
紀年便攷v19成允文昌寕人登武科以武藝早躋華秩歴蔚兵京水平兵宣祖壬辰因權慄言捕金德齡光海朝登壇拜訓将官止判尹
宣廟中興誌v1魯等傳檄遠近招論士民全羅監司李洸兵潰於錦江李洸領兵七萬勤王行到錦江聞訛言遽令罷陣諸軍一時潰散光州牧使權慄屯板峙見諸軍奔還令其軍曰各軍雖退吾軍不可動若有一卒逃者領將以下皆斬遂馳到錦江大言責洸金堤武士白光
野乘v1○尹根壽囬自亰師勅命光海捴督全慶軍務許以便冝區䖏且與權慄盡心恊理幹蠱啚存固我藩籬寧爾宗社俟有成㓛另議優處毋或違越明命致誤事務噬臍何及云云卽遣韓凖奉表謝恩兼
國朝捷錄v01權 慄
國朝捷錄v01倡義鳩旅從權慄有功幸州事蹟見象村集
湖南節義錄v1癸巳正月天兵復平壤全羅監司權慄大破賊兵於幸州山城四月天兵復京城賊淸正平秀家等撤還嶺南賊以去歲晉州之戰爲牧使金時敏所敗欲雪前憤五月
湖南節義錄v1兵到錦江聞京城不守恇㤼罷陣及再徵兵皆疑懼逃匿忠烈公與朴光玉曉諭收潰卒使公及伯氏孝烈公分領至水原付牧使權慄因欲西赴行在路梗不得進還到潭陽忠烈公已建義旗爲大將公與孝烈公從焉將移軍全州有一士以老母在請許歸覲追屬
湖南節義錄v1賊臣弘老上凶疏誣牛溪爲東宮圖內禪公上章伸辨以解天意其往來勤王勳勞甚多又除別座錄宣武原從勳丁酉以都元帥權慄從事官倚馬草檄漕運濟州軍粮萬曆丙午司馬乙酉以殿策魁文科聞天朝光海甲寅以翰林坐金延興獄被逮及放還遺落世
湖南節義錄v1義旅道臣李洸罷陣於公州及其再徵兵人皆逃匿忠烈公與前府使朴光玉奔走曉諭收合潰卒使公兄弟分領到水原付牧使權慄陣仍欲西赴行朝路阻不得進而回忠烈公已建義旗于潭陽公迎謁于泰仁轉往金溝廢縣募人傳檄于濟州請得戰馬由金堤
靑邱風雲v1慶州人文忠公壬辰贊中興鰲城府院君錄丁巳諫廢母謫北靑卒戊戌拜父夢亮祖禮臣曾成茂外崔崙妻父權慄
韓史綮v1名曰天降紅衣將軍相戒不犯由是嶺右諸邑賴以晏然王聞之授幽谷察訪○秋七月賊自錦山踰熊峙欲入全州全羅節制使權慄遣金堤郡守鄭湛等拒之賊擊殺湛又益兵而進慄令同福縣監黃進據守梨峴仍以援繼之賊至峴攀崖而上進依樹射之多
韓史綮v1會有訛言淸正自北道將襲平壤如松乃聲言平壤根本地不可失留王必迪守開城之平壤住焉○王還次于定州○二月權慄欲連絡明兵以復漢城令全羅水使宣居怡代領大軍自領精兵四千自陽川渡漢江陣于幸州山城慶尙防禦使趙儆以數十騎
韓史綮v1朝鮮亦遣敦寧府都正黃愼等從往○陞李元翼爲左議政以鄭琢爲右議政○秋七月有李夢鶴者作亂於鴻山都元帥權慄檄忠勇將軍金德齡討之德齡至鴻山夢鶴尋爲其下所殺德齡遂還晉州旣而有人告德齡知夢鶴叛謀王遣承旨
韓史綮v1丁酉三十年明神宗萬曆二十五年時日本兵絡繹渡海號稱萬艘春正月命權慄聚諸道兵三萬三千餘人定將分防又遣權悏告急于明○二月明以右僉都御史楊鎬爲經瑆兵部尙書邢玠爲總督總兵麻
韓史綮v1朝鮮前後徵發諸省兵二十二萬一千五百餘將士三百七十餘糧銀八百八十三萬二千餘兩糧六十萬石賞銀三千餘兩○權慄得疾歸田里秋七月卒年六十三
韓史綮v1辛丑三十四年明神宗萬曆二十九年夏五月錄宣武勳以李舜臣權慄爲一等錄扈從勳以李恒福鄭崑壽爲一等○先是有漢語譯官洪純彦者隨使入明都游娼館有榜曰千金易色者純彦奇
東國續修文獻錄v1李舜臣德豐府院君中流丸卒忠武公權慄永嘉府院君都元帥忠莊公元均石陵君統制使擊賊而死
