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충렬왕(忠烈王)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DA9B82CC655B1236X0
이명(異名)왕거(王昛)
이명(異名)왕심(王諶)
이명(異名)왕춘(王賰)
시호(諡號)충렬(忠烈)
생년1236(고종 23)
졸년1308(충렬왕 34)
시대고려후기
본관개성(開城)
활동분야왕실 > 왕
순경태후(順敬太后)
무비(無比)
외조부김약선(金若先)

[상세내용]

충렬왕(忠烈王)
1236년(고종 23)∼1308년(충렬왕 34). 고려 제25대왕. 재위 1274∼1308년. 본관은 개성(開城). 이름은 왕거(王昛), 초명은 왕심(王諶)왕춘(王賰).
1. 가계
원종의 맏아들이며, 모친은 추밀부사(樞密副使) 김약선(金若先)의 딸 순경태후(順敬太后) 김씨이다. 비는 원세조(元世祖)의 딸 장목왕후(莊穆王后, 齊國大長公主, 몽고명 忽都魯揭里迷失公主), 구비(舊妃)는 시안공(始安公) 인(絪)의 딸 정화궁주(貞和宮主)숙창원비(淑昌院妃) 김씨이다.

1260년(원종 1) 태자에 책봉되고, 1271년 원나라에 가서 세조에게 혼인 허락을 받고, 이듬해 귀국시에 몽고풍속인 변발(辯髮)과 호복(胡服)을 하여 고려인들은 탄식, 우는 자까지 있었다고 한다.
2. 몽고풍의 유행
1274년 5월제국대장공주와 혼인하였고, 원종이 죽자 원나라에서 돌아와 왕위에 올랐다.

대륙국가와의 왕실혼인은 이번이 처음으로 이로써 고려는 역사의 한 전환기를 맞게 되어, 양국의 우호관계를 공고히 할 수 있었고 역대 권신들의 발호에 억눌려오던 왕실의 지위도 회복, 강화할 수 있었으나 자주성을 잃은 종속국으로 전락하여 이후 원나라의 많은 간섭을 받게 되었다. 결혼한 제국대장공주고려에 와서 몽고양식의 생활을 하고 사사로이 부리는 사람도 원나라에서 데려옴으로써 고려왕실에는 몽고의 풍속‧언어 등이 퍼지게 되었다.
3. 원나라의 간섭과 왜구의 침입
즉위년 10월 일본정벌이 원세조의 강요로 실행되어 1차로 여원연합군이 합포(合浦)에서 출정, 대마도(對馬島)김방경(金方慶)이 이끄는 고려군의 힘으로 무찔렀으나 뜻하지 않은 폭풍을 만나 본토정벌은 실패하였다.

1281년에 감행된 2차정벌도 폭풍을 만나 실패로 끝났다. 원나라는 이후에도 두번 더 정동행성을 설치하고 정벌준비를 강요하여 피해가 극심하였다.

1293년 왕은 공주와 함께 동정(東征)의 불가함을 직접 호소하고자 원나라로 갔는데 이듬해 원세조의 죽음으로 동정은 그쳤다.

1290년 원나라를 괴롭히던 내안(乃顔)의 여당인 합단(合丹)두만강을 건너 쳐들어와 왕은 원나라에 원군파병과 천도할 것을 요청하고 강화로 피란하였다.

이 싸움은 1년반 만에 원병의 협력으로 끝났는데 합단교주도(交州道)로 들어와 양근(楊根)원주를 함락하고 충주를 거쳐 연기에까지 침입하였으며, 이때 원충갑(元沖甲)한희유(韓希愈) 등의 활약이 컸다. 이밖에도 야인(野人)과 왜구의 잦은 침입이 있었으나 김방경의 활약으로 물리쳐 국운을 보존하였다.

원나라의 압력 밑에서도 국토 보존에 힘을 기울여 최탄(崔坦)이 몽고에 반부함으로써 생긴 동녕로(東寧路)원세조에게 직접 환부요청을 하여 1290년 돌려받아 여기에 서경유수관(西京留守官)을 설치하였고, 삼별초(三別抄)의 최후근거지로 몽고에 함락되어 다루가치총관부(達魯花赤總管府)가 설치되었던 탐라를 1294년에 원나라 성종(成宗)에게서 돌려받아 제주라 고치고 목사를 두었다.
4. 원나라의 내정간섭
원나라의 간섭은 직접 행정에도 미쳐 관제(官制)가 참월(僭越)하다고 고치기를 강요하여 1275년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상서성(尙書省)을 합쳐 첨의부(僉議府)로, 추밀원(樞密院)밀직사(密直司)로, 어사대(御史臺)감찰사(監察司)로 고치고 육부(六部)도 폐합, 변경하여 전리사(典理司)군부사(軍簿司)판도사(版圖司)전법사(典法司)로 하였다.

