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서일(徐一)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11CC77CFFFFB1881X0
이명(異名)서기학(徐虁學)
호(號)백포(白圃)
생년1881(고종 18)
졸년1921
시대항일기
본관이천(利川)
활동분야호국 > 독립운동가
출신지함경북도 경원
저서『오대종지강연(五大宗旨講演)』
저서『삼일신고강의(三一𥛠誥講義)』
저서『회삼경(會三經)』
공훈건국훈장 국민장

[상세내용]

서일(徐一)
1881년(고종 18)∼1921년. 독립운동가‧종교가. 본관은 이천(利川). 함경북도 경원 출신. 본명은 기학(虁學), 호는 백포(白圃).

1898년까지 고향에서 한학(漢學)을 배우다가 경성함일사범학교(鏡城咸一師範學校)에 입학하여 1902년에 졸업하고 교육구국사업에 종사하였다. 경술국치 이후 탄압이 심화되자 국내에서 항일투쟁의 어려움을 느끼고 만주로 건너갔다.

1911년 두만강을 넘어오는 의병의 잔류병력을 규합하여 중광단(重匡團)을 조직하고 단장에 취임하였다. 여기에서 그는 무력에 의한 투쟁보다는 청년동지들에 대한 민족정신과 한학을 가르쳐 정신교육에 치중하는 한편, 교육에도 뜻을 두어 간도 지방에 명동중학교(明東中學校)를 설립하고 교육사업에 종사하였다.

1912년 대종교(大倧敎)에 입교하여 교리의 연구와 포교활동에 주력하였으며, 1916년 총본사(總本司) 전강(典講)이 되어 활동한 결과 나철(羅喆)의 교통(敎統) 계승자의 물망에 올라 사교(司敎)로 초승(超陞)되고 영선(靈選)에까지 올랐다.

1917년 대종교 총본사를 만주 화룡현(和龍縣)으로 옮겨 만주노령(露領)의 동포에게까지 포교활동을 전개하였다.

1918년 여준(呂準)유동열(柳東說)김동삼(金東三)김좌진(金佐鎭) 등과 무오독립선언(戊午獨立宣言)을 발표함으로써 만주에서의 독립운동에 활기를 불어넣었고, 이듬해 중광단을 토대로 군사적 행동을 위해 계화(桂和) 등과 정의단(正義團)을 조직하였다.

1919년 대종교 2세교주인 무원종사(茂園宗師) 김헌(金獻)이 그에게 교통을 전수하려고 하였으나 독립군 양성과 일제에 대한 무력항쟁에 힘을 기울이기 위해 교통의 인수를 5년 뒤로 미루었다.

같은해 8월 현천묵(玄天黙)김좌진계화 등과 함께 정의단을 개편하여 군정부(軍政府)로 만들고, 12월에는 다시 한 민족에게 두개의 정부가 있을 수 없다 하여 이것을 토대로 북로군정서(北路軍政署)로 개편하고 총재에 취임하였다.

또한 틈틈이 대종교의 교리를 연구하며 수도에 힘써 교리를 현대적으로 해석하여 저술에도 힘을 기울이며 포교활동도 하였다.

군정서는 각처에 정보연락망을 구축하고 대종교 신도들의 헌금과 함경도민이 마련하여준 군자금을 바탕으로 하여 정규병력 1,500명으로 지방치안을 유지하고 신병모집과 무기수입을 담당하였다.

또한 왕청현 십리평(十里坪)에 사관양성소(士官養成所)를 세워 중견사관을 길러내고, 각지에 야간강습소와 소학교를 설립하여 육영사업에도 힘을 기울였다.

1920년 김좌진과 함께 청산리전투(靑山里戰鬪)에서 일본 정규군을 크게 무찔렀고 병력을 북만(北滿) 밀산현(密山縣)으로 이동시켰다.

이듬해 일본군의 만주 출병으로 인해 밀산현으로 들어온 안무(安武)의 국민회군(國民會軍), 최진동(崔振東)의 도독부군(都督府軍) 및 의군부(義軍府), 광복단(光復團) 등 여러 독립군단을 통합하여 대한독립군단(大韓獨立軍團)을 조직하고 총재가 되었다.

1921년 적군(赤軍)의 후원을 받은 토비(土匪)들 수백명이 야간에 내습‧살인‧방화‧약탈을 자행하여 청년장병 다수가 희생당하는 흑하사변(黑河事變)이 일어나게 되었다. 이에 같은해 8월 27일 “나라 땅은 유리쪽으로 부서지고 티끌모래는 바람비에 날렸도다. 날이 저물고 길이 궁한데 인간이 어디메뇨.”라는 글귀를 남기고 대종교 수양법의 하나인 조식법(調息法)으로 자결하였다.

독립운동가로서 그의 활동과 지도력은 타의 추종을 불허할 만큼 높이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대종교에서는 그를 철학적 논리와 과학적 증명으로 종교의 교리를 체계화한 대철(大哲)로 성인(聖人)이라고 추앙하고 있다.

1962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국민장을 수여하였다.

저서에 『오대종지강연(五大宗旨講演)』『삼일신고강의(三一𥛠誥講義)』, 그리고 계시를 받고 지었다는 『회삼경(會三經)』 등이 있다.

[참고문헌]

殉敎十賢錄
武裝獨立運動秘史(蔡根植, 大韓民國公報處, 1949)
韓國獨立運動史(文一民, 愛國同志援護會, 1956)
朝鮮獨立運動 Ⅲ(金正明編, 原書房, 1967)
독립운동사 5‧8(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3‧1976)

[집필자]

박현서(朴賢緖)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