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백동수(白東脩)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BC31B3D9C218B1743X0
자(字)영숙(永叔)
호(號)인재(靭齋)
생년1743(영조 19)
졸년1816(순조 16)
시대조선후기
본관수원(水原)
활동분야무신 > 무신

[상세내용]

백동수(白東脩)
1743년(영조 19)~1816년(순조 16). 조선 후기 무신. 자는 영숙(永叔)이고, 호는 야뇌(野餒) 또는 인재(靭齋)이다. 본관은 수원(水原)이며, 서울 출신이다.

증조부는 백시구(白時耉)이고, 조부는 백상화(白尙華)이며, 부친은 백사굉(白師宏)이다. 백시구는 황해도, 함경도, 평안도 병마절도사를 지낸 무관이었지만, 조부 백상화가 서자였기 때문에 백동수 또한 서자였다. 청장관(靑莊館) 이덕무(李德懋)의 처남이다.

무예는 군교(軍校) 김체건과 그의 아들 김광택을 사사하였다. 그리고 박지원(朴趾源)이덕무이서구(李書九)유득공(柳得恭)박제가(朴齊家)서상수(徐常修)서이수(徐理修) 등 ‘연암그룹’과도 교유하였다.

1771년(영조 47) 신묘 식년시(式年試) 무과에 급제하였다.

1773년에 강원도 기린협으로 들어가 무예를 닦다가 1780년(정조 4)에 다시 한양으로 돌아왔다. 1788년(정조 12)에 장용영(壯勇營) 초관(哨官)에 임명되었다.

1790년(정조 14)에 간행된 무예 훈련 교범서인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의 무예 실기를 담당하였다.

1791년(정조 15) 충청도 비인현감(庇仁縣監), 1802년(순조 2) 평안도 박천군수(博川郡守)를 역임하였다.

『무예도보통지』는 4권 4책으로 규장각검서관 이덕무박제가, 그리고 장용영 장교 백동수(白東脩) 등이 작업하여 1790년에 완성하였다.

1598년(선조 31) 훈련도감낭청(訓鍊都監郞廳) 한교(韓嶠)가 명나라 유격장군(遊擊將軍) 허국위(許國威)에게 물어 편찬한 『무예제보(武藝諸譜)』에는 6가지 기법 즉, 곤봉(棍棒)‧등패(藤牌)‧낭선(狼筅)‧장창(長槍)‧당파(鎲鈀)‧쌍수도(雙手刀)가 정리되어 있다.

1759년(영조 35)에 간행한 『무예신보(武藝新譜)』에는 12가지 기법을 추가하였다. 죽장창(竹長槍)‧기창(旗槍)‧예도(銳刀)‧왜검(倭劍)‧교전(交戰)‧월도(月刀)‧협도(挾刀)‧쌍검(雙劍)‧제독검(提督劍)‧본국검(本國劍)‧권법(拳法)‧편곤(鞭棍)인데, 도해(圖解)를 첨부하여 18기(技)라고 불렀다.

1789년(정조 13)에 18기에 6가지 기법을 추가하였다. 즉, 기창(騎槍)‧마상월도(馬上月刀)‧마상쌍검(馬上雙劍)‧마상편곤(馬上鞭棍)‧격구(擊毬)‧원기(猿騎)로 도합 24기(技)이다.

『무예도보통지』 권1에는 장창‧죽장창‧기창(旗槍)‧당파‧기창(騎槍)‧낭선, 권2에 쌍수도‧예도‧왜검, 권3에 제독검‧본국검‧쌍검‧마상쌍검‧월도‧마상월도‧협도, 등패, 표창(標槍), 권4에 권법‧곤봉‧편곤‧마상편곤‧격구‧마상재(馬上才) 등이 수록되어 있다.

동생으로 백동간(白東侃)이 있고, 아들은 백심진(白心鎭)이다.

[참고문헌]

朝鮮王朝實錄
홍재전서(弘齋全書)
『숭정3신묘식년전시문무과방목(崇禎三辛卯式年殿試文武科榜目)』(국립중앙도서관, 규장각)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

[집필자]

이재옥(李載玉)
수정일수정내역
2011-10-31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