그리고 조(祖)‧종(宗) 대신에 왕(王)을 칭하고 충성을 뜻하는 ‘忠’자를 붙이게 되었으며, 선지(宣旨)도 왕지(王旨)로, 짐(朕)은 고(孤)로, 사(赦)는 유(宥)로, 폐하(陛下)는 전하(殿下)로, 태자(太子)는 세자(世子)로 하였다.

또한, 일본정벌을 위하여 일시적으로 설치하였던 정동행성을 그대로 두어 내정을 간섭하는 일까지 있었다. 이밖에 몽고직제의 영향으로 생겨난 관직도 있으니 몽고식 기병이 야간순찰을 돌게 하는 순마소(巡馬所), 매 잡는 것을 임무로 하는 응방(鷹坊), 귀족의 자제로 일찍이 왕을 좇아 원나라에 질자(質子, 禿魯花)가 되었다가 순번제로 숙위(宿衛)의 임무를 맡은 홀지(忽赤, 忽只), 몽고어를 습득하게 하는 통문관(通文官) 등이 있고, 관직은 아니지만 공주를 따라온 겁령구(怯怜口: 私屬人) 등이 있었다.

이곳 소속 관원들은 사전(賜田)의 특권을 누리고, 원나라의 세력을 믿고 당대 세력가들로 부상하여 부역에 시달려 도망하는 양민을 모아 농장(農莊)을 경영하고 조세를 가로채고 주현(州縣)의 부세(賦稅)를 좀먹어 양민을 괴롭혔다.

또 특수임무를 띤 별감(別監)이 자주 주현에 파견됨으로써 지방민의 피해가 극심하였다.

특히, 왕 자신이 세자나 공주가 말릴 정도로 사냥을 좋아하여 국고를 고갈시켰고 이로써 매를 관리하는 응방의 적폐는 특히 심하였다.
5. 몰락과정
1298년 왕의 총애를 믿고 세력을 부리던 궁인 무비(無比)가 그 당류와 함께 세자(뒤의 충선왕)에게 주살되자 정치에 염증을 느껴 세자에게 왕위를 넘기고 태상왕(太上王)이 되었고, 원나라에서 부마 상주국 일수왕(駙馬上柱國逸壽王)의 호를 받았다.

이해 8월 충선왕이 왕비 계국대장공주(薊國大長公主)의 무고로 국인(國印)을 빼앗기고 원나라로 가자 다시 왕위에 올랐다.

그러나 이후부터는 정사는 돌보지 않고 사냥과 음주가무에만 몰두하였고, 부자간의 이간을 일삼는 왕유소(王惟紹)송린(宋璘)의 무리에 귀기울여 왕위를 서흥후(瑞興侯) 전(琠)에게 계승시키고 계국대장공주를 개가시키려는 음모에 동조하여 1305년 이를 성사시키려고 원나라로 직접 가기까지 하였다.

그러나 충선왕원나라 무종(武宗)의 옹립에 공이 커 원조정에서 위치가 강대해짐으로써 왕유소 일당은 처형되었고 왕도 귀국하게 되었다. 이후 실권은 세자에게 빼앗기고 1308년에 죽으니 충선왕이 왕위에 오르게 되었다. 시호는 충렬(忠烈)이며, 능은 경릉(慶陵: 開城 소재)이다.

[참고문헌]

高麗史
高麗史節要
東國李相國集
元史

[집필자]

이기남(李起男)