國朝人物志v2無一錯誤吏民以爲神莫敢欺數月治化大行壬辰倡義旅號曰秋義軍勢大振莫不響應煮海爲鹽以資餉饋流民賴活權慄自禿城至幸州賊勢甚張性傳分軍赴援率舟師遮絶賊路與金千鎰控隘江都以通南北朝廷嘉之特
國朝人物志v2方事體不可出巡行南方開府星州當殘破之餘庶事潰裂號令不行諸鎭驕悍違令者皆杖之軍門都元帥權慄關東觀察宋言愼違令不至皆啓罷之丁酉賊復益兵臨我而詒我令我列舟師於釜山前洋覘我虛實統制
國朝人物志v2使胡莫測胡相持不得便遂撤去北方賴以無事島酋平秀吉宣言將借路入明上命各薦將帥才柳成龍薦權慄李舜臣鄭琢薦郭再祐金德齡鄭彥信薦億祺申砬金時敏遂以億祺爲順天府使
國朝人物志v2門甚見器重壬辰起義旅以付郭再祐討賊有功除陜川郡守丁酉再搶公不離郡境賊至輒討却之都元帥權慄以聞拜工曹參議疏陳時政得失請振紀綱肅軍政舒民力嚴宮禁袪褊私納諫諍屢百言上嘉納之
國朝人物志v2等此擧欲救遺民於水火之中又曰忠勇將金德齡永川郡守洪季男皆我同黨而擧兵同來向京都元帥權慄檄金德齡等引兵來討使尹誡募壯士十餘人夜入賊中放砲大呼曰都元帥全羅監司忠勇將各率數
國朝人物志v2得數十萬軍械悉備乃進屯水原以抗賊親率精銳箚于陽川前後殺獲甚衆自制大車三百輛分與巡察使權慄以助幸洲之捷三爲調度御史再任督運得穀數十萬石明兵賴不乏糧管下官皆蒙賞典而獨不與焉未嘗
國朝人物志v2退住順安與賊相持白沙李恒福嘗言亂後諸將不失人臣之義者惟公而已代李鎰爲巡邊使與權慄合兵守坡州山城已而賊棄京城遁公追至尙州擊賊敗之遂奔命於嶺右湖左之間大小數十餘戰屢敗
國朝人物志v2訓鍊院正壬辰與弟智島萬戶希立同赴李舜臣麾下舜臣知有忘家殉國之志薦於都元帥權慄丁酉慄差大立倡義別將使捍海寇遂諭集亡逃者廣募義旅戰於寶城津獨射殺數百人又戰於
國朝人物志v2奉之臺臣劾之下理奪官壬辰爲嶺南防禦使至金山麾下僅百人遇賊進戰賊走至漣川全羅巡察使權慄守禿城儆以麾下數十騎爲其聲援慄感其義啓曰終始掎角惟趙儆一人而已請與同事倭乃掃
國朝人物志v2科官至工曹參判爲興陽郡守時邊無急警而捐俸多造戰船臨亂賴焉屢從諸帥府從相國鄭彥信巡察權慄且與統制李舜臣同事興立臨陣意氣自若飛丸中冑冑碎亦不撓漆川之戰元均臨陣誤機遁興立
國朝人物志v2志自順天來會賊騎已逼傍縣人心洶洶鐵堅約駱將設外陣遣兵勦歸南原得全且轉運一路餽餉以給權慄軍後權慄歷言壬辰之力於國事者必曰崔公崔公人物考
國朝人物志v2均爲統制使代領其任均揣審賊情以計誑我力陳釜山前洋不可入討之意朝廷不聽都元帥權慄督戰益急均遂至熊川前洋遇賊大戰破之均請益援兵以爲更進之計慄以均逡巡失機拿杖
國朝人物志v2安東人領相轍子宣祖壬午文科時年四十五辛卯薦授義州府尹壬辰倭兵大至上曰予聞權慄有才今在何處卽日拜光州牧使聞命卽行承旨問曰何行之遽慄曰國家事急此正臣子效死之秋何敢徘徊
國朝人物志v2承勳奉命南下以其功聞于朝進拜尙州牧使起龍與李守一協守金烏山城李元翼問將才於權慄及郭再祐皆以爲非起龍不可乃召爲將屬以郡兵使擊倭起龍進屯高靈郡綠檟田倭兵數萬出陣
國朝人物志v3字可行光州人高麗尙書地七代孫壬辰倭兵大至權慄起兵討賊忠信以知印常在左右慄絶愛之上西幸義州慄以兵事募能以狀達行在者忠信奮身請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