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안국(金安國)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AE40C548AD6DB1478X0 |
자(字) | 국경(國卿) |
호(號) | 모재(慕齋) |
시호(諡號) | 문경(文敬) |
생년 | 1478(성종 9) |
졸년 | 1543(중종 38) |
시대 | 조선전기 |
본관 | 의성(義城)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김연(金連) |
저서 | 『모재집』 |
저서 | 『모재가훈(慕齋家訓)』 |
저서 | 『동몽선습(童蒙先習)』 |
[관련정보]
[상세내용]
김안국(金安國)
1478년(성종 9)∼1543년(중종 38). 조선시대 문신‧학자. 자는 국경(國卿), 호는 모재(慕齋). 본관은 의성(義城).
참봉 김연(金連)의 아들이며, 김정국(金正國)의 형이다. 조광조(趙光祖)‧기준(奇遵) 등과 함께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도학에 통달하여 지치주의(至治主義) 사림파의 선도자가 되었다.
1501년(연산군 7) 생진과에 합격, 1503년에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승문원(承文院)에 등용되었으며, 이어 박사‧부수찬‧부교리 등을 역임하였다.
1507년(중종 2)에는 문과중시에 병과로 급제, 지평‧장령‧예조참의‧대사간‧공조판서 등을 지냈다.
1517년 경상도관찰사로 파견되어 각 향교에 『소학』을 권하고, 『농서언해(農書諺解)』‧『잠서언해(蠶書諺解)』‧『이륜행실도언해(二倫行實圖諺解)』‧『여씨향약언해(呂氏鄕約諺解)』‧『정속언해(正俗諺解)』 등의 언해서와 『벽온방(薜瘟方)』‧『창진방(瘡疹方)』 등을 간행하여 널리 보급하였으며 향약을 시행하도록 하여 교화사업에 힘썼다.
1519년 다시 서울로 올라와 참찬이 되었으나 같은해에 기묘사화가 일어나서 조광조 일파의 소장파 명신들이 죽음을 당할 때, 겨우 화를 면하고 파직되어 경기도 이천에 내려가서 후진들을 가르치며 한가히 지냈다.
1532년에 다시 등용되어 예조판서‧대사헌‧병조판서‧좌참찬‧대제학‧찬성‧판중추부사‧세자이사(世子貳師) 등을 역임하였으며, 1541년 병조판서 때에 천문‧역법‧병법 등에 관한 서적의 구입을 상소하고, 물이끼〔水苔〕와 닥〔楮〕을 화합시켜 태지(苔紙)를 만들어 왕에게 바치고 이를 권장하였다.
사대부출신 관료로서 성리학적 이념에 의한 통치의 강화에 힘썼으며, 중국문화를 수용, 이해하기 위한 노력에 평생 동안 심혈을 기울였다.
시문으로도 명성이 있었으며 대제학으로 죽은 뒤 인종의 묘정(廟庭)에 배향되었으며, 여주의 기천서원(沂川書院)과 이천의 설봉서원(雪峰書院) 및 의성의 빙계서원(氷溪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저서로는 『모재집』‧『모재가훈(慕齋家訓)』‧『동몽선습(童蒙先習)』 등이 있고, 편서(編書)로는 『이륜행실도언해』‧『성리대전언해(性理大典諺解)』‧『농서언해』‧『잠서언해』‧『여씨향약언해』‧『정속언해』‧『벽온방』‧『창진방』 등이 있다.
1501년(연산군 7) 생진과에 합격, 1503년에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승문원(承文院)에 등용되었으며, 이어 박사‧부수찬‧부교리 등을 역임하였다.
1507년(중종 2)에는 문과중시에 병과로 급제, 지평‧장령‧예조참의‧대사간‧공조판서 등을 지냈다.
1517년 경상도관찰사로 파견되어 각 향교에 『소학』을 권하고, 『농서언해(農書諺解)』‧『잠서언해(蠶書諺解)』‧『이륜행실도언해(二倫行實圖諺解)』‧『여씨향약언해(呂氏鄕約諺解)』‧『정속언해(正俗諺解)』 등의 언해서와 『벽온방(薜瘟方)』‧『창진방(瘡疹方)』 등을 간행하여 널리 보급하였으며 향약을 시행하도록 하여 교화사업에 힘썼다.
1519년 다시 서울로 올라와 참찬이 되었으나 같은해에 기묘사화가 일어나서 조광조 일파의 소장파 명신들이 죽음을 당할 때, 겨우 화를 면하고 파직되어 경기도 이천에 내려가서 후진들을 가르치며 한가히 지냈다.
1532년에 다시 등용되어 예조판서‧대사헌‧병조판서‧좌참찬‧대제학‧찬성‧판중추부사‧세자이사(世子貳師) 등을 역임하였으며, 1541년 병조판서 때에 천문‧역법‧병법 등에 관한 서적의 구입을 상소하고, 물이끼〔水苔〕와 닥〔楮〕을 화합시켜 태지(苔紙)를 만들어 왕에게 바치고 이를 권장하였다.
사대부출신 관료로서 성리학적 이념에 의한 통치의 강화에 힘썼으며, 중국문화를 수용, 이해하기 위한 노력에 평생 동안 심혈을 기울였다.
시문으로도 명성이 있었으며 대제학으로 죽은 뒤 인종의 묘정(廟庭)에 배향되었으며, 여주의 기천서원(沂川書院)과 이천의 설봉서원(雪峰書院) 및 의성의 빙계서원(氷溪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저서로는 『모재집』‧『모재가훈(慕齋家訓)』‧『동몽선습(童蒙先習)』 등이 있고, 편서(編書)로는 『이륜행실도언해』‧『성리대전언해(性理大典諺解)』‧『농서언해』‧『잠서언해』‧『여씨향약언해』‧『정속언해』‧『벽온방』‧『창진방』 등이 있다.
[참고문헌]
燕山君日記
中宗實錄
慕齋集
中宗實錄
慕齋集
[집필자]
정순목(丁淳睦)
대표명 | 김안국(金安國) |
명 | 안국(安國) |
성명 | 김안국(金安國), 김안국(金安国) |
시호 | 김문경(金文敬), 문경(文敬) |
자 | 국경(國卿) |
호 | 김모재(金慕齋), 김모재안국(金慕齋安國), 모재(慕齋), 모재김안국(慕齋金安國), 사일(思逸) |
명 : "안국(安國)"에 대한 용례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