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민종현(閔鍾顯)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BBFCC885D604B1735X0
시호(諡號)문목(文穆)
생년1735(영조 11)
졸년1798(정조 22)
시대조선후기
본관여흥(驪興)
활동분야문신 > 문신
민백겸(閔百兼)
외조부이구(李絿)

[관련정보]

[상세내용]

민종현(閔鍾顯)
1735년(영조 11)∼1798년(정조 22).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민백겸(閔百兼)의 아들이며, 모친은 이구(李絿)의 딸이다.

1756년(영조 32)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1768년 문학(文學)이 되었다. 이어 부교리로 있다가 일시 관직생활에서 물러났다. 이어 교리 겸사복(兼司僕)부수찬 필선 응교를 거쳐 1781년(정조 5) 우부승지로서 국조보감찬집당상(國朝寶鑑纂輯堂上)으로 『국조보감』을 찬집하였으며, 성균관대사성 형조참판을 역임하였다.

이듬해 수원부사로 있으면서 총융청마병도시(摠戎廳馬兵都試)를 늦게 행하였다 하여 탄핵을 받았으나 「제도진하전문(諸道陳賀箋文)」과 「정조전문(正朝箋文)」을 명할 때 민폐를 제거할 방책을 올려 가의대부(嘉義大夫)로 승진되었다.

1783년 대사성으로서 영재교육의 방책을 올렸으며, 곧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가 되었으나 아래 율관(律官)의 잘못으로 삭직당하였다.

이듬해 대사헌을 거쳐 1786년 동지경연사(同知經筵事)홍문관부제학대사성 등을 역임하였다.

1787년 현감을 거쳐 동지부사(冬至副使)로 발탁되었으나 동지정사(冬至正使)와의 상피관계(相避關係)로 교체되고 개성부유수가 되어 본부의 여러가지 폐단을 거론하고 이를 시정할 방책을 상소하였다.

1788년 비변사당상(備邊司堂上)으로 있었으나 파직되었고, 이듬해 다시 대사헌이조참판을 역임하였다.

1790년 대사성으로 있을 때 과거시험의 서제(書題)를 갖추어 기록해두지 않았다 하여 파직되었으나 곧 다시 이조참판이 되었다.

1791년 관상감제조가 되었으나 태상신(太常神)을 모시는 방에 비가 샛는데 이를 고칠 날을 점치지 않았다 하여 파직되었다가 곧 홍문관부제학이 되고 이듬해 예조판서가 되었다.

1793년 비변사제조로 있었으나 빈대(賓對)에 참석하지 않아 파직당하였으나 곧 홍문관제학지경연사 등을 역임하고, 1794년 예문관제학예조판서이조판서를 거쳐 경원부사를 역임하였다.

1795년 예조판서로서 왕으로부터 상을 받았으나 향례연길(享禮涓吉)을 살피지 않아 다시 파직당하고, 곧 예문관제학을 거쳐 예조판서로서 왕에게 함흥부(咸興府)에 있는 창의사(彰義祠)와 영흥부(永興府)의 정충사(精忠祠)를 지원해줄 것을 상소하였으며, 곧 동지 겸 사은정사(冬至兼謝恩正使)가 되어 중국에 갔다가 이듬해 돌아왔다.

이어 예조판서홍문관제학장악원제조를 역임하고, 1797년 예조판서홍문관제학이조판서를 거쳐 판의금부사로서 정호인(鄭好仁)을 석방시키라는 왕의 명을 철회할 것을 청하였으나 허락받지 못하였다.

1798년 다시 이조판서를 거쳐 평안도관찰사를 역임하다가 죽었다. 의례(儀禮)에 매우 밝아 국가의 예식(禮式)에 대한 많은 상소를 올렸다. 시호는 문목(文穆)이다.

[참고문헌]

正祖實錄

[집필자]

한희숙(韓嬉淑)
대표명민종현(閔鍾顯)
종현(鍾顯)
성명민종현(閔鍾顯), 민종현(閔鍾显)

명 : "종현(鍾顯)"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宗廟儀軌v3堂入侍時上曰禮判取見大明集禮於弘文館考出朝服祭服之冠制卷持入可也禮曹判書閔鍾顯進伏上曰大明集禮考見乎鍾顯曰考見而只言祭冠朝服冠則無他可考矣上曰予於祭冠一事欲爲厘正者久矣今値大享之時將問於卿等而處之大抵朝士
宗廟儀軌v3爲重矣守禦使頃差宮享獻官捧俎官果以爲如何耶守禦使李文源曰別不以爲重矣上曰今番捧俎官勿以年老者塡差好矣鍾顯曰毛血肝膋節次當厘正於笏記乎上曰詳問於守僕輩更稟於享所也
宗廟儀軌v3上御誠正閣入侍時上敎禮曹判書閔鍾顯曰誓戒當在何日鍾顯奏曰再明日四更頭矣上曰吏判當參誓戒明日獻官則使之改付標又敎曰親享差祭之人能不苟艱乎卿宰侍從中如有罷散
筆巖書院誌天v1規又於從祀翌日頒敎八方今亦依此擧行何如上曰依爲之上曰曾聞從享之先正道德特異者另加上相云卿果考例而來乎鍾顯曰以例言之丙子年從享時先正臣文正公宋時烈因特敎貤贈上相上曰依先正文正公宋時烈已例先正文靖公贈吏判金麟
筆巖書院誌天v1從享時先正臣文正公宋時烈因特敎貤贈上相上曰依先正文正公宋時烈已例先正文靖公贈吏判金麟厚加贈議政府可也鍾顯曰我朝從亨儒賢竝皆不祧而未有明白定制故曾在丁酉年文元公金長生陞配時故相臣金昌集故判書臣閔鎭厚以此陳達
筆巖書院誌天v1敎書之時可也鍾顯又啓曰今此先正臣文靖公金麟陞配文廟時位次當以時代先後定次第奉安故敢此仰達矣上曰依爲之鍾顯又啓曰先正臣金麟厚崇報之典屢百年來實多未遑以諡號中靖之一字伏奉聖敎尤不勝其欽仰感激蓋靖字寬樂令終之意
筆巖書院誌天v1亦爲施行若或親盡理版則追造一款雖難輕議或有特敎亦有追造者卽爲分付該道星火擧行俾及於賜祭賜敎書之時可也鍾顯又啓曰今此先正臣文靖公金麟陞配文廟時位次當以時代先後定次第奉安故敢此仰達矣上曰依爲之鍾顯又啓曰先正臣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