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대순(徐戴淳)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11CB300C21CB1805X0 |
자(字) | 원후(元厚) |
호(號) | 향파(鄕坡) |
시호(諡號) | 효헌(孝憲) |
생년 | 1805(순조 5) |
졸년 | 1871(고종 8)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대구(大丘)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서용보(徐龍輔) |
생부 | 서응보(徐應輔) |
조부 | 서유녕(徐有寧) |

[상세내용]
서대순(徐戴淳)
1805년(순조 5)∼1871년(고종 8).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대구(大丘). 자는 원후(元厚), 호는 향파(鄕坡).
예조판서 서유녕(徐有寧)의 손자로, 배천군수(白川郡守) 서응보(徐應輔)의 아들이며, 영의정 서용보(徐龍輔)에게 입양되었다.
1827년(순조 27) 증광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홍문관문록(弘文館文錄)과 도당록(都堂錄)에 올랐다.
1841년(헌종 7) 성균관대사성, 1843년 이조참의, 1849년 황해도관찰사를 지냈다.
1853년(철종 4) 홍문관부제학, 이듬해 이조참판‧한성부우윤을 역임하고, 1855년 형조판서‧한성부판윤에 올랐다.
1856년 사헌부대사헌, 1857년 예조판서, 1859년 평안도관찰사 등 내외요직을 두루 거쳐, 1862년 종1품으로 가자(加資)되어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에 오르고, 다음해 병조판서를 지냈다.
1864년(고종 1) 판의금부사‧형조판서를 지내는 등 여러 청환직(淸宦職)을 역임하였으며, 문장이 고명하였고 행의(行誼)가 청백하였다. 시호는 효헌(孝憲)이다.
예조판서 서유녕(徐有寧)의 손자로, 배천군수(白川郡守) 서응보(徐應輔)의 아들이며, 영의정 서용보(徐龍輔)에게 입양되었다.
1827년(순조 27) 증광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홍문관문록(弘文館文錄)과 도당록(都堂錄)에 올랐다.
1841년(헌종 7) 성균관대사성, 1843년 이조참의, 1849년 황해도관찰사를 지냈다.
1853년(철종 4) 홍문관부제학, 이듬해 이조참판‧한성부우윤을 역임하고, 1855년 형조판서‧한성부판윤에 올랐다.
1856년 사헌부대사헌, 1857년 예조판서, 1859년 평안도관찰사 등 내외요직을 두루 거쳐, 1862년 종1품으로 가자(加資)되어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에 오르고, 다음해 병조판서를 지냈다.
1864년(고종 1) 판의금부사‧형조판서를 지내는 등 여러 청환직(淸宦職)을 역임하였으며, 문장이 고명하였고 행의(行誼)가 청백하였다. 시호는 효헌(孝憲)이다.
[참고문헌]
純祖實錄
憲宗實錄
哲宗實錄
高宗實錄
國朝榜目
大丘徐氏世譜
憲宗實錄
哲宗實錄
高宗實錄
國朝榜目
大丘徐氏世譜
[집필자]
오갑균(吳甲均)
명 : "대순(戴淳)"에 대한 용례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