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식(李拭)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774C2DDFFFFB1510X0
자(字)청지(淸之)
호(號)외암(畏菴)
생년1500(연산군 6)
졸년1587(선조 20)
시대조선전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승상(李承常)

[상세내용]

이식(李拭)
1500년(연산군 6)∼1587년(선조 20).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청지(淸之), 호는 손암(損菴)외암(畏菴). 이승상(李承常)의 아들이다.

1553년(명종 8)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이듬해 검열이 되고, 1556년 경연(經筵)의 설경(說經)을 지낸 뒤 1559년 사간원정언병조좌랑이 되었다.

이듬해 홍문관수찬병조좌랑이조좌랑 등을 역임하였다.

1561년 병조정랑이 되고, 다음해 시강원문학이조정랑을 지냈으며, 1563년 검상(檢詳)사헌부집의, 1564년 사간을 거쳐 홍문관응교, 이듬해 홍문관직제학이 되어 시강관을 겸하였다.

1566년 동부승지좌부승지우승지형조참의를 거쳐 강원도관찰사를 지내고, 1568년 다시 우승지황해도감사를 역임하였다.

1574년 대사간이 되고 1579년 대사헌을 역임하였다.

이때 동서분당이 일어나자 정희적(鄭熙績) 등과 함께 서인의 등용을 막으려는 주장을 폈다가 체직, 부제학이 되고, 이듬해 다시 대사헌이 되었으나 황해도감사로 있을 때 근면하지 못하였다는 이유로 체직되었다.

1583년 대사헌승지대사간부제학이조참의이조참판을 거쳐 행호군에 이르렀다.

저서로는 『외암집』이 있다.

[참고문헌]

明宗實錄
宣祖實錄
國朝榜目
經筵日記
隱峰全書

[집필자]

김동수(金東洙)
대표명이식(李拭)
식(拭)
성명이식(李拭)

명 : "식(拭)"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震乘總v5弘風力絶人剛果自任至是竝劾罷之拭貪鄙無檢爲人所賤且其孼屬之女爲淑媛有寵拭頗交通納賂聞者莫不憤嫉仁弘因因事避嫌將論遞而未果遂爲互避諫院乃啓出仁弘而遞拭○江原監司朴民獻有罪拿鞠尋赦之民獻按道時橫城民存伊弑
震乘總v5且其孼屬之女爲淑媛有寵拭頗交通納賂聞者莫不憤嫉仁弘因拭因事避嫌將論遞而未果遂爲互避諫院乃啓出仁弘而遞○江原監司朴民獻有罪拿鞠尋赦之民獻按道時橫城民存伊弑母獄成所幸妓受賂潛囑民獻託以親問拿致營獄遽放之至
震乘總v5傳得志萬物咸遂翕翕稱譽氣勢甚盛敬中素無學識久爲銓郞頗有自擅之習掌令鄭仁弘風力絶人剛果自任至是竝劾罷之貪鄙無檢爲人所賤且其孼屬之女爲淑媛有寵拭頗交通納賂聞者莫不憤嫉仁弘因拭因事避嫌將論遞而未果遂爲互避諫
震乘總v5識久爲銓郞頗有自擅之習掌令鄭仁弘風力絶人剛果自任至是竝劾罷之拭貪鄙無檢爲人所賤且其孼屬之女爲淑媛有寵頗交通納賂聞者莫不憤嫉仁弘因拭因事避嫌將論遞而未果遂爲互避諫院乃啓出仁弘而遞拭○江原監司朴民獻有罪拿
寒臯觀外史v67東萊人官左相惟一字子中號文峯東萊人官大諫成龍字而見號西厓豊山人官領相諡文忠孹字大手號習齋安東人官戶議字清之號損庵全州官吏参忠元字元夫全州人官兵判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