왕명 : "충렬(忠烈)"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4崔誠之全州人甫淳後賛成毗一子字純夫號松坡忠烈甲申文科自忠宣在春宫已爲僚屬久從于元及定內亂誠之居左右多所賛襄王甚寵信任之從忠宣在元與漢㓛頗用事及忠
紀年便攷v4新寡稍解詩一日從窓隙以詩投之曰馬上誰家白面生邇來三月不知名如今始識金台鉉細眼長眉暗入情台鉉自此絶不徃忠烈時登科歷事三朝進退以義處煩劇裁决精敏人服其明言歷代典故如昨日事甞奉使上國時帝幸甘肅勅天下進貢使皆達京
紀年便攷v4崔有渰海州人平章事滋子少恬退不求名譽故久從仕宦十年不遷數以忠直得罪時論惜之忠烈聞其名久卽位除監察雜端上䟽直言時事忤㫖流于大青島承㫖趙仁䂓言有渰勵節奉上不可輕棄固請再三尋召還自是歷
紀年便攷v4閔頔宗儒子字樂全元宗己巳生忠烈乙酉登科性敏悟風儀秀雅晩年以詩酒自娛好賢愛士待孤寒晩進尤致情禮官至知密直司事封驪興君忠肅乙亥卒年六十
紀年便攷v4吳詗海州人字月叟號快菴初名漢卿登元朝制科學問精博寛簡有長者風悃愊無華知大軆然在朝無著績忠烈初置藝林四學詗與焉官至僉議賛成事致仕忠肅甲寅卒謚文
紀年便攷v4金文衍以淑妃之兄見寵於忠烈及上王貴顯無比然性額達無迂曲每見淑妃左右汰侈抑止之官至評理封彥陽君忠肅甲寅卒謚榮信
紀年便攷v4朴義以鷹犬進遂致卿相忠烈王與公主獵于南京義與尹秀導王遊由無所不至時世子謜忠宣年九歲忽泣下曰今玆百姓窮困父王何爲遠獵顧謂義曰每
紀年便攷v4柳清臣高興府部曲吏也起自微賤不學無識有膽畧有機變習蒙語屢使于元善應對由是爲忠烈忠宣所寵幸遂得大用怙勢㺯權與吳祁傾附瀋王詭謀萬端及王復位二人俱不敢還清臣留燕九年忠肅乙巳卒官至政丞封
紀年便攷v4寫翌年付送使臣以本傳相準無一字錯誤帝曰吾易東矣初忠宣爲世子時殺忠烈倖姫無比仍進金文衍之妹慰解忠烈之心忠烈幸之封淑昌院妃忠烈薨忠宣烝之進封淑妃百態妖媚王甚惑之倬以監察紏正白衣持斧荷藁詣闕上䟽敢言近臣展䟽不敢
紀年便攷v4傳相準無一字錯誤帝曰吾易東矣初忠宣爲世子時殺忠烈倖姫無比仍進金文衍之妹慰解忠烈之心忠烈幸之封淑昌院妃忠烈薨忠宣烝之進封淑妃百態妖媚王甚惑之倬以監察紏正白衣持斧荷藁詣闕上䟽敢言近臣展䟽不敢讀倬厲聲曰卿爲近侍
紀年便攷v4倬返國傳寫翌年付送使臣以本傳相準無一字錯誤帝曰吾易東矣初忠宣爲世子時殺忠烈倖姫無比仍進金文衍之妹慰解忠烈之心忠烈幸之封淑昌院妃忠烈薨忠宣烝之進封淑妃百態妖媚王甚惑之倬以監察紏正白衣持斧荷藁詣闕上䟽敢言近臣
紀年便攷v4禹倬丹陽人進士天珪子壬戌生字天章一卓夫號白雲又丹巖時人稱易東安裕門人忠烈戊寅進士庚寅登科初調寧海司錄郡有妖神祠名八鈴民惑靈恠奉祀甚瀆倬至即碎而沈于海滛祀遂絶通經史尤深於易學
紀年便攷v4寅登科初調寧海司錄郡有妖神祠名八鈴民惑靈恠奉祀甚瀆倬至即碎而沈于海滛祀遂絶通經史尤深於易學卜筮無不中忠烈丁未入使中國奏曰臣國無易傳願見之帝賜全帙倬一宵盡覽翌朝還納帝命背講遍誦無碍帝驚讃除禮部尙書倬返國傳寫
紀年便攷v4命背講遍誦無碍帝驚讃除禮部尙書倬返國傳寫翌年付送使臣以本傳相準無一字錯誤帝曰吾易東矣初忠宣爲世子時殺忠烈倖姫無比仍進金文衍之妹慰解忠烈之心忠烈幸之封淑昌院妃忠烈薨忠宣烝之進封淑妃百態妖媚王甚惑之倬以監察紏
紀年便攷v4七登科爲人短小精悍力學能文少懷志節堅確敢言以嚴見憚每入見王聞履聲曰兆年來矣屏左右整容以竢所歷多聲績從忠烈如元會値王宋之交搆從臣皆避匿惟兆年侍王左右進退惟謹忠宣即位竄歸郷里十三年未甞一出言自訟其罪及上王之留
