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정이환(鄭履煥)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815C774D658B1731X0
자(字)신지(身之)
생년1731(영조 7)
졸년?(미상)
시대조선후기
본관영일(迎日)
활동분야문신 > 문신
정송(鄭松)
증조부정호(鄭澔)

[상세내용]

정이환(鄭履煥)
1731년(영조 7)∼미상.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영일(迎日). 자는 신지(身之). 영상 정호(鄭澔)의 증손으로, 정송(鄭松)의 아들이다.

1757년(영조 33) 춘당대정시문과(春塘臺庭試文科)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61년 관록(館錄)에서 25인을 선발한 중에 뽑혔고, 승문원교리를 지냈다.

1763년 회령부에 귀양의 왕명이 내렸다가 환수되었고, 1766년 영의정 홍봉한(洪鳳漢)의 주청으로 제주도로 정배되었다가 이듬해 풀려났다.

1776년 부응교가 되고 곧 동부승지가 되었는데, 왕세손(王世孫: 뒤의 정조)의 대리청정을 주장한 홍봉한을 처벌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해 정조가 즉위하여 사도세자(思悼世子)의 죽음에 대한 문책으로 남인 한성좌윤 김구주(金龜柱)흑산도로 정배하였는데, 이때 그도 예문관제학에서 쫓겨났다.

이때 왕은 많은 죄인을 사면하면서도 그는 제외시켰다.

그러나 김치인(金致仁)이 다시 영의정이 되자 치사(致仕)하였던 정이환은 특별히 충주목사를 제수받았고, 몇 년 뒤 관직을 떠나 죽었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國朝榜目
恩坡遺稿

[집필자]

이재호(李載琥)
대표명정이환(鄭履煥)
이환(履煥)
성명정이환(鄭履煥)

명 : "이환(履煥)"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待闡錄v4食客也私人也龜柱島配後特下傳敎斥黜履煥處分至嚴好惡大明而其黨後翼不勝狠毒之心投進凶悖之疏右袒龜柱稱詡履煥之不已至有犯上不道之語今秋後翼始伏王章履煥自知其難免於黨與之誅身在罪籍敢投一疏外稱自引之義內售黨惡之
待闡錄v4至嚴好惡大明而其黨後翼不勝狠毒之心投進凶悖之疏右袒龜柱稱詡履煥之不已至有犯上不道之語今秋後翼始伏王章履煥自知其難免於黨與之誅身在罪籍敢投一疏外稱自引之義內售黨惡之心上款下語盛稱龜柱奮不顧身爲國討賊之事下段
待闡錄v4而豈有如履煥之放恣無嚴者耶此而置之將見凶醜餘孼稱以自首後先接跡爲國家無窮之患請削黜罪人鄭履煥絶島安置履煥身在削黜之中罔有嚴畏之心敢使家僮直呈怪疏而喉院之臣循例許捧請該房承旨亟施譴削之典事戊戌十月十四日
待闡錄v4獻納金東淵啓曰鄭履煥特一龜柱之食客也私人也龜柱島配後特下傳敎斥黜履煥處分至嚴好惡大明而其黨後翼不勝狠毒之心投進凶悖之疏右袒龜柱稱詡履煥之不已至有犯上不道之語今秋後翼始伏
待闡錄v4怪聞其言者莫不駭痛此輩眼中無君無國惟以愛護血黨抵死不悔使主勢國綱日趨孤弱者爲今日澟澟岌岌之憂而豈有如履煥之放恣無嚴者耶此而置之將見凶醜餘孼稱以自首後先接跡爲國家無窮之患請削黜罪人鄭履煥絶島安置履煥身在削黜
待闡錄v10矣雖其所言未必盡合義理之當然而殿下旣容而恕之且致之宰烈矣今乃追提過事黜而斥之何其前後擧指若是其顚倒耶履煥之與龜柱相親特以義理之同而氣味之近耳謂出於親愛則猶之可也謂之私人則決是其情外之目若以相親之故便謂之私
疏箚錄v47黑白雖使婦孺聞之豈不卞其語脈之如此而不如彼乎然外人之未詳實事驟聞誣言似疑而滋惑興訛而煽謗者擧世皆然故履煥疏批又敎曰聞之者聲罪宜也言之者自明亦宜也聖意蓋以未詳事實而徒聞誣言則聲罪宜也自來酬酢本指不如此則言者
疏箚錄v47隠有之痛揆之義理不敢言私先王亦豈忍屢煩昭晢之敎頻侈侑祭之恩終始無替若是曠絶乎其外若有他干犯之事則鍮龜履煥之之疏必無漏却不言之理其無他事卽此可知先王以親覩親承者援證下敎前有手札後有疏批若是分明無疑而且此說某
疏箚錄v47復陳達設爲先幾毖後之論此實出於愛君憂國郆顧長慮之意何嘗一毫彷彿於主追崇之論而以危言恐動之說哉故丙申初履煥疏批旣敎以原其心則出於慮患又敦諭於臣父若曰慮患云者知卿本心今番獄事後謂卿以先見可也臣父其時書啓以爲割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