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관(金瓘)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AE40AD00FFFFB1424X0
이명(異名)김종동(金終同)
자(字)영중(瑩中)
호(號)묵재(黙齋)
시호(諡號)공양(恭襄)
생년1425(세종 7)
졸년1485(성종 16)
시대조선전기
본관언양(彦陽)
활동분야문신 > 문신
김숙보(金叔甫)
서씨(徐氏)
공신호정충출기적개공신(精忠出氣敵愾功臣)

[상세내용]

김관(金瓘)
1425년(세종 7)∼1485년(성종 16).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초명은 김종동(金終同), 자는 영중(瑩中), 호는 묵재(黙齋).

부친은 선천군사(宣川郡事) 김숙보(金叔甫)이다.

1447년(세종 29) 사마시에 합격하고, 1451년(문종 1) 증광문과에 정과로 급제, 승문원정자에 임명되었으나, 처가 장사치의 무늬있는 비단을 절취한 사건에 연루되어 황해도 경천참(敬天站)으로 귀양가서 그곳 역리(驛吏)가 되었다.

1456년(세조 2) 어머니 서씨(徐氏)의 간청으로 귀양에서 풀려나게 되었다.

1461년 도관좌랑(都官左郞)으로 대마도경차관 김치원(金致元)종사관이 되어 대마도에 다녀왔으며, 전라도경차관을 거쳐 1465년에는 예조정랑에 이르렀다.

1467년 이시애(李施愛)의 난이 일어나자 구성군(龜城君) 이준(李浚)종사관으로 활약한 공으로 정충출기적개공신(精忠出氣敵愾功臣) 2등에 녹훈되고 종부시정(宗簿寺正)에 임명되었다.

이듬해 강원도관찰사로 있을 때, 낙산사의 조성비용을 민간에서 지나치게 거둬들였다는 혐의를 받아 부호군으로 좌천되었으나, 뒤에 낙산사의 조성공사가 무사히 끝나자 도리어 논상(論賞)되었다.

1469년(예종 1) 충청도관찰사를 거쳐 황해도관찰사로 전임되었으나 도적을 잡지 못하였다고 하여 체직되었다.

1475년(성종 6) 영안도관찰사를 역임하고, 1479년 동지중추부사천추사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이듬해 언양군(彦陽君)에 봉해졌다.

1481년 전주부윤을 지내고, 1483년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다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1484년 전라도관찰사에 이르렀다.

그림에도 재능이 있었는데 특히 산수화를 잘 그렸다. 시호는 공양(恭襄)이다.

[참고문헌]

世宗實錄
文宗實錄
世祖實錄
成宗實錄
國朝榜目

[집필자]

차문섭(車文燮)
대표명김관(金瓘)
봉호언양군(彥陽君)
성명김관(金瓘)
이명종동(終同)
영중(瑩仲)
묵재(默齋)

성명 : "김관(金瓘)"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8金瓘
紀年便攷v8金瓘彥陽人叔甫子字瑩仲號默齋初名終同文宗辛未以生貟登增廣世祖丁亥李施愛亂為龜城君従事䇿敵愾㓛二等封彥陽君
國朝捷錄v01李雲露鍾城君莊敬李亨孫嘉平君平胡公裵孟達崑山君武兵使李恕長全城君襄簡公都憲文科李從生咸城君莊襄公左尹金瓘彦陽君監司恭讓公金順命淸城君吉通子參判朴埴鉄城君北兵使具謙綾山君致明子莊襄公吳自治羅城君兵使武判金伯
郯述v03金 瓘
十九功臣會盟錄昌繼嫡長子禦侮將 軍行忠佐衛副司勇臣金得生敵愾功臣金瓘嫡長孫禦侮將軍行忠 佐衛副司勇臣金琢靖國功臣禹鼎嫡
昆山君裵胡公事實惟禮李雲露李德良裵 孟達李亨孫李從生李恕長金順 命金瓘具謙朴埴金伯謙吳自 治鄭崇魯張末孫孫昭魚世恭 尹末
昆山君裵胡公事實惟禮李雲露李德良裵 孟達李亨孫李從生李恕長金順 命金瓘具謙朴埴金伯謙吳自 治鄭崇魯張末孫孫昭魚世恭 尹末
昆山君裵胡公事實 惟禮李雲露李德良裵孟達李亨孫李從生 李恕長金順命金瓘具謙朴埴金伯謙吳自 治鄭崇魯張末孫孫昭魚世恭尹末孫
昆山君裵胡公事實 惟禮李雲露李德良裵孟達李亨孫李從生 李恕長金順命金瓘具謙朴埴金伯謙吳自 治鄭崇魯張末孫孫昭魚世恭尹末孫
東國續修文獻錄v1憲莊敬公裵孟達昆山君襄胡公李亨孫嘉平君平胡公李從生咸城君莊襄公李恕長全城君大憲襄簡公金順命淸陵君參判金瓘彥陽君監司具謙綾山君吳自治羅城君兵判金伯謙光原君武工議襄胡公朴埴鐵城君北兵孫昭鷄川君安襄公張末孫延福
二十一功臣會盟錄n1책經 敵愾功臣李恕長嫡長孫通德郞臣李徵 起 敵愾功臣金瓘嫡長孫通德郞臣金克黃 翊戴功臣趙益貞嫡長孫通德郞趙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