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홍낙명(洪樂命)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D64DB099BA85B1722X0
자(字)자순(子順)
호(號)신재(新齋)
시호(諡號)문청(文淸)
생년1722(경종 2)
졸년1784(정조 8)
시대조선후기
본관풍산(豊山)
활동분야문신 > 문신
홍상한(洪象漢)
외조부어유봉(魚有鳳)
저서『신재문집』
저서『소학초록(小學抄錄)』
저서『경술편(敬述篇)』
저서『기락편(旣樂編)』
저서『유은록(儒隱錄)』

[상세내용]

홍낙명(洪樂命)
1722년(경종 2)∼1784년(정조 8).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자순(子順), 호는 신재(新齋).

부친은 예조판서 홍상한(洪象漢)이며, 모친은 어유봉(魚有鳳)의 딸이다. 외할아버지 어유봉으로부터 수학하였다.

1741년(영조 17) 사마시에 합격하고, 1754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57년 정언사서를 역임하고, 1762년 강동현령, 이듬해 부응교필선응교교리를 지냈다.

1764년 부제학, 이듬해 참판참의, 1766년에 대사성이 되었다.

1768년 승지, 이듬해 이조참의, 1773년에 대사헌을 지냈다. 1776년(정조 즉위)에 강화유수를 거쳐 홍문관부제학이 되고, 1778년(정조 2) 형조판서를 거쳐, 이듬해 병조판서를 지냈다. 정조 초 세도가인 홍국영(洪國榮)이 친척이라 하여 높은 벼슬에 매번 천거하였으나 병을 핑계로 정계에서 물러났다가 1780년 홍국영이 실각하자 다시 등용되어 한성부판윤의정부우참찬이 되었고, 그뒤에 이조판서에 제수되었으나 사직하고 취임하지 않았다.

경사(經史)에 밝고 특히 『소학』을 애독하였으며, 만년에 이황(李滉)중국한유(韓愈)를 사숙하여 경서와 문장에 침음하였다.

저서로는 『신재문집』 6권과 『소학초록(小學抄錄)』『경술편(敬述篇)』『기락편(旣樂編)』『유은록(儒隱錄)』 등이 있다. 시호는 문청(文淸)이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正祖實錄
國朝榜目
淵泉集
韓國系行譜

[집필자]

김양수(金良洙)
대표명홍낙명(洪樂命)
낙명(樂命)
성명홍낙명(洪樂命), 홍악명(洪樂命)

성명 : "홍악명(洪樂命)"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政堂故事v4飭於父噴薄於景海此豈人子之道乎其所相鬨非志源之無狀卽景海之搆陷而渠供中知其爲人恬靜介潔云者其何襯着乎洪樂命施以刊名仕板之律是歲十一月朴道源爲大司諫上書自辦曰館錄時主張者副學與東壁也景海則不過隨參之一下僚而默
政堂故事v4洪樂命
政堂故事v4志源何以得聞此亦非志源做作亦若今番筵說必爲飮恨於九原撰進祭文遣官致祭景海罷職洪鑰所奏亦不純然刊名仕板洪樂命其父象漢入侍禁府而出笞之二十以謝上敎七月洪樂命爲校理辭書末曰臣之往唁洪景海也被其提問祭文事以臣所聞出
政堂故事v4僞難掩設如渠言而有志事未卒之句語所語未卒者亦何必爲飮恨於瀛錄耶況於祭文中幷與志事未卒等語而本無者乎且洪樂命則忠厚謹愼且與臣子情誼親篤豈忍以誣衊之言傳之於渠耶此則必無之理則景海之做出祭文之說灼然可知臣在忠州時
政堂故事v4於九原撰進祭文遣官致祭景海罷職洪鑰所奏亦不純然刊名仕板洪樂命其父象漢入侍禁府而出笞之二十以謝上敎七月洪樂命爲校理辭書末曰臣之往唁洪景海也被其提問祭文事以臣所聞出處語默之說略有酬酢及其口招援臣爲言而以臣答語爲
政堂故事v6職以洪梓代之獨入連啓且曰臺啓停不停乃在下者之職其從不從在上之職不可不侵臺職遂命下獄勘律旣而命削職又除洪樂命爲獻納洪亦連啓亦命下獄於是掌令鄭恒齡入而停啓也諫院又有李匡師鞠問之啓蓋以眞儒之姪有可問之事也上以爲匡
政堂故事v6甲彬黽勉從後強爲引嫌者李獻慶也不思拜昌擧措荒亂者鄭述祚也鄭嘗入侍奏勉戒之語上起謝之三作機關幻弄其君者洪樂命也所奏無嚴手脚忙亂者鄭恒齡也幷永刊侍徒案勿限年六鎭定配傳曰所引曺侯雖不足介意三百赤芾其心不正無心風說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