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노공필(盧公弼)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B178ACF5D544B1445X0
자(字)희량(希亮)
호(號)국일재(菊逸齋)
생년1445(세종 27)
졸년1516(중종 11)
시대조선전기
본관파주(坡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노사신(盧思愼)
출신지경기도 교하현(交河縣: 지금의 파주)
공신호원종공신(原從功臣)

[상세내용]

노공필(盧公弼)
1445년(세종 27)∼1516년(중종 11).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파주(坡州). 자는 희량(希亮), 호는 국일재(菊逸齋). 영의정 노사신(盧思愼)의 큰아들이다. 경기도 교하현(交河縣: 지금의 파주) 출신이다.

1462년(세조 8)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여 의영고직장(義盈庫直長)사직서령(社稷署令)을 지낸 뒤 1466년 춘시문과에 2등으로 급제, 성균관직강이 되고 홍문관전한(弘文館典翰)부제학을 거쳐 병조이조예조참의도승지를 역임하였으며, 1483년 대사헌이 되었다.

그뒤 1489년에 공조판서가 된 데 이어 6조의 판서를 두루 역임하였으며, 외직으로는 경기도관찰사를 지냈다.

1498년(연산군 4) 의정부우참찬, 1503년 우찬성에 올랐으나, 이듬해 일어난 갑자사화에 연좌되어 무장(茂長)으로 장배(杖配)되었다.

그뒤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귀양에서 풀려나와 다시 우찬성이 되었다가 1507년(중종 2)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로 승진하였다.

이때 명나라에 가서 중종 즉위의 경위를 설명하고 명나라 왕으로부터 권서국사(權署國事)의 칙지를 받아 귀국하였다. 그 공로로 원종공신(原從功臣) 1등에 녹훈되고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에 올랐다.

충성심과 효심이 지극하고 일가친척의 관혼상제를 두루 살폈으나, 자신은 검소한 생활에 만족하였다.

[참고문헌]

燕山君日記
中宗實錄
國朝人物考
海東名臣錄
燃藜室記述

[집필자]

홍순창(洪淳昶)

명 : "공필(公弼)"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06之公庶名正言順而群情允惬又遣盧公弼崔叔生將王親文武官共一千三百餘員會本之奏以聞禮部又題準姑令權署國事公弼卽具題以進其略曰竊惟權署國事者蓋因國內無主未受命於天子者時從權假爲之事安有權道久處王位上膺藩屛之重寄
紀年便攷v10并倡議再復上之壬申檢討官蘇世讓首發復陵之議副學李自華劄陳立當復之義○盧公弼柳順汀金應箕䓁之堅執滅義况公弼之拘私毀公順汀之舁病不起殆非尋常
紀年便攷v10宗朝南孝温上䟽請復都承旨任士洪防啓其後大臣柳順汀金應箕盧公弼皆以為不可公弼思慎子也思慎預於遷陵之謀故公弼終始力以為不可順汀首難之掉頭言此事終不可為其年執如此自朝堂而出遂不起朴說
紀年便攷v10成宗朝南孝温上䟽請復都承旨任士洪防啓其後大臣柳順汀金應箕盧公弼皆以為不可公弼思慎子也思慎預於遷陵之謀故公弼終始力以為不可順汀首難之掉頭言此事終不可為其年執如此自朝堂而出遂不起朴
寒臯觀外史v3之公庶名正言順而羣情允愜又遣盧公弼崔淑生將王親文武官共一千三百餘員會本之奏以聞禮部又題准姑令權署國事公弼卽其題以進其畧曰竊惟權署國事者葢因國內無主未受命於天子之時従權假為之事也安有權道久䖏王位上膺藩屏之重
寒臯觀外史v3應箕字伯春號屏庵善山人官左相謚文戴公弼字希亮號菊逸齋交河人官領敦
寒臯觀外史v10山君名成宗第十三男淑容沈氏出謚忠僖甄城君名享成宗第七男淑儀洪氏出公弼字希亮號菊逸交何人官賛成彥弼字子美號默齋南陽人官領相謚文僖
大事編年v4又遣盧公弼崔淑生將王親文武官共一千三百餘員會本之奏以聞禮部又題準姑令權署國事公弼卽具題以進其略曰竊惟權署國事者蓋因國內無主未受命於天子之時從權假爲之事也安有權道久處王位上膺藩辱之重
國朝人物志v2字希亮號菊逸齋交河人思愼子壬午進士世祖丙戌文科歷揚淸顯燕山時短喪法嚴公弼遭艱守制盡禮甲子禍作杖流茂長丙寅靖國召還拜領中樞府事入耆社賜几杖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