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홍간(李弘幹)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D64DAC04B1486X0
자(字)대립(大立)
호(號)쌍괴(雙槐)
생년1486(성종 17)
졸년1546(명종 1)
시대조선전기
본관용인(龍仁)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효독(李孝篤)
외조부최명근(崔命根)

[상세내용]

이홍간(李弘幹)
1486년(성종 17)∼1546년(명종 1).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자는 대립(大立), 호는 쌍괴(雙槐).

부친은 사간 이효독(李孝篤)이며, 모친은 최명근(崔命根)의 딸이다.

1507년(중종 2) 생원시에 합격, 1513년(중종 8) 식년문과에서 병과로 급제하고 권지승문원정자에 초수(初授), 곧 예문관에 들어가 1517년 11월 평안도평사로 파견될 때까지 검열대교봉교를 역임하였으며, 조광조(趙光祖)김정(金淨) 등과 교유하면서 김정 등의 편협하고 과격함을 경계하였다.

1519년 기묘사화가 일어났을 때에도 남곤(南袞)이 고변하는 잘못을 저질렀다고 나무랐다.

1520년 2월 사간원정언에 발탁되고 그뒤 홍문관교리, 세자시강원사서, 호조예조병조좌랑, 정랑, 세자시강원필선, 수원‧곤양‧옥천군수를 역임하였다.

1527년 5월 사헌부장령으로 11월 경연(經筵)에 참여하여 1513년에 박영문(朴永文)신윤무(辛允武)의 옥사에 연루되어 찬축(竄逐)된 영산군(寧山君) 전(恮: 성종의 13남)세종양녕대군을 방면한 고사에 비겨 사면할 것을 청하여 방면하게 하였으나, 강직한 언론을 꺼려한 대신들의 배척으로 파직되었다. 곧 복직되어 사옹원(司饔院)군기시(軍器寺)종부시(宗簿寺)정(正)공주청주광주목사를 역임하였다.

1543년경 봉상시정(奉常寺正), 1545년(명종 즉위) 11월 인종빈전도감사(殯殿都監事)에 참여한 공로로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에 승진되고, 다음해 12월 동지부사로서 명나라에 갔다가 귀국 도중 사류하(沙流河)에서 죽었다.

효행‧학행과 강직한 언사로 명망이 있었고, 크게 현달하지는 못하였으나 20여년간에 걸쳐 외관으로 재직하면서 선치를 행하였다.

[참고문헌]

中宗實錄
明宗實錄
國朝榜目
國朝人物考
燃藜室記述

[집필자]

한충희(韓忠熙)
대표명이홍간(李弘幹)
홍간(弘幹)
성명이홍간(李弘幹)
대립(大立), 대지(大之)

명 : "홍간(弘幹)"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06君又被竄伏願殿下鑑漢人之謠少垂恩赦上動容感悟遂放釋甄城爲靖國元勳所害寧山爲南袞等所逐皆上之弟也時議忌弘幹敢言不復顯用
紀年便攷v10光弼以爲寧山旣涉逆謀當竄遐裔於是憲府合司請罪上不得已從之掌令李弘幹入侍講通鑑漢文帝時一尺布尙可縫之謠弘幹因微諷之上動容感悟卽命放之
震史記略v2城君惇寧山君恮甄城爲勳臣所害寧山爲南袞所害掌令李弘幹因天布斗粟文義陳兩人事上動容感悟遂命全釋時議深忌弘幹不復顯用○十月以趙光祖爲典翰光祖啓曰祖宗舊章雖不可猝改若有不合於今亦可變而通之召問大臣可爲之事斷而行
國朝人物志v1孝彥字彥之中宗庚午文科僉正孝篤子元幹字幹之燕山甲子生員文科正元幹弟弘幹文科牧使弘幹子永成字遠期中宗丁酉文科正郞國朝榜目
國朝人物志v1惡賑窮周急爲治嚴不爲苛而止去害本敎不宂條而與民相信賦入不漏照奸無隱以政最聞上褒賜衣服與弟弘幹齊名爲搢紳所推重早逝不能大施朴祥撰碣
國朝人物志v1字大立龍仁人參判升忠曾孫父孝篤文科司諫見上弘幹樂善好士癸酉進士文科補檢閱嘗與沖菴金淨論時事誡其勿爲摘伏求疵已甚過激之論己卯禍作弘幹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