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권오복(權五福)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D8CC624BCF5B1467X0
자(字)향지(鄕之)
호(號)수헌(睡軒)
시호(諡號)충경(忠敬)
생년1467(세조 13)
졸년1498(연산군 4)
시대조선전기
본관예천(醴泉)
활동분야문신 > 문신
권선(權善)
출신지예천

[상세내용]

권오복(權五福)
1467년(세조 13)∼1498년(연산군 4).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예천(醴泉). 자는 향지(鄕之), 호는 수헌(睡軒). 예천 출신. 부친은 권선(權善)이다.

일찍부터 경서‧사서에 접하였으며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생으로 당시의 청류(淸流)와 교분이 넓었고, 특히 김일손(金馹孫)과 막역한 사이였다.

1486년(성종 17)에 사마시에 합격하고, 같은해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예문관에 뽑혀 들어갔다.

그뒤 봉교수찬교리 등을 역임하고, 1496년(연산군 2) 노부모 봉양을 구실로 귀향하였다. 무오사화가 일어나자 향리에서 잡혀올라와 같은 문하의 김일손권경유(權景裕) 등과 함께 처형되었다.

뛰어난 학문과 문장을 인정받아 성종 때의 문화사업에 많이 참가하였다.

1489년 당시 요동에 와 있던 중국의 문신 소규(邵奎)에게 『소학』의 의문점을 물어 번역하라는 명령을 받고 의주까지 갔으나 계획이 취소되어 돌아왔다.

1493년 이창신(李昌臣) 등과 함께 법률조문에 밝은 신하로 뽑혀 사율원(司律院)에서 율문(律文)조정과 율관(律官) 교육을 담당하였고, 다음해에는 역시 이창신 등과 함께 소의 병을 치료하기 위한 책인 『안기집(安驥集)』『수우경(水牛經)』을 번역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1491년 어전에서 「치국여팽소선론(治國如烹小鮮論)」을 지어 3등상을 받았다.

1494년 거제현에 왜구가 침입하고 만호 이극검(李克儉)이 도망한 사건이 일어나자 경차관(敬差官)으로 파견되어 그 전말을 심문하여 보고했다.

필법이 굳세고, 문장이 맑고 강했다고 하며 시문을 많이 남겼다.

화를 입은 뒤 시문을 비롯한 유고들이 많이 불태워지거나 흩어졌는데, 형 권오기(權五紀)가 남은 것을 한 질의 책으로 엮어 보관했다. 종손 권문해(權文海)가 1584년(선조 17) 대구부사로 있으면서 그것을 바탕으로 『수헌선생집』을 간행했다.

도승지에 추증되고, 예천봉산서원(鳳山書院)에 제향되었다.

[참고문헌]

成宗實錄
東儒師友錄
國朝榜目

[집필자]

이태진(李泰鎭)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