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권응정(權應挺)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D8CC751C815B1498X0
자(字)사우(士遇)
호(號)묵암(黙菴)
생년1498(연산군 4)
졸년1564(명종 19)
시대조선전기
본관안동(安東)
활동분야문신 > 문신
권희맹(權希孟)

[상세내용]

권응정(權應挺)
1498년(연산군 4)∼1564년(명종 19).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사우(士遇), 호는 묵암(黙菴).

부친은 관찰사 권희맹(權希孟)이다.

1522년(중종 17) 사마시에 합격하고, 성균관에 들어가 수학, 1528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권지정자(承文院權知正字)가 된 뒤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 등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지내고 황해도관찰사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냈다.

1547년(명종 2) 우윤(右尹)으로 재직중, 여자임금이 정권을 잡고 이기(李芑) 등이 권력을 농단하니 나라가 망할 것을 서서 기다리는 격이라는 내용의 양재역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이 일어나자, 이기 등에 의하여 봉성군(鳳城君) 이완(李岏)송인수(宋麟壽)이약해(李若海)이언적(李彦迪)노수신(盧守愼)유희춘(柳希春)백인걸(白麟傑) 등과 함께 사건의 배후로 지목되어 강진으로 유배되었다가 다시 단천(端川)문의(文義) 등지로 이배되었다.

1553년에 유배에서 풀려나 고향에 돌아갔다가 1557년에 다시 경주부윤에 기용되었으며, 그뒤 안동부사를 거쳐 동지중추부사가 되었다.

[참고문헌]

明宗實錄
國朝人物考
燃藜室記述
國朝榜目

[집필자]

차용걸(車勇杰)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