紀年便攷v4金永旽恂子乙酉生號輝谷又筠軒忠烈乙巳登科與弟永煦俱有名當世忠穆丁亥使元囬来也奉元主密旨以王煦為政丞置整治都監與煦及安軸金光轍鄭珚䓁為
紀年便攷v4李糓韓山人本韓山吏也監務自成子忠烈戊戌生字仲父號稼亭初名芸伯權漙門人早喪父事母孝乙卯中舉子科庚申擢秀才科第二癸酉中元朝制科所對䇿大為讀
紀年便攷v4韓宗愈漢陽人副使英子忠烈丁亥生字師古號復齋自㓜放浪不羈瞻視異常軀幹魁偉望之儼然知其為公輔器性重厚善談笑樽爼間和氣油然可愛䖏事
紀年便攷v4尹澤茂松人守平子忠烈己丑生字仲德號栗亭庚申文壯謁忠肅於燕邸王器重之以江陵君第愍密托於泽泽感激自任當世之事多所建白忠穆之薨
紀年便攷v4李挺公升後初名春吉忠烈己亥生年二十九以門䕃入仕明年及第清倫自律循蹈禮則不随俗俯仰世服其正直退居不求宦達官至刑部尙書集賢殿學
東國歷代總目v01復位忠烈
東國歷代總目v02上愍王氏不祀命有司以太祖惠宗成宗顯宗文宗元宗忠烈恭愍八君立廟祀之至世宗朝有司言宗廟只祭五室而前朝之廟乃祭八位未合於禮遂以太祖顯宗文宗元宗有功德於民只
國朝事略v1高麗忠烈 王朝
東史例v1錄呈考功謂之年終都歷○文宗二年制各司巳赴衙酉初罷已有成規然四時晷刻短長不同自今日永辰初日短巳初赴衙○忠烈六年令監察司檢諸司勤怠謂之衙時每以冬夏孟月行之○恭愍五年敎監察典法都官長官每朔課員吏決訟多少至六朔以
東史例v1九年新定州府奉行六條一察民庶疾苦二察黑綬長吏能否三察盜賊姦猾四察民犯禁五察民孝弟廉潔六察吏錢穀散失○忠烈元年承宣李袊成言武人可臨民者少如有才兼文武寬猛相濟者宜勿論東西班授之王納之庚癸以後權臣柄國倡爲文武交
東史例v1按廉如有違法者輒繩以理恭愍十一年密直提學白文寶上箚請放中國行水車之利○貨幣見隨錄鹽法國初之制史無可考忠烈十四年三月始遣使諸道榷鹽○忠宣元年二月傳旨曰古者榷鹽之法所以備國用也本國諸宮院寺社及權勢之家私置鹽盆
寒臯觀外史v22忠宣名璋初名謜忠烈王長子也○齊賢字仲思號益齋慶州人東菴瑱之子攝政丞権断征東省事謚文忠倬丹陽人號易東安文成裕門人官祭酒致
歷代帝王紀年v01入朝元世祖尙元公主程朱輯註始行學者得知性理之學蓋上黨君白頤正入元得而學李濟賢朴忠佑首師受○忠宣王名源忠烈子大德二年受禪明年元成命忠烈復泣○忠肅王名燾忠宣子十七年禪位○忠惠王名忠肅子二年忠肅復位○忠穆王名昕
歷代帝王紀年v01致仕判三司公溫厚儉約雖爲卿相居家衣服如布衣極好讀書老而不撤封陽城府院君高麗忠烈時程朱輯註始來公與益齋首講明之
彛齋先生實紀v2忠烈朝登第判衛尉寺事權㫜掌試取士多知名士權漢功金元祥崔誠之蔡洪哲白頤正後皆爲名相出高麗名臣權㫜傳㫜菊齋父
彛齋先生實紀v2白文節字彬然藍浦郡人新羅諫官仲鶴之後高宗朝登第入翰苑累官至中書舍人歷吏部侍郞國子祭酒忠烈朝拜司議大夫時無功有世累者多補官郞舍不署告身王屢趣之不從有人衘之托左右以激王怒會承旨李尊庇將啓監察司
彛齋先生實紀v2忠烈朝監察侍史沈諹與雜端陳倜侍史文應殿中侍事李承休等以直諫忤旨王大怒命將軍林庇池允輔等鞠諹于崇文館遂囚于
彛齋先生實紀v2星州李氏參奉諱世柱女生公于宋理宗淳祐七年九月二十八日寔麗之高宗三十四年歲丁未也天資純厚有公輔器登第事忠烈忠宣忠肅三朝累官至僉議評理商議會議都監事三重大匡上黨君卒諡文憲享年七十七葬于羊角山西麓東幕洞坐甲